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루살렘의 아이히만 한길그레이트북스 81
한나 아렌트 지음, 김선욱 옮김 / 한길사 / 200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돌프 아이히만은 아주 근엄한 태도로 교수대로 걸어갔다.
그는 붉은 포도주 한병을 요구했고 그 절반을 마셨다

그에게 성서를 읽어주겠다고 제안한 개신교 목사 윌리엄 헐 목사의 도움을 거절했다.

‘‘ 두 시간밖에 더 살 수 없기 때문에 낭비할 시간이 없다고 했다 ‘‘

그는 자신의 감방에서 형장에 이르는 50야드를 조용히 꼿꼿이 걸어갔다.
간수들이 그의 발목과 무릎을 욲자 그는 간수들에게 헐렁하게 묶어서 자신이 똑바로 설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구했다.

검은색 두건을 머리에 쓰겠냐고 물었을 때 그는 
"나는 그것이 필요 없습니다" 라고 했다. 
그는 자신을 완전히 통제하고 있었다. 아니 그 이상이었다.

그는 완전히  자기 자신의 모습을 하고 있었다. 
그의 마지막 말로 남긴 기고한 어리석음보다도 이 점을 더 분명히 증명할 수 이느 기다. 

그는 자신이 신을 믿는 자라고 분명히 진술하면서 
자기는 기독교인이 아니며 죽음 이후의 삶을 믿지 않는다는 
점을 일반적인 나치스 식으로 표현하기 시작했다. 

그러고는 그는 "잠시 후면, 여러분, 우리는 모두 다시 만날 것입니다. 이것이 모든 사람의 운명입니다. 

독일 만세, 아르헨티나 만세, 오스트리아 만세. 나는 이들을 잊지 않을 것입니다" 고 말했다. 

죽음을 앞두고 그는 장례 연설에서 사용되는 상투어를 생각해 냈다. 
교수대에서 그의 기억은 그에게 마지막 속임수를 부렸던 것이다.

그의 정신은 의기양양하게 되었고, 그는 이것이 자신의 장례식이라는것을 잊고 있었다.

이는 마치 이 마지막 순간에 그가 인간의 사악함 속에서 이루어진 이 오랜 과정이 우리에게 가르쳐 준 교훈을 
요약하고 있는 듯했다. 

두려운 교훈,,,

즉 말과 사고를 허용하지 않는 악의 평범성(banality of evil)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한길그레이트북스 81
한나 아렌트 지음, 김선욱 옮김 / 한길사 / 200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일 덴마크인들이 스웨덴을 이웃한 축복을 받지 않았더라면 유대이은 전쟁이 끝날 때까지 숨어 있어야 했을 것이다.

 유대인이 스웨덴으로 배를 타고 건너는 것은 합리적으로 
보였고, 이 일은 덴마크 어부들의 도움을 받아 이루어졌다.

재산이 없는 사람들의 운송비(1인당 약100달러)는 대체로 부유한 덴마크 시민이 지불했는데, 
이것은 그 어떤일보다도 놀라운 일이었다. 

당시는 유대인이 자신의 운송을 위해 돈을지불한 때였으며 그들 가운데 부유한 사람들은 (네덜란드, 슬로바키아, 그리고 나중에는 헝가리에서도) 탈출허가를 얻기 위해 지역 당국자들에게 뇌물을 바쳤다. 

네덜란드의 경우 유대인은, 
1인당 5천달러 내지 1만 달러에 해당되는 금액을 
오직 현금으로만 받고 탈출만 받고 탈출허가증을 판 친위대와 합법적인 협상을 해서 결국 자신의 재산을 다 바쳐야 했다.

유대인은 진정한 동정심을 얻고 기꺼운 마음으로 도움을 받은 곳에서도 운송비를 지불해야 했기 때문에 가난한 사람들이 탈출할 기회는 없었던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177 하단.

기만과 은폐를 위해 교묘하게 고안된 다양한 ‘언어규칙‘ 가운데 히틀러가 첫 번째 전쟁을 벌이는데 살인자들의 정신상태를 작용한 것보다 더 결정적인 효과를 발휘한 것은 없었다.

여기서 ‘살인‘이란 말 대신 ‘안락사 제공‘이라는 표현이 사용되었다.

이 사람들의 최종 목적지가 여하튼 분명한 죽음이었다는 사실에 비추어 ‘불필요한 고통‘을 피사도록 히라는 지시가 조금 반어적인 것이 아니었는가를 경찰심문관이 물었을 때 아이히만은 이 질문을 이해조차 하지 못했다.

그리고
용서할 수 없는 죄는 사람들을 죽인 것이 아니라 불필요한 고통을 일으키는 것이었다는 것이 아직도 너무나 확고하게 그의 마음속에 뿌리내리고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한길그레이트북스 81
한나 아렌트 지음, 김선욱 옮김 / 한길사 / 200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오늘 또는 내일 죽는지에 대해 별 상관하지 않았다.
우리가여전히 살아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는 아침을 저주하는 때가 있었다."

 이 같은 폭력적 죽음 속에서 특히 효과적인 것은 마지막 
단계로 들어간 최종 해결책으로 총살, 즉 폭력을 통해 수행하지 않고, 가스 공장에서 수행했다는 사실이다. 

이는 개전 후 몇 주일이 지나 히틀러가 명령한 
‘안락사 계획과 처음부터 끝까지 밀접하게 연관된 것으로, 
러시아 침공 때까지 독일에서는 정신병에 적용시킨 계획이었다. 

처형 계획은 1941년 가을에 시작되었는데, 말하자면 전혀 다른 방향에서 진행되었다. 

한 방향은 가스공장이, 다른 방향은 돌격대가 이끌었다. 
특히 러시아에서는 군대의 후방에서 작전을 수행한 
돌격대는 유격대 전쟁을 핑계로 정당화 되었는데 
그 희생자들은 결코 유대인만이 아니었다. 

그들은 진짜 유격대 외에도 러시아 관료들과 집시들, 반사회분자들, 정신병자들과 유대인을 다루었다. 

유대인은 잠정적인 적‘으로 분류되었는데, 불행하게도 수개월이 지나서야 러시아 유대인은 이 사실을 알게 되었고, 흩어지기에는 이미 너무 늦어버렸다. 
(구세대들은 제1차 세계대전 때를 기억하여 독일군을 해방군으로 환영했고, 젊은이들이나 노인들 모두 ‘유대인이 독일에서 어떻게 취급되고 있는지 그리고 바르샤바에서는 
또 어떠했는지‘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듣지 못하고 있었다. 

독일정보 부대가 백러시아 지역에서 보고한 것처럼 
그들은 "놀랄 만큼 정보에 어두웠다." 더욱 놀라운 것은, 
이 지역에 당도한 독일계 유대인 가운데 때때로 자신들이 
제3제국을 위한 개척자‘로서 보내졌다는 환상에 사로잡힌 
사람들도 있었다는 것이다.) 

이들 이동 살인부대에는 모두 4부대가 있었는데, 각 부대는 대대 규모였고 총 인원은 약 3000명이었기 때문에 
무장 군대의 긴밀한 협조와 도움을 얻고 있었다. 
사실상 이들의 관계는 보통 ‘탁월했고 어떤 경우에는 
‘열렬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로테스트! - 사진으로 보는 억압과 반항의 현대사 65년
존 심프슨 지음, 이주명 옮김 / 공명 / 2012년 7월
평점 :
절판


2011년 <타임> 선정 올해의 인물, 프로테스터의 역사
"프로테스터는 정부를 뒤엎고 통념을 바꿨다. 프로테스터는 인간의 존엄성에 빛을 비췄다. 때로는 세상을 위험하게 만들기도 했지만 좀더 민주적인 곳으로 만들었다. 이런 이유로 2011년 올해의 인물로 프로테스터를 선정했다.
2011년 <타임>은 스티브 잡스를 제치고 프로테스터를 ‘올해의 인물‘로 선정해 큰 화제를 모았다.
역사 전체에 걸쳐 대중의 항의시위는 평화적인 것이든 폭력적인 것이든 개혁을 요구하고 실현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최근 튀지니와 이집트에서 일어난 혁명과 중동 전역에 퍼지고 있는 그 충격파는 변화를 추구한 ‘피플 파워‘를생생하게 상기시킨다. (프로테스트!》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60여 년간에 걸쳐 벌어진 시위와 항거를 담은 ‘사진으로 보는 역사책‘이다. 이 책은 1956년 헝가리 혁명, 1950~60년대 미국의 흑인 시민권 운동,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 2003년 이라크 침공에 대응해 벌어진 대규모 반전 행진, 2011년 ‘아랍의 봄‘ 등 대중적 시위의 역사를 수놓은 여러 가지 중요한 순간들을 포착해 보여준다. 텔레비전이 24시간 내내 뉴스를 전해주는 이 시대에도 움직임이 없는 ‘스틸 사진은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Henri Cartier Bresson)이 말한 ‘역사의 결정적인 수간‘을 포착해 보여주는 데 여전히 강력한 수단임이 분명하다. 《프로테스트》에는 존 새도비, 톰 스토다트!
마즈 니센과 같은 세계 최고의 포토저널리스트가 찍은 사진작품이 많이 실려 있다. 널리 칭송받는 사진기자 새도비가 1956년에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촬영한 사진들은 저항의 상징이 됐다. 스토다트는 유럽에서 공산주의가 몰락한 1989년에 벌어진 시위들을 사진으로 기록했다. 니센은 리비아 국민의 봉기를 사진에 담았다.
영국 BBC 국제담당 편집자 존 심프슨(John Simpson)의 글은 우리에게 많은 생각을 불러일으키고, 이 책에 인용된 사진기자 · 사진작가들의 생생한 현장 스케치는 사진 속 상황에 대한 그들 자신의 개인적 통찰을 전해준다. 눈을 뗄 수 없게 하는 이 책의 감동적인 사진들은 역사상 유례가 없는 현대사 65년의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항의시위 시대를 조망할 수 있게 해주는 창문이 되어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