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 논쟁과 한국 민주주의
김상태 지음 / 글로벌콘텐츠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새정부 들어서면서 '가야사 연구' 지원이 추진되고 있었다. 그 뉴스를 보면 대중들의 시선은 뜬금없이 가야사 지원을 하는 걸까? 하는 의문을 가지거나 한편으로는 무관심할 것이다. 하지만 역사학자는 이런 정부의 변화에 대해 적폐세력 퇴출로 볼 가능성이 크다. 그 적폐세력이란 바로 과거의 정부이면서, 지금 구속된 그 사람이다. 국정교과서를 활용해 자신의 아버지의 업적을 바꾸려 했던 그 사람의 행위를 동전 뒤집기 하듯 바꾸려는 것이다. 이 책에서 <역사와 민주주의>라는 제목을 붙인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저자는 역사학자는 아니다. 하지만 역사에 관심이 많고, 특히 고조선의 역사에 관심 가지고 있다. 여기서 저자의 특징을 엿볼 수 있는데, 주류 고대사학과 진보 사학, 재야 사학계를 모두 비판하고 있으며, 그들에게 당신들은 적폐가 아니냐고 되묻고 있다. 저자를 역사학계의 이순철이라고 부르면 맞지 않을까 싶다. 야구 선수이면서 지금 해설자로 이름이 알려진 이순철은 '모두까기 인형'이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야구와 야구 선수를 비판하는 걸로 유명하며, 그런 행동에 대해 야구팬들의 비난이 많았지만, 두산에서 야구선수로 활약하고 있는 자신의 아들 '이성곤 선수의 플레이까지 비판하는 행동 이후 잠잠해졌다.


이 책은 주류사학과 진보 사학, 재야 사학을 비판하는 책이다. 특히 한반도의 역사의 시작인 고조선의 역사를 다룬다. 주류사학계는 바로 국정교과서를 주도한 역사학계이며, 대표적인 인물로 전 국사편찬위원장 김정배가 대표적인 인물이다. 진보 사학계는 역사학자 한홍구가 대표적인 인물이며, 재야사학은 이덕일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특히 이 책을 읽어보면 방송에 출연하는 이들은 거의 대부분 진보 사학계가 주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책을 읽게 되면 왜 고조선인가에 대한 의문이 들게 되며, 그 뒤에 역사학자들의 행태를 엿볼 수 있다. 친일 청산이 이루어지지 않는 진통이 지금까지 역사에 전반적인 흐름으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 내에서 독도 문제가 흐지부지 되는 이유, 가야사에 있어서 일본의 행동이 멈추지 않는 그 뒤에는 바로 대한민국의 주류와 비주류의 역사학자들이 숨어 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동북공정도 마찬가지이다.


책에서 고조선에 대한 이야기를 읽어보면 고조선의 강역과 위치에 대해 여전히 분분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고구려 전성기때 만주와 요동을 아우르는 영토를 가졌다고 주장하는 대고조선론과 평양을 중심으로 한반도의 작은 영토에 불과한 소고조선론으로 학설이 나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대고조선론은 중국의 입장에선 반발을 불러올 수 밖에 없으며, 중국이 동북공정을 일삼는 그 이유가 무엇인지 갸늠할 수 있다. 또한 고조선의 역사에 대해 알 수 있는 유명한 책 환단고기에 대해 저자는 그 책이 역사적인 사료로서 가치가 없다 말한다.


흥미로운 역사학자 두 사람이 나온다. 바로 단재 신채호와 역사학자 윤내현이다. 우리에게 독립학자로 잘 알려진 단재 신채호에 대해 저자는 성균관 유생의 마지막 유학생인 단재 신채호의 한학자로서의 삶을 언급하고 있다. 특히 고조선 연구의 권위자인 단재 신채호는 일제 시대 일본 관변학자들의 역사 이론에 반박하는 책을 써냄으로서 그들의 역사 왜곡을 막아낼 수 있었다. 여기서 우리가 잘 알지 못하는 역사학자가 있으며, 그는 바로 윤내현이다. 저자는 그의 대표작 <고조선 연구>를 읽지 않고 고조선이 이렇다고 운운하는 것은 어폐가 있다고 말한다. 그의 고조선 연구에 대한 가치를 저자는 눈높이 사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그의 삶은 간첩과 빨갱이로 몰려 대한민국에서 크게 알려지지 못한 상태이다.


책을 읽으면서 눈여겨 본 것은 저자의 생각과 이론이 아니었다. 고조선에 대한 역사적인 사료에 더 눈길이 갔다. 도서관에 가면 보이는 역사잡지책 역사 비평이 어떤 책인지 알 수 있었고, 동북아 역사재단이 무엇인지 알게 되었다. 우리 사회의 역사에서 친일의 색채가 지워지지 않는 이유가 바로 우리 역사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주류고대사학자들 때문이다. 그들은 대중에게 전면으로 나서지 않지만 우리 역사를 기술하는데 있어서 큰 영향을 끼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주류 고대사학자와 진보사학자가 서로 비판하는 관계가 아닌 혈맹으로 맺어져 있음을 알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