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그림이야기>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이야기 그림 이야기 - 옛그림의 인문학적 독법
이종수 지음 / 돌베개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을 읽는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 하고 생각해 본 적이 있었다. 작년 10월경인가 오주석선생님이 쓴 <한국의 미 특강>을 읽을 때 였던 것 같다. 당시 동양화, 특히 한국화에 대해서는 정말 아무 것도 몰랐다가 이 책을 읽고 머리에 띵하는 충격을 받은 적이 있었다. 정말이지 직접 강의를 듣고 싶은 충동이 일었다. 지금은 고인이 되셨기에 불가능하다는 사실이 안타깝기만 했었더랬다.

  그림은 사람에 따라 본다고도 하고, 감상한다고도 하지만 읽는다는 표현은 잘 쓰지 않는다. 그런데 읽어야 할 그림이 있다. 동양화 중 '두루마리, 축, 병풍, 삽화'의 4가지 형식으로 그려진 그림을 말하는데, 문학작품을 바탕으로 그렸기 때문이다. 책에서는 병풍을 제외한 나머지 형식은 전부 중국 작품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는 두루마리, 축, 삽화 같은 형식은 우리에게는 조금 생소한 영역이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두루마리로 소개하는 작품은 고개지의 <낙신부도>와 교중상의 <후적벽부도>다. 두 작품은 조식(조조의 둘째 아들)의 <낙신부>와 소식(소동파)의 <후적벽부>를 그림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기다란 두루마리에 이들 작품을 여러장의 그림으로 나열하듯 배치한 것인데, 옛 사람들이 두루마리를 오른 손으로 당겨서 그림을 펼치고 감상한 뒤에 다시 오른쪽으로 감으면서 다음 그림을 당겨 감상하는 모습을 상상하니 재미있기도 하다.

  축은 궤 또는 족이라고도 하는데 우리가 알고 있는 족자와 같은 형식으로 보여진다. 다만 크기면에서는 책에서 소개하는 작품으로 미루어 상당히 큰 것도 있는 것 같다. 책에서 소개하는 작품은 구영의 <춘야연도리원도>와 장대천의 <도원도>인데 이는 이백(이태백)의 <춘야연도리원서>와 도잠(도연명)의 <도화원기>를 표현한 작품이다. 축은 두루마리와는 달리 작품 전체를 '하나의 장면'으로 표현하였기 때문에 어쩌면 우리에게 더 익숙할 지도 모르겠다.

  병풍으로 소개하는 작품은 정선의 <귀거래도>와 김홍도의 <서원아집도>다. 이는 각각 도잠의 <귀거래사>와 미불의 <서원아집도기>를 각각 8폭과 6폭 병풍으로 그려낸 작품이다. 각 각의 폭으로도 훌륭한 작품이지만 전체 병풍을 펼지면 하나의 큰 그림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정선의 작품에서 시원시원한 여백미를 느낀다면 단원의 작품에서는 치밀한 구도로 완벽함이 느껴진다.

  마지막으로 소개하는 삽화는 책 속에 삽입되는 그림인데, 소개하는 작품은 진홍수의 <서상본> 삽화와 구사, 왕위군 부부의 『노신 논문·잡문 160도』중 <도우미 문객 식별법>에 있는 삽화다.

  책을 읽으면서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먼저 중국문학이나 역사에 대한 나의 일천한 지식때문이었다. 책에서 소개하는 문인이나 화가의 생소함으로 인해 번번히 읽기가 가로막혔다. 그리고 저자가 설명하는 그림의 모습을 바로 확인할 수 없었다. 물론 그림을 수록하는 편집상의 문제가 있었겠지만 특정 부분을 설명하는 곳에서 그림의 일부를 확대하여 옆에 수록했다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그랬으면 책에 소개하는 작품에 대한 저자의 해설에 훨씬 더 집중할 수 있었을 것 같다. 그래도 귀중한 경험을 한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