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은 나쁘다고 말하지만
가야노 도시히토 지음, 임지현 옮김 / 도서출판 삼화 / 2012년 10월
평점 :
절판


  저자 - 가야노 도시히토

 

 

  ‘폭력은 나쁘다고 말하지만’ 그 다음에 이어지는 말이 무얼까 궁금했다. 물론 ‘~하지만’이라는 말 다음에는 앞과 반대되는 내용의 문장이 이어질 거라는 예측이 있었기에, 어떤 글이 이어질까 예상할 수 있었다. 예를 들면 ‘폭력은 나쁘다고 말하지만, 필요할 때가 있다.’ 내지는 ‘꼭 나쁜 것은 아니다.’ 또는 ‘그건 말뿐이다. 법은 멀고 주먹은 가깝다.’ 등등이 올 수도 있다.

 

  그런 예상을 하면서 책을 펼쳤다. 역시나 저자는 1장에서 이렇게 말하고 있다. ‘폭력은 나쁜 것도 좋은 것도 아니다. 폭력을 인정하지 않고는 폭력을 사고할 수 없다.’

 

  고개를 끄덕였다. 난 장난으로 툭툭 쳤지만, 맞는 사람은 ‘이건 폭력이야!’라고 받아들일 수 있다. 학교 폭력을 한 아이들 대부분이 ‘우린 장난이었어요. 그 애가 오버하는 거예요.’ 라고 말한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다. 그러니 무엇이 폭력인지 정확히 알아야 할 것이다.

 

  이후 저자는 왜 살인을 하면 안 되는가에 대해 말하기 위해 칸트의 ‘정언명법’을 얘기한다. 거기서 이렇게 말한다. 무조건 안 되기 때문에 안 되는 것이다. 그와 동시에 좋은 폭력과 나쁜 폭력에 대해 이야기한다. 또한 개인 간의 살인은 안 되고 국가의 살인, 그러니까 사형이나 전쟁에서의 행위 등은 왜 허용이 되는 지 말한다.

 

  칸트의 ‘정언명법’은 무조건적인 면이 있기는 하지만, 그는 그렇기에 살인은 안 된다고 말한다. 속으로 ‘이건 뭐지?’라는 생각이 들었다. 친구를 때리는 아이들에게 이런 말을 하면 먹힐까? 맞고 오는 아이에게 이런 식으로 얘기하면 받아들일까? 고민이 되었다. 하지만 인간이기에 반드시 지켜야하는 규칙이 있는 건 사실이고, 개중에는 인간이기를 포기하고 그걸 어기는 족속들이 있기도 하다. 그래서 우리는 그런 자들을 국가 권력에 고발하고 처벌을 하길 요구하는 것이다. 물론 가끔 우리가 생각하는 방향과 다르게 판결을 내리는 국가 기관을 보면 화가 나기도 한다. 어쩌면 국가는 국민이 원하는 것을 제일 늦게 알아차리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글은 자연스럽게 국가와 폭력에 대해 얘기한다. 여기서는 국가의 탄생에 대한 여러 철학가들의 이론을 보여준다. 국가가 어떻게 해서 개개인의 시비를 해결하고 더 나아가 권력을 이용해 국민들에게 처벌을 내릴 수 있는 힘을 가졌는지 논한다. 그러면서 만약에 국가가 폭력을 휘두르면 어떻게 되겠냐는 의문을 제시한다.

 

  그 예로 저자는 야쿠자와 국가를 비교한다. 일본인이라 야쿠자가 나왔다. 미국인이었다면 마피아를 예로 들었을 것이다. 흥미 있는 건 누가 누구인지 이름을 지우고 하는 짓을 적어놓으면, 국가나 야쿠자나 비슷했다. 다만 국가가 하는 행위는 합법적인 폭력의 독점이라는 것이 다를 뿐이었다.

 

  그래서 저자는 폭력의 관리를 주장한다. 폭력이 사라지는 일은 없을 것이고 공생해야 한다면, 그것을 제대로 파악하고 관리하는 길만이 올바른 대처 자세라고 말하며 책을 마무리한다.

 

  뭔가 속이 더 막힌 기분이었다. 그러니까 제목의 ‘폭력은 나쁘다고 말하지만’에 이어질 말은 ‘그렇지만 필요한 것이기도 하니 사람들 개개인이 잘 생각하고 나름 올바르게 행하도록 노력해야한다.’라는 걸까? 이건 뭐랄까, 국가의 폭력을 정당화하는 말 같은데?

 

  주변 사람들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사람들에게 뭐라고 해야 할까? ‘한 번만 더 그러면 고소하겠어요. 개인보다 국가 권력이 더 크다는 거 알지요?’ 학교에서 다른 아이들을 괴롭히는 애들에게는 뭐라고 해야 할까? ‘남을 괴롭히는 건 도덕적으로 나쁜 거야. 집에서 그렇게 배웠니?’ 그러면 맞는 아이들에게는 뭐라고 해야 할까? ‘폭력이란 사라지지 않는 거야. 어차피 인간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거라면, 너도 잘 이용하렴.’ 이렇게?

 

  난 실생활에서 사람들에게 어떻게 말하면 좋을지 답을 얻고 싶었는데, 저자는 원론적인 부분만 설명했다. 어쩌면 원론을 알고,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는 각자에게 맡긴다는 뜻일지도 모르겠다. 기본을 제대로 알면 응용도 풀 수 있는 수학문제처럼 말이다. 하지만 사람 사이의 관계에는 변수가 너무 많아서, 어떻게 될 지 모르겠다. 문득 거의 모든 사람이 도덕적이지 않은 세상이라면, 폭력은 어떤 면을 보일지 궁금해졌다. 그러면 저자는 뭐라고 말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