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한 충성 - 충성과 배신의 딜레마
에릭 펠턴 지음, 윤영삼 옮김 / 문학동네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원제 - Loyalty: The Vexing Virtue

  부제 - 충성과 배신의 딜레마

  저자 - 에릭 펠턴

 

 



  왜 역자가 Loyalty를 충성이라고 번역을 했는지, 책을 다 읽은 지금도 이해하지 못하겠다. 어쩌면 난 충성을 부정적으로 보고 있어서 그런지도 모르겠다. 필요한 것이긴 하지만, 우리 과거를 살펴보면 과한 충성은 차라리 없느니만 못한 적이 더러 있었다.

 

  책을 읽다보면 충성이라고 하기 보다는 신뢰라고 표기하는 것이 더 어울리지 않을까하는 부분도 많았다. 국가나 회사에는 충성을 바치지만, 가족이나 친구는 신뢰하는 것이 더 어울리니까. 처음에는 충성이란 단어가 익숙하지 않았지만, 상황에 따라서 신뢰라는 말로 바꿔서 생각하니 책장이 잘 넘어갔다.

 

  저자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제기하면서, 이런 상황이면 어떻게 행동하겠냐고 묻고 있다. 이런 걸 ‘가치 충돌’이라고 해도 될까?

 

  군대에서의 예를 보면, 상관에게 무조건적인 충성과 동료들 사이의 신뢰를 중요시하고 그것이 부대의 화합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그런데 상관이 이치에 맞지 않는 명령을 내린다면? 동료가 부정을 저지르고 있다는 걸 알게 된다면? 이 때 문제가 심각해진다고 저자는 말한다. 부당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고발하거나 따르지 않겠다고 한다면, 의리와 충성을 최고로 여기는 군대의 기반이 흔들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믿음이 가지 않는 동료나 상관과 목숨이 달린 전투 현장에 나갈 수 있을까? 그런 사람에게 뒤를 부탁하고 폭탄이 터지는 앞으로 전진을 할 수 있을까?

 

  하지만 반대로 생각할 수도 있다. 부당한 명령을 따르고, 부정을 저지르는 동료를 눈감아준다면 그것은 무엇을 위한 충성일까? 그게 과연 군인이 지켜야할 국가를 제대로 지키는 것일까? 우린 그런 일이 어떤 사태를 초래하는지 현대사를 조금만 공부하면 알 수 있다. 군인들이 자신들의 사적인 이익을 위해 휘하 부대를 어떻게 움직였는지, 그래서 사회를 어떻게 만들었는지 경험해왔다.

 

  비슷한 예로 회사 생활에서 상사와 회사에 신뢰가 없으면, 과연 충성을 다해서 일을 할 수 있을까? 부하직원과 상사가 믿음이 없으면, 비밀을 지켜야하는 업무를 제대로 할 수 있을까? 또한 지나친 기밀엄수의무는 혹시 회사의 비리를 숨기기 위한 게 아닐까?

 

  저자는 이런 난감한 문제를 자꾸 들이민다. 그리고 한쪽 편만 드는 게 아니라, 다양한 의견을 보여준다. 그렇다. 결론은 독자가 내리라는 말이다. 읽고 생각하고 예측하고 자신의 기준에 맞춰서 행동하라는 뜻이다.

 

  결국 이 복잡한 세상을 살기 위해서는 자신만의 가치관을 확고히 구축해야한다. 팔랑팔랑 너무도 얇아서 여기저기 흔들리는 사시나무 같은 주관이 아니라, 누가 뭐라고 해도 내가 옳다고 믿으면 끝까지 할 수 있는 뚝심. 하지만 그러면서도 동시에 다른 사람의 의견을 편견 없이 듣고 받아들일 수 있는 포용력까지. 모든 사람이 순수이성과 실천이성을 판단할 수 있는 칸트가 아니기에, 노력해야한다. 아마 그게 현대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길인 것 같다.

 

  어색한 부분 발견 ‘굳이 유다에게 묻지 않아도 들은 누가 예수인지 알 수 있었다. -p.175’ 여기서 ‘들은’ 앞에 뭔가 생략된 거 같다. 대충 문맥상 파악하면 군인들이 맞겠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