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제국과 세계사의 탄생 돌베개 석학인문강좌 12
김호동 지음 / 돌베개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3세기에 마르코 폴로가 쓴 '동방 견문록'은 유럽에서 '성경' 다음 가는 베스트셀러가 될 정도로 대유행을 누렸다. 미지의 세계에 대한 환상적인 묘사로 가득 채워져 있던 이 책은 지브롤터 해협 안에 갇혀 있던 유럽이 자신들의 협소한 세계관을 깨고 나와 동방의 엘도라도를 찾기 위한 열정적인 탐험에 나서는 전환의 계기가 되었다.


※ 팍스 몽골리카(Pax Mogolica)
1. 유라시아 대륙을 감싸는 광대한 역참(jam) 도로망 구축
2. 본속주의本俗主義를 기초로 민족간 풍속의 다원성을 인정
3. 광범위한 통역원(켈레메치, kelemechi, 通事)과 번역원(비체치, bichēchi, 譯史) 육성으로 지식의 전파
4. 무슬림 상인들을 활용하여 농경민들의 통치 제도 수용
5. 은본위 제도를 도입하고 교초(지폐) 사용을 확대하여 세계 경제권 실현
6. 대여행의 시대 도래(마르코 폴로, 이븐 바투타, 랍반 사우마)로 세계관 변모


이러한 세계관의 확장은 몽골 제국이 구축한 세계 위에서 실현되었다. 그러나 이후 아시아가 몽골의 정치적, 군사적 업적을 모방하는 데 주력하여 서로를 견제하는 동안 유럽은 경제적 이익을 목표로 삼아 혼란에 접어든 대륙을 버리고 바다로, 바다로 나아갔다. 토끼는 계속 뛰었지만 유영(游泳)하는 거북이를 따라잡을 수 없었다.



원제국의 경우, 당시 중국을 통치했던 쿠빌라이나 그의 계승자들에게서는 중국 왕조의 전통을 잇는 군주라는 의식을 찾아볼 수 없으며, 오히려 유라시아를 지배하는 `대몽골 올루스`, 즉 몽골제국의 대칸이라는 의식을 갖고 있었다.
...
(청제국의 군주들도) 한인들에 대해서는 `황제`를 칭하면서 `덕치`를 강조하였지만 몽골리아, 티베트, 신강 등지에서는 어디까지나 내륙아시아형 군주인 `카간`[可汗]이었다. 43)

여기서 우리가 주의해야 할 사실은 유목민들의 약탈전이 실제로 필요한 물자를 `약탈`하기 위해서라기보다는 농경국가를 `협박`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는 점이다.
...
유목민의 약탈전은 부족한 물자를 빼앗기 위해서라기보다는, 정주국가의 변경을 위협함으로써 그러한 물자를 정기적으로 안전하게 확보할 수 있게 해주는 협약을 도출해 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55-6)

몽골 시대의 여행은, 참가한 사람들의 숫자는 물론이거니와 거리라는 측면에서도 과거와는 비교가 안될 정도로 비약적인 발전을 보였다. 그 결과 많은 여행기들이 쓰였던 것이고, 그것은 종래 사람들이 갖고 있던 외부세계에 대한 관념을 바꾸기 시작했다. 177)

콜럼버스는 몽골의 시대에서 영감을 받았기 때문에 그 같은 항해를 계획하고 실천에 옮길 수 있었던 것이다. 이 점은 그의 목표 지점이 바로 몽골의 대칸이 다스리고 있는 나라였으며, 그가 출항할 때 페르디난드와 이사벨라 두 국왕이 몽골의 `그란 칸` Gran Can, 즉 대칸에게 보내는 친서를 휴대하고 갔다는 사실을 통해서도 입증된다. 236-7)

명나라는 정화의 위대한 성취를 뒤로 한 채 해양으로 향한 문을 닫아버리고 몽골 유목민들이 가하는 위협을 여하히 봉쇄할 것인지에 골몰하기 시작했다. 그것은 결국 오늘날 우리가 보듯이 엄청난 물자와 인력을 투자하여 만든 만리장성으로 구체화되었다. 240)

유럽의 성공은, 몽골제국이 남긴 정치적•군사적 부담인 `내륙 콤플렉스`를 느끼지 않으면서도, 몽골의 시대가 남긴 `세계사의 탄생`이라는 축복은 누릴 수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24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