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과 내기한 선비 샘깊은 오늘고전 8
김이은 지음, 정정엽 그림, 김시습 원작 / 알마 / 200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의 천재 문인 가운데 <논어>에서 이름을 지은 사람이 있답니다. <논어>의 첫 구절, ‘학이시습지學而時習之’에서 이름을 지었던 사람인데 혹시 누구인지 알겠나요? 이 사람은 어린 시절 시를 잘짓는다고 임금님께 불려갔다고 합니다. 어찌나 훌륭하게 시를 지었는지 임금님이 비단을 상으로 내렸습니다. 그 어린 아이가 어떻게 무거운 비단을 가지고 집으로 돌아갈까 했는데… 한쪽 끝을 손에 쥐고 끌고 갔다고 하네요.


이 천재의 재능을 어여뻐한 임금은 세종, 그 앞에서 시를 지어 뭇 사람을 놀래킨 사람은 ‘김시습’입니다. ‘학이시습’에서 ‘시습’을 그대로 따서 지은 이름이지요. 그러나 그는 이 훌륭한 재능에도 불구하고 이를 크게 펼칠 기회를 얻지 못합니다. 불우한 시대를 만났기 때문이지요. 세종을 이어 왕위에 오른 문종은 젊은 나이에 죽고 어린 단종이 왕위에 오릅니다. 그런데 단종은 삼촌에 의해 왕위에서 쫓겨날 뿐만 아니라 어린 나이에 죽게 되지요. 조카 대신 왕위에 오른 이, 바로 세조입니다.


불의한 시대에 등을 돌린 그는 금오산에 들어갔다고 해요. 오늘날 경주 남산이 그 산이랍니다. 금오산에서 엮은 새로운 이야기가 바로 ‘금오신화金鰲新話’라고 해요. 총 다섯편의 이야기가이 전해지는데 이 책도 글쓴이 김시습처럼 오랫동안 세상에 빛을 보지 못했다고 해요. 일본에 전해졌던 것을 한참 뒤에나 다시 들여와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읽혔다고 합니다.


이 책은 다섯 개의 이야기 가운데 두 개의 이야기를 옮겼습니다. 두 이야기의 본디 제목은 각각 <만복사저포기>와 <이생규장전>이에요. 도무지 무슨 뜻인지 모르겠지요? <만복사저포기>는 만복사라는 절에서 일종의 윷놀이같은 저포놀이를 했다는 내용입니다. 한편 <이생규장전>은 이생이라는 청년이 담을 넘어 어여쁜 처녀를 훔쳐보았다는 내용이에요. 그래서 각각 <부처님과 내기한 선비>와 <이생이 담 안을 엿보다>로 제목을 옮겼습니다. 제목을 풀어놓으니 내용이 궁금하지 않나요?


예전에 토요서당에서 초등학생들과 함께 읽었어요. 그때 초등학생이던 친구가 중학생이 되어 책꼬리를 써주었어요. ‘모태솔로 양선비의 결혼 프로젝트!’, ‘파릇파릇한 청춘들의 꽃피는 사랑, 한국판 로미오와 줄리엣!’이라고 글을 붙여주었네요. 그때 읽었던 이야기가 인상 깊었나봐요. 이제 곧 봄인데 봄과 어울리는 책이 아닌가 싶습니다.


 


… 쓸슬한 절 마당에 혼자 남은 양 선비는 소맷자락 안에 저포를 집어넣고는 법당으로 들어갔다. 들어가자마자 소매 속에 들어 있던 저포를 꺼내 불상 앞에 내려놓고는 불상을 쳐다보며 말했다.


“부처님, 오늘은 저와 함께 저포 놀이를 해 보시겠어요? 만약 제가 지면 정성을 다해 부처님께 불공을 드리죠. 대신 만약 부처님이 지면 제게 아름다운 처녀를 구해 주셔야 합니다!”


양 선비는 소원을 비는 말이 끝나기 무섭게 냅다 저포를 바닥에 던져 한바탕 놀았다. 짝도 없이 외롭게 부처님과 저포 놀이를 한 양 선비. 결과는 놀랍게도 양 선비의 승리였다. 의기양양해진 양 선비는 부처님 앞에 무릎을 꿇고 앉아 큰소리로 말했다.


“자, 이제 결판이 났으니 제 소원을 들어주셔야 합니다. 부처님만 믿고 있겠습니다.”


– 59~61쪽.

http://ozgz.net/3287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6-02-19 19: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홍길동전의 명성에 가려서 그렇지 김시습의 소설도 생각보다 재미있습니다. ^^

내사랑취두부 2016-02-24 14:20   좋아요 0 | URL
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개인적으로는 홍길동전`보다 `금오신화`가 더 재미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