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읽기능력이 평생성적을 좌우한다 - 상위 5%를 결정짓는 학년별.과목별 읽기 전략
김명미 지음 / 글담출판 / 2008년 9월
평점 :
절판



내년이면 초등학교에 입학을 하는 아이 때문에 벌써부터 긴장이 된다. 학업이나 생활면에서 과연 적응을 잘 할 수 있을까. 남들보다 뒤처지면 어쩌지 하는 불안감 때문에 여러 가지 고민이 절로 들고 있다. 예전과 많이 다른 학교분위기,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초등아이들 둔 엄마들의 이야기도 들어보고, 여러 가지 책도 읽어보고 하는 와중에 만나게 된 책이 <초등 듣기 능력이 평생 성적을 좌우 한다> 였다. 듣기 능력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알게 되어 감사한 책으로 기억 된다. 책을 읽으면서 저자의 또 다른 책 <읽기 능력>에 대한 책의 정보도 알게 되었고, 그렇게 이 책과 만남은 시작되었다.


처음 책을 펼치고 저자의 글을 읽으면서부터 나는 당황했다. 아이에게 이해를 하며 책을 잘 읽으라고 아이에게 말을 하는 것은 "부산에 가면 좋은 구경거리가 많으니 다녀 오렴" 이라고 말을 하는 것과 같으니 그동안의 아이가 글을 제대로 읽고 파악을 못했다면 바로 그 책임은 부모와 교사의 책임에 있다고 당당하게 이야기하고 있다. 과연 그동안 내가 어떤 것을 잘못했다는 것이지. 책을 많이 읽게 독려하고, 다양한 책을 접하게 해 주었는데 무슨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 무척이나 궁금했다.


아이들은 책을 읽으라 하면, 자기네가 읽은 책을 마구 쌓아 놓고 경쟁하듯 서로가 많이 읽었다 자랑을 늘어놓는다. 어떤 책을 읽었는데 라고 질문을 하면 어느새 꿔다 놓은 보릿자루가 되어 말 한마디 못한다. 어떤 책을 읽었는지 기억도 하지 못하는 것이다. 많은 부모들은 많은 책을 읽으라고 말하고 있다. 나 또한 그렇다. 독서야말로 많은 성적의 근원이요. 지식의 밑바탕이 된다며 큰소리 내며 더 이상 놀지 말고 책을 읽기를 권한다. 하지만 저자는 많은 부모들이 그동안 동일시 여겼던 독서능력과 읽기능력은 다른 개념이라고 말한다. 읽고 해독하는 수준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글을 이해하고 내용을 분석, 비판하여 전체적인 의미를 파악하는 능력이야말로 가장 중요한 읽기 능력에 해당한다고 한다.


<초등 읽기 능력이 평생 성적을 좌우 한다>라는 제목은 너무 자극적이고 부담스러웠다. 많은 부모와 아이들이 상위권에 오르기를 희망하지 그렇지 않다라고 하는 부모들은 없는데, 과연 어떤 능력을 말하는 것이기에 이렇게 거창한 타이틀을 지니고 있을지 궁금했다. 하지만 곧 알았다. 읽기 능력이 얼마나 중요한지를....11월에 치른 수능 시험지를 보고 너무 놀라서 깜짝 놀라고 말았다. 그 이유는 너무도 긴 지문과 처음 들어본 듯한 문장들이 가득해서였다. 지문을 이해하지 못하다면 시험의 정답을 찾아 내지 못하고 그들이 원하는 대학은 물론 앞으로의 미래가 걸린 문제가 바로 읽기 능력의 차이로 결정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조금은 극단적인 생각일지도 모르지만 읽기 능력 평생성적을 좌우 한다라는 말이 틀리지 않았음을 알았다.


읽기 능력에 문제점 있는 아이들은 특징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 부모와 함께 하면 늘 풀던 문제를 시험에서는 풀지 못하고, 막상 시험을 치면 안 나왔다 투덜거리고, 공부를 열심히 한다고 했는데 성적이 나오지 않는 아이, 책을 멀리하고 만화만 보려는 아이, 혼자서는 절대 책을 읽지 않는 아이 이런 아이들은 읽기 능력에 문제가 있음을 직시하고 과연 어떤 방법으로 읽기 능력을 지도할 것인지 어떤 노력을 통해 오르지 못했던 성적을 끌어 올릴 것인지 간단하지만 중요한 내용들로만 부모들과 아이들을 가르치는 이들에게 안내를 하고 있다.


아이들에게 읽기 능력은 곧 학습능력이라고 말한다. 초2부터는 읽기 능력을 길어야하고 잘못된 읽기 능력은 아이에게 로봇 증후군(의미를 모르면서 계속 읽기)만 생기게 만든다. 어쩌면 나와 내 아이 또한 로봇 증후군이 아닐까 생각이 들기도 했다. 언제부터 읽기 능력을 길러 주어야 하는지 어떻게 길러 주어야 하는지 아이를 학년별로 진단하고, 평가한다. 과목별로 읽는 방법을 알려주기도 하고, 어떤 책을 골라야 하는지 어떤 책이 읽기 능력에 도움을 주고 있는지 그동안 아이들이 가졌던 읽기 장애를 고치는 법 또한 알려주고 있다.



처음 이 책을 읽기 전에는 다독이냐, 정독이냐 문제처럼 과연 읽기 능력이 현실에 맞는 것인가 의문하였었다. 그저 내 아이의 수준에 맞는 책읽기야 말로 가장 정확하다는 생각뿐이었는데, 책을 읽고 글을 읽는다는 것에 대한 새로움을 알게 되었다. 지금 이 책을 만나서 얼마나 다행인지 모른다. 이제 곧 학교 입학하는 아이에게 급하게 서두르지 않고도 천천히 아이의 미래를 위해 대비할 수 있는 읽기 능력을 길러 줄 수 시간적이 여유가 있음을 너무 감사하게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