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ozgz.net/bbs/?t=45




무엇 때문이었을까? 어릴 적 《어린 왕자》는 결코 쉬운 책이 아니었다. 이 책을 처음 읽었던 것이 초등학교 고학년 시절이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알쏭달쏭한​ 말들 때문에 꽤 따분하게 읽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한 번만 읽은 건 아니었던 것 같은데 대체 무엇을 말하고 싶은지 이해하지 못했다. 그 뒤 중고등학교 시절 다시 읽었는데 그때도 마찬가지였다. 남아있는 기억이라고는 끝까지 읽기 지겹다는 것 정도. 물론 남들도 다 아는 이야기, 이를테면 코끼리를 삼킨 보아뱀이나 길들여야 친구가 될 수 있다는 여우 이야기는 나름 재미있게 읽었다. 그러나 어린 왕자가 다른 별에서 만난 여러 사람에 얽힌 이야기는 도통 재미없었다.

 

토요서당에서 이 책을 읽기로 정한 것은 매우 우연적인 사건 때문이었다. 여섯 살배기 아들은 팟캐스트에서 책을 읽어주는 채널을 좋아한다. 아빠가 잠자기 전 동화책을 읽어주는 이 팟캐스트는 한동안 아들의 잠자리 친구였다. 그 덕분에 아빠는 책을 못 읽어주는 아빠라는 낙인을 얻고 말았지만. 아들의 취향 덕분에 나도 모르던 이야기를 제법 많이 알게 되었다. 대표적인 것이 《폭풍우 치는 밤에》였다. 과연 직접 읽었을 때도 그렇게 재미있었을까? 읽기가 가지는 어떤 힘이 있기 때문이리라.

 

아들을 따라 팟케스트를 듣다 보니 그 중엔 어린 왕자도 있었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내가 그렇게 재미없어한 부분을 읽어주고 있더라. 그걸 아들은 재미있게 듣고. 열중해서 들었던 것은 아니지만, 오가며 흘려 들었지만 제법 재미있더라. 여섯 살 아이도 재미있어 하는 이야기이니 함께 읽어도 괜찮지 않을까? 결국 토요서당에서 이 책을 두 달간 읽었다. 사실 두 달이란 시간도 좀 부족하긴 했다. 매주 약 30분 정도 돌아가며 소리 내 읽는데 약 2/3 정도 읽었을까? 그래도 소리 내 읽으며 만나는 이야기는 제법 다른 경험을 심어주었다.

 

저마다 다르게 읽었겠지만 이번에 읽으면서 어린 왕자가 얼마나 약하고 섬세한 인물인지를 알 수 있었다. 솔직함을 더하면 못나 보이는 구석도 있더라. 어른이 되었기 때문일까? 어른과 아이를 구분하는 저자의 상투적인 접근이 별로기도 했고. 그러나 멈추게 되는 그 부분, 정말 소중한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는 말에는 잠깐 머무를 수밖에 없었다. '소중함'이라는 자체를 생각하기 힘든 날들의 연속이지만 그래도 그 말이 가진 조그만 떨림은 여전히 소중하다.

 

오늘 두 달간의 여정을 마치고 《어린 왕자》를 끝냈다. 책을 덮으며 각자 감상과 인상 깊은 구절을 나누었다. 결말의 강렬함 때문일까? 많은 친구가 책을 읽으며 슬펐다고 했다. 그가 떠났기에. 저마다 뽑아 읽은 구절은 제 각기였다. 그중엔 어린 왕자가 여행 중에 만난 왕의 이야기를 내놓은 친구도 있었다. 이유는? 정말 말이 안 되는 이야기를 하고 있어서. 아마도 그 친구는 그 부분을 읽으며 고개를 끄덕였는가 보다. 수업을 마치고 어떤 이와 이야기를 나누는데 이런 질문을 받았다. "초등학생이 《어린 왕자》를 이해할까요?" 저마다 제 깜냥대로 읽었을 거라 대답했다. 나는 정말 그리 생각한다. 저마다 생각한, 느낀 부분이 있었을 테다. 설사 그게 보잘것없을지라도 언젠가 저들이 자라 《어린 왕자》를 다시 만나게 되었을 땐 또 다르게 읽을 수 있는 계기가 되기엔 충분하지 않을까? 결코 나쁘지 않은.   

 

하나 덧붙이면 최근 서점을 돌아다녀보니 황현산의 번역이 다시 출간되었더라. 둘 모두 읽어볼 기회가 없었기에 어느 것이 낫다고는 이야기하지 못하겠다. 비교해보며 읽어볼만하다 생각하기에 이 책도 아래에 소개해 둔다. 개인적 취향이지만 표지는 홀로 우주를 응시하는 문학동네 판이 더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