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혜옹주 - 조선의 마지막 황녀
권비영 지음 / 다산책방 / 200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인터넷 서점을 둘러보다 우연히 [덕혜옹주] 책소개를 보게 되었다. 덕혜옹주...내가 아는 그녀에 관한 사실은 조선의 마지막 황녀라는 단순한 지식 뿐이였다. 고종 시대에 관한 역사적인 사실은 익히 배워서 알고 있었고, 조선의 국모라 외치던 명성황후에 대한 이야기는 잘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선의 마지막 황녀였던 덕혜 옹주가 일본에 볼모로 잡혀 가 비운의 삶을 살았던 것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하던 사실이였다. 

"덕혜옹주가 대체 누구요?" 

덕혜옹주에 대해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신문기자였던 김을한의 노력으로 이루어졌다고 한다. 김을한 기자가 박정희 전 대통령에게 덕혜옹주 이야기를 청하자, 박정희 대통령은 이와 같은 질문을 했다고 한다. 그녀는 누구였을까? 조선을 사랑하고, 조선의 마지막 옹주로써의 기품과 권위를 잊지 않기 노력했던 덕혜옹주의 파란만장했던 삶을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은 조선의 백성이자, 대한민국의 국민인 우리들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녀에 대해서 아는 것이 많지 않다. 조국인 조선에게서 마저 버림받았던 비운의 여인은 오히려 일본인인 혼마 야스코의 ’덕혜희-이씨 조선최후의 황녀’ 라는 제목으로 씌여진 책을 통해서 전해지고 있었다. 그녀는 조국에게서도 외면당했음에도 불구하고, 조선으로 돌아가고픈 열망으로 인해 정신병원에 갇혀 살아야 했음에도 말이다.

초등학교에 입학하면서 우리는 학창시절 내내 역사를 접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덕혜 옹주에 대해 알지 못한 것은 우리는 역사의 드러난 표면적인 부분에만 집착하고 있기 때문은 아닌가 하는 아쉬움을 갖게 한다. 역사는 주인공보다는 주인공 뒤에 숨겨진 수많은 조연들로 인해서 이루어지는 부분이 많다. 표면에 드러나는 부분보다는 그 단면속에 숨겨진 이야기를 이제는 드러낼 때가 된 것은 아닐런지... 이 책을 통해서 덕혜 옹주가 세상에 더 많이 드러나게 된 것처럼, 그늘 속 역사도 이제는 서서히 그 모습을 보여주어야 할 때인 것이다. 우리 역사를 바로 볼 수 있을때 우리는 국가의 힘을 보여줄 수 있게 되지 않을까? 바로 국민의 단합말이다.

1912년에 태어난 덕혜 옹주는 황족이 늘어나는 것이 달갑지않은 일본인에 의해서 이름을 얻지 못했으나, 1921년 ’덕혜’라는 이름으로 황적에 오른 댓가로 일본에 볼모로 가게 되었다. 덕혜와 함께 일본에 동행하게 된 복순은 일본인에게 낭패를 보게 될 뻔한 것을 마침 지나가던 덕혜옹주로 인해 목숨을 구하게 된 나인으로 덕혜를 목숨 바쳐 지키겠다는 다짐을 한다.

"나는 덕혜라는 이름을 지어 받았다. 그것도 얼마 전에야. 그런데 이름을 얻은 대가로 일본에 가야 하는 것 같구나. 황족은 일본에서 교육을 받아야 한다는구나. 이름을 얻으면서 정식으로 황적이 됐는데 이름이 없던 때가 더 나았던 모양이다. 이름을 얻은 것이 오히려 화가 되었구나..." (본문 124p)

독살로 살해 된 고종의 죽음, 어머니 양 귀인의 죽음과 순종의 죽음 그리고 뜻하지 않는 일본인과의 결혼으로 덕혜옹주의 마음속에는 조선과 아바마마에 대한 그리움과 일본에 대한 분노만이 쌓이고 있었다.

한편 고종이 승하하기 전 옹주가 일본에 볼모로 잡혀가지 않기위해 부마로 정해졌던 김장한은 일본의 방해로 옹주와 부부의 연을 맺지 못하였으나, 그림자처럼 살라는 ’박무영’이라는 새이름으로 일본에서 옹주를 구하려는 구국청년단 단원으로 활동하면서 옹주에 대한 그리움을 달랜다.
덕혜와 결혼한 다케유키는 어쩔 수 없이 맺어진 부부의 연이지만, 덕혜의 마음이 열리기를 기다리면 최선을 다하려 노력했고, 서서히 마음이 열어가던 덕혜는 아이를 임신하면서 극도의 불안을 얻게 된다.
설상가상으로 딸 정혜는 학교를 다니면서 조센징이라는 따돌림을 받으면서, 엄마 덕혜와 벽이 생기게 된다.

"조선은 이제 없어! 망해서 없어진 나라라고! 대일본 제국의 식민지란 말이야!"

저것이 내 굴육의 마지막 징표다. 저것을 내 뱃속으로 낳았다. 저것이 외치는 저 소리, 내 삶의 뿌리까지 뒤흔드는 저 소리, 조선의 존귀함조차 부정하는 야멸친 저 소리. 저것을 내가 낳았다. 덕혜는 부들부들 떨리는 몸을 겨우 지탱한 채 정혜 앞으로 다가갔다
.
(본문 298p)

이야기는 덕혜옹주와 덕혜를 보살피는 복순 그리고 덕혜 옹주를 지키는 박무영을 통해서 그 시절의 암흑했던 조선과 일본의 모습을 그려나간다. 덕혜옹주는 조선의 권위를, 복순은 조선의 국민을, 박무영은 조선을 지켜내려는 독립운동가를 대면하는 대표적인 인물로 보여줌으로해서 조선의 암담했던 모습을 재조명하고 있다. 
일본이 패망하고 조선이 독립을 했지만, 덕혜옹주는 자신의 조국인 조선으로 돌아올 수 없었다. 그녀가 마지막으로 한국의 땅을 밟게 된 것은 정신병원에서 복순과 박무영의 도움으로 탈출을 해서야 가능했다. 

"내가 조선의 옹주로서 부족함이 있었더냐."
’아니옵니다."
"옹주의 위엄을 잃은 적이 있었더냐."
"그렇지 않았나이다, 마마...."
"나의 마지막 소망은 오로지 자유롭고 싶었을 뿐이었느니라..."
(본문 403p)

모두에게 외면당했던 그녀는 죽음으로서 자유를 얻게 되었다. 눈물이 주르륵 흘러내리는 장면이다. 덕혜옹주의 삶이 힘겨워 보였다. 조국을 그리워하는 그녀의 마음이 안쓰러웠다. 그저 강자의 힘 앞에서 순종하며 살았다면 그녀는 좀더 나은 삶을 살 수 있었을까? 그랬다면 마지막 황녀가 주는 위엄과 존귀함을 잃었겠지? 그러나 어느 누구도 그녀의 존귀함과 위엄을 알아주지 않았다. 그러기에 그녀의 삶은 더욱 비참하고 힘겨웠던 것이다. 
조국의 권위를 위해서 끝까지 옹주로서의 위엄을 잃지 않았던 그녀였기에, 역사의 그늘에 숨겨진 그녀가 다시 수면위로 올라올 수 있었다. 한 사람으로서의 삶은 포기한채 조국을 위해서 끝까지 부러지지 않았던 그녀의 옳곧음이 스스로에게는 고통을 주었으나, 역사 속에는 존귀함으로 남게 되었다.

참 다행이다. 좀 늦은 감이 있지만 이제라도 소설의 형식을 빌어서 그녀의 삶을 재조명할 수 있게 되었다는 사실이, 그리하여 사람들에게 역사의 희생양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에게 잊혀졌던 그녀가 다시 수면위로 올라올 수 있다는 사실이 얼마나 다행인 줄 모르겠다.
나는 그녀를 옹주가 아닌 여자대 여자로서 바라보면서, 그녀의 삶에 연민을 느끼지 않을 수 없었다. 그녀의 삶이 비운의 여인이 아니라, 조선의 자존감을 지키기 위해 애썼던 조선의 마지막 황녀로서 자리잡게 되는 일은 이제 우리의 몫으로 남았다. 일본 앞에서도 당당했던 그녀를 기억하는 일이 바로 그녀의 마지막 위엄을 지켜주는 일은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