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이 정답은 아니야 - 세상의 충고에 주눅 들지 않고 나답게 살기 아우름 31
박현희 지음 / 샘터사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등학교 땐 속담을 배웠고, 중학교 땐 사자성어를 배웠다. 성인이 되어서 배우게 된 명언들은 내 삶의 척도가 되었으며, 인생의 긴 줄자가 되어갔다. 나의 기준은 어쩌면 이 세가지가 뿌리 내려서 가지를 뻣어나가는 구조였던 거다. 그런데, 하나는 놓치고 있으며, 속담, 사자성어, 명언이 우리에게 때로는 폭력이 될 수 있다는 걸 간과하고 살아간다. 우리가 반복적으로 언급하는 상식이라는 것이 얼마나 허무하고 무가치한지 우리 스스로 놓치는 건 아닌지 저자의 생각과 가치관과 나의 가치관을 비교해 볼 수 있었다.


어릴 적 수도 없이 들었던 것이 있다. '공부는 때가 있다.' 이 말은 부모들이 아이들에게 공부해야 하는 당연하였고, 부모는 아이에게 공부를 강요하는 걸 당연하게 생각했으며, 공부를 못하는 학생들에게 몽둥이를 드는게 당연하였다. '사랑의 회초리'라는 단어가 어릴 적엔 얼마나 무서운 단어였는지 우리는 기억조차 잃어버리고 놓치고 살아가게 된다.


'모난 돌이 정 맞는다' 이 속담도 그런 것 같다. 모난 돌을 정으로 때려서라도 둘글게 만들려 하는 사회적 속성은 수많은 갑질을 정당화 시켜 왔다. 누군가 튀거나 돋보이려 하는 이가 있다면, 억눌러서라도 둥들게 하는 것이 사회적 관습이었다.그건  '아침형 인간' 도 마찬가지였다. '아침형 인간' 이 성공한다는 게 널리 퍼지면서, 늦게 자는 아이들이 잘못된 이유, 실패하는 이유를 분석하고, 그들의 성공과정보다는 실패과정을 되돌아 보고 있다. 


'빈 수레가 요란하다','될성 부른 나무는 떡잎부터 알아본다.' 이 속담들은 널리 쓰여지고 있었다. 하지만 지금 우리 사회에서는 빈수레가 대접받고 있다. 조용하면, 관심 받지 못하는 사회에 살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될성 부른 나무는 떡잎부터 알아본다' 도 마찬가지다. 왜 우리 스스로 될 성 부른 나무가 되려고 애를 써야 하는지, 뭔가 될 것 같은 사람이 아니라면 싹부터 짤라 버리는 기이한 사회적 구조와 현실을 돌아본다면, 우리가 생각하는 상식들이 정답이 아닐 수 있다. 속담에 따라 살아간다면, 우리 스스로 나답게 살아갈 수 있는 권리를 잃어버리고 사는 게 아닐까 생각하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