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1 | 112 | 113 | 11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우리 집을 공개합니다 - 하나의 지구, 서른 가족, 그리고 1787개의 소유 이야기
피터 멘젤 지음, 김승진 옮김 / 윌북 / 2012년 3월
평점 :
품절


<우리집을 공개합니다>


우리 어머니는 다른집 집들이 가는 것을 그렇게 좋아하셨다.

사람들 사는 모습도 보고, 이야기 꽃도 피우고 오시고 나면 얼굴이 한결 행복해져서 돌아오시곤 했다.

다른 사람의 사는 모습을 보는 것이 재미 있으셨던 모양이다.

굳이 우리 어머님의 예를 들지 않더라도 다른 사람들의 생활모습을 공개적으로 볼수 있다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 아닐 수 없을 것이다. 다른사람의 삶, 특히 전세계사람들의 삶이 궁금한 사람들은 이 책을 보면 아마도 기호에 딱 맞을듯 하다.


왜냐하면 이 책의 소주제가(하나의 지구 서른 가족 그리고 1787개의 소유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이 책에는 2년에 걸처 15명의 유명사진작가들이 함께 협력하여 전 세계 30개국을 돌아다니면서 각각 그 나라의 가장 평균적인 가정으로 선정된 서른가족의 사는 모습 및 일상사가 담긴 사진들로 가득하다.


선정된 각 가정은 깨진 항아리에서부터 최고급 승용차에 이르기 까지 모든 소유물을 집 밖으로 꺼내 놓고 사진을 찍었다.


이 책은 뉴욕공립도서관이 선정한 청소년이 반드시 읽어야 할 책 10권에 선정되기도 하였는데,

개인적인 생각에 아이들도 굉장히 좋아 할 것 같다.

왜냐하면 페이지의 거의 대부분이 사진들로 채워져 있기 때문에, 유년이나 초등학생정도 아이들이 보기에도 무리가 없을 것 같다.


이 책의 구성은 대륙별로 구분되어 있다.

아프리카 Africa

아시아 Asia

라틴 아메리카 Latin America

북아메리카 North America

섬나라 Island

유럽 Europe


이 책은 처음에는 호기심을 가지고 감탄을 하면서 보게 되지만, 

읽으면 읽을수록 나중에는 생각할 거리를 많이 주는 책이다.

개인적으로는 사진속의 그들의 얼굴을 보면서 느낀점이 많았다.

먼저 소유의 풍족함이 전부는 아니라는 것,

그리고 같은시간을 살면서도 참 다양한 모습으로 살고 있다는 사실이었다.


그러한 점을 통해 새삼 현재의 나의 모습을 돌아 보게 되는 계기가 되었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왜 달러는 미국보다 강한가 - 달러 패권의 역사는 반복된다
오세준 지음 / 원앤원북스 / 2012년 2월
평점 :
절판


<왜 달러는 미국보다 강한가>


이 책은 초반 40~50Page정도가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다.


저자는 책의 서두에서 

달러화 헤게모니에 대한 역사를 상당히 깔끔하게 요약하여 역사순으로 기술하였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500Page에 달하는 화폐전쟁1권을 1/10로 요약 하면서 중심내용을 놓치지 않고 일목요연하게 정리를 잘하여 기술하였다고 생각한다)

아마도 저자는 현직 펀드매니저로서 수많은 결정을 내려야 하기 때문에 내용을 간결화 하는게 습관화 되어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까지 할 정도였다.


이책은 크게 두 파트로 나뉜다.


PART 1. 20세기 이후 최고의 미국산 제품은 달러다.

PART 2. 부자는 달러를 가지고 있다.


PART 1.은 이론 및 배경에 대한 부분이다.

위에서 설명했듯이 달러화의 역사 및 기축통화로서의 메리트를 설명한다.

결론은 달러화의 기축통화로써의 위상이 변하지 않는다는 것, 

이것이 저자의 기본적인 생각이다. 

그에 대한 이유로 유로화, 위안화, 금의 기축통화로써의 한계를 지적한다.


PART 2.은 실천 및 대응에 대한 부분이다.

PART 1.에서 내린 달러화의 위상은 변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배경으로,

달러화를 투자자산의 하나로 보고 포트폴리오에 편입하자는 것

이것이 저자가 생각하는 독자의 실천 및 대응방법이다.

그리하면 리스크는 낮아지고 이익은 극대화 된다는 내용이다.


PART 1.에 비하면 사실 PART 2. 좀 아쉬웠는데, 

그 이유는 실천방법이 실천하기가 막상 실천하기엔 쉽지않다고 느꼈기 때문인 것 같다.

(환헤지가 안되는 미국지수관련 ETF가 하나 뿐이고, 막상 거래량도 소규모)


아쉬움도 있지만, 이 책은 좋은 책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저자의 생각에 상당부분 동의하며, 향후 투자자산으로 달러를 생각하게 되는 계기가 된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자처럼 생각하고 한비처럼 행동하라 - 한 권으로 읽는 도덕경과 한비자
상화 지음, 고예지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1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노자처럼 생각하고 한비처럼 행동하라>를 읽고

이 책은 성능 좋은 압축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압축한 파일과 같은 다소 함축적인 책이다.

1. 일단 부피에 비해 비교적 많은 428페이지의 분량도 그렇지만,
2. 페이지마다, 단락마다, 내용과 사례를 함축적으로 많이 다루고 있는 책이다.

이책은 크게 두파트로 나뉜다.

제1부. 한비자의 지혜
제2부. 도덕경의 지혜

(한비자와 도덕경으로 파트를 나누어 놓았지만 비교해가며 읽을 수 있다) 

이 책의 부제이자 책표지에 가지런히 쓰여 있는 글자는
"한 권으로 읽는 도덕경과 한비자"이다.

과연 이 책을 읽다보면 
이 책의 부제인 "한 권으로 읽는 도덕경과 한비자"가 단순히 눈길을 끌기 위해 넣은 부제가 아님을 알 수 있다. 도덕경과 한비자의 내용을 상당히 충실하게 인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시대적인 일화와 역사적인 사실을 실례로 들어 설명 하기 때문에, 소재를 다루는 범위가 다양하며, 시대적 상황과 사상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다만, 이 책은 좀 어렵고 쉽게 진도가 나가지는 않는다.
무위자연의 도가사상과 법치주의의 법가사상의 내용을 접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이 책을 읽고 이해하기에는 큰 무리는 없다고도 볼 수 있지만, 부담 없이 편하게 읽기에는 내용이 많고, 많은 사례에도 불구하고 자꾸생각을 하게 만드는 부분이 있어서 쉽게 읽혀지지는 않은 것 같다.

책을 덮으면서 노자처럼 생각하고 한비처럼 행동하라는 이 책의 제목이 또다른 의미로 다시 눈에 들어 온다.

(이상적으로는)마음은 노자의 편을 들면서도, 
(현실적으로는) 한비처럼 행동하는 스스로의 모습에 어떠한 정당성을 부여하는 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화폐 트라우마
다니엘 D. 엑케르트 지음, 배진아 옮김 / 위츠(Wits) / 2012년 3월
평점 :
절판


http://blog.naver.com/genesis913/60158081162

<화폐트라우마>를 읽고

개인적으로 통찰력을 정의하자면 통찰력이란,
 
1. 어떤 현상의 피상적인 부분을 넘어서 내면의 본질과 인과관계를 바라보는 능력.
2. 한편, 그를 통해 향후 발생할수 있을만한 일까지 미루어 짐작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생각한다.
3. 더불어, 이 통찰력은 같은 현상을 바라보는 다수의 사람들은 간과하거나 캐치하지 못한 것이어야 하며, 
4. 개인의 고유한 시각이 녹아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점에서 화폐트라우마의 저자인 다니엘 D.엑케르트는,
적어도 현 시대의 주요한 화폐인 달러, 위안, 유로 그리고 금에 있어서는 뛰어난 통찰력의 가지고 있는 것 같다.
때문에 책을 읽는 내내 저자의 식견에 감탄하였다.

이 책은 크게 4가지 파트로 나뉜다.
1. 달러의 트라우마 : 대공황
2. 위안의 트라우마 : 화폐붕괴
3. 유로의 트라우마 : 독일
4. 금의 트라우마 : 비주류의 숙명

파트 별 소 제목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화폐의 트라우마란,
각 화폐와 그 화폐를 사용하는 국가의 역사 속에서, 혹은 문화나 국민들 속에서 흥망성쇠를 함께 하며 남아있는 무형의 트라우마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각 화폐의 역사적 사건과 그에 따른 트라우마를 고찰하여 현재 그 화폐의 성격과, 향후 그 화폐의 방향성까지 유추하고 있다.

개인적으로 과거의 역사를 통해 현재를 파악하고, 미래를 유추하는 접근방식을 좋아하는데,
사실 이러한 방식은 통찰력뿐 아니라 과거에 대한 방대한 지식과 기억력이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상당한 내공을 필요로 한다.

그런 점에서 화폐트라우마의 저자인
다니엘 D.엑케르트는 상당한 식견과 내공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결론적으로 한문장으로 이 책을 요약하자면,
이 책은 세계경제와 역사에 상당한 내공을 가진 저자가 오랫동안 숙고하고, 고심하여 집필한 흔적이 보이는 역작이다. 또한 그 깊이가 결코 얕지 않은 책 임에도, 경제나 역사등에 서투른 초보자가 읽기에도 크게 어렵지 않은 좋은 책이라고 생각한다.

* 첨가하자면, 3. 유로의 트라우마 : 독일 부분을 정독하면,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그리스로 불거진 유로문제에 대한 이해의 폭을 한층 넓힐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금리의 역습 - 경제의 99%는 금리다
염상훈 지음 / 원앤원북스 / 2012년 1월
평점 :
절판


금리의 역습!!


다소 자극적인 제목을 달고 나온 책이지만,

본 책은 기본에 상당히 충실한 책이다.

그렇다고, 원론처럼 딱딱한 이론서는 결코 아니다.


저자는 최근의 금융위기 사례를 포함하여 다양한 사례를 통해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노력한다.

이책은 그러한 저자의 노력의 흔적이 돋보이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책은 총 6가지 파트로 나뉘어져 있다.

1. 금리지식이 미래의 부를 바꾼다.

2. 금융위기, 금리가 중요한 해법이다.

3. 물가와 금리, 관계의 역동성에 주목하라.

4. 금리를 알면 경기의 흐름이 보인다.

5. 신용과 금리,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6. 환율의 기본 중 기본은 금리 지식이다.


책의 파트 제목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이 책은 파트별로 독립적인 병렬식 구성이기 때문에,

관심있는 부분부터 먼저 보거나, 나중에 책을 다시 꺼내들었을때에도 독자의 입맛대로 다시 볼 수 있다.


제도권 애널리스트 답게 경제학 논리에 그 근간을 두었으며, 

다양한 실제 사례들이 나와 있기에 입문서로서도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1 | 112 | 113 | 11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