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허삼관 매혈기
위화 지음, 최용만 옮김 / 푸른숲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모는 항상 선하다. 맞는가? 자식은 항상 부모를 공경해야 한다. 맞는 얘기인가? 부모는 항상 자식을 위해 희생해야 한다. 도대체 옳은가?

여기 한 아버지가 있다. 평범한 가장인 그는 평범한 사람들이 늘 그렇듯이 험난한 삶을 산다. 다시 말하자면, 아무리 평범한 사람들의 삶도 들여다보면 제마다의 굴곡과 스펙타클로 얼룩져 있는 것이다. 되돌아보면 나의 인생도 몇 번의 꺾음이 있었다. 그 당시에는 불행이라고 생각되는 일들이 나의 인생을 제멋대로 뒤집었는데, 옛 어른들의 말씀 치고 틀린 게 없는지라, 세상만사 새옹지마, 절망적인 순간에 택한 선택들이 몇 년 후에는 가장 현명한 선택이었음을 스스로 증명하곤 했다.

허삼관의 삶이 또한 그러했는데, 이 사람의 경우에는 한 가지 특이한 점이 있다. 인생의 그런 꺾음의 순간마다 피를 판다는 것. 피를 팔러 가기 전에 물 열 사발을 마셔서 피를 묽게 하여 양을 늘리고(또는 늘린다고 생각하고), 피를 뽑은 다음, 반점에 가서 볶은 돼지 한 접시와 따끈하게 데운 황주 두 냥을 마신다.

피를 팔아서 아름다운 여자에게 맛있는 것을 사주고는 결혼을 청하고, 바람을 피운 여자를 위해 피를 팔고, 죽만 먹던 문화대혁명 시절에는 피를 팔아 처자식에게 국수를 사준다. 아들의 상관을 대접하게 위해서 피를 팔고, 아들들이 아프게 되자 죽음을 눈 앞에 두고서도 피를 판다. 피, 아무리 뽑아내어도 몸 속에서 솟아나는 화수분? 그러나 중국인들은 말하길, 몸에서 나오는 힘에는 두 가지가 있으며, 그 중 하나는 몸에서 나오는 힘, 또 하나는 피에서 나오는 힘이라고 한다. 잠자고 밥먹고 걸어가는 힘은 몸에서 나오는 힘이되, 논밭에 나가서 일을 하거나 백여 근쯤 되는 짐을 멜 때는 피에서 나오는 힘을 쓴다고.

그렇다면 뱀파이어가 피를 빤다고 한다는 것은, 단순히 체액을 들이마시는 게 아니라 희생자가 인생의 거센 바람을 힘겹게 이겨나갈 수 있는 힘의 정수, 영혼의 일부까지 들이마시는 것이 되겠다. 그렇다면 허삼관이 피를 판다고 하는 것은, 나의 몸과 마음의 일부를 팔아넘겨 인생을 돌파할 수 있는 종잣돈을 얻는 것이며 피를 팔게 한 그 사람에 대한 애정과 책임감을 의미하는 것이라 하겠다.

그러나, 언뜻 보기엔 아주 교육적인 부성애를 그리고 있을 것 같은 이런 시놉시스에 속지는 말라.(일단, 그러기엔 이 책은 너무 재미있다.) 부모는 항상 옳던가? 이 양반 허삼관, 마누라가 바람을 피워 낳은 아들의 생부에 대한 적개심에 불탄 나머지 아들들을 불러 나중에 그 놈의 딸들 두 명을 강간하라고 심각하게 가르치지 않던가? 심각한 상황에서도 웃음을 불러일으키는 허삼관의 블랙 코미디에 아버지의 거룩함은 한순간에 사라지고 말지 않던가?

이 소설 전체에 흐르는 이 분위기를 만드는 것은 탁월한 이야기꾼인 위화의 문체이다. 감정이라곤 고대소설에서나 볼 수 있듯 간결한 묘사로 대치해버리고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데 치중하는 듯한 위화의 흡인력은 대단하다. 경멸스러운 표현이긴 하지만 `손에 잡으면 떼어놓을 수 없는’ 마력. 가장 슬픈 장면에서도 견딜 수 없는 웃기는 상황을 집어넣어서 읽는 이를 아닌 밤중에 킬킬대게 만드는 잔인함. 최루성 표현으로 눈물을 쥐어짜는 대신 몹시 담백한 표현을 써서 오히려 가슴을 서늘하게 만드는 가차없음. 인물을 시시콜콜 묘사하는 대신 그들의 행동과 말로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여주는 캐릭터들은 아주 애매하다. 오, 애매하다. 착한 듯 하면서도 아주 못됐고, 정상적인 사람들처럼 행동하다가도 이해할 수 없는 땡깡을 부린다. 마치, 우리 모두 다 그렇듯이.

부모는 항상 선하다. 맞는가? 그렇진 않다. 자식은 항상 부모를 공경해야 한다. 맞는 얘기인가? 아닐 떄도 있는 것 같다. 부모는 항상 자식을 위해 희생해야 한다. 도대체 옳은가? 물론 아니다. 그럼 이 모든 희생과 인내의 대단원에서 허삼관이 뭐라고 하는지 들어볼까? “그걸 가리켜서 좆털이 눈썹보다 나기는 늦게 나지만 자라기는 길게 자란다고 하는 거라구.” 이게 바로 위화식의 감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콤한 악마가 내 안으로 들어왔다 - 무라카미 류의 요리와 여자 이야기
무라카미 류 지음, 양억관 옮김 / 작가정신 / 199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가끔가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글이 읽고싶은 때가 있다. 그것은 일본어를 한국어로 번역한 소설의 묘한 느낌을 좋아하기 때문이다. 요즘 다시 시니컬한 일본 소설을 읽고싶은 생각에 서점에 들렀다가 집어올린 것이 바로 <달콤한 악마가 내 안에 들어왔다>.

같은 일본작가 하루키의 인간형과 류의 인간형과는 천지차이를 보인다. 분명 작가의 캐릭터가 소설의 캐릭터로 투영되는 것이 틀림없는 이 차이점이란 것은 소설의 스타일과 줄거리마저 바꾸는 힘이 있다. 예를 들면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에 나오는 남자들은, 외롭고, 재즈를 들으며, 양사나이를 만나도 놀라지 않을 그런 내성적인 쓰/레/기들이다. 그러나 무라카미 류의 남자들은 다르다. 그들은 마약을 하고, 여자를 탐닉하고, 구멍이 뻥 뚫린 것 같은 쾌락에 몸을 맡기는 외향적이고 화려한 양/아/치들인 것이다. Livin' La Vida Loca!

<달콤한 악마가 내 안에 들어왔다>를 읽으면 바로 이런 무라카미 류의 남자를 만날 수 있다. 그는 매력적인 여자들에게 유혹당하며, 기가 막히게 맛있는 음식들을 온몸의 세포로 먹으며, 전세계의 훌륭한 호텔을 떠돌아다닌다. 다분히 작가의 모습이 아닐까 싶은, 그래서 읽고나서 이 책이 소설이었는지 에세이였는지도 헷갈리게 만드는 그런 캐릭터다.

소설가에 영화감독에 세계미식가협회의 임원이라는 초강력낭비남 류는 서문에서 이렇게 말한다. 일본 경제의 엄청난 거품시절에 해외에서 많은 돈을 낭비했다고. 그러나 거품이 가라앉고 일본 경제에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진 지금, 자긴 아직도 그런 생활을 계속하고 있다고 말한다. 1998년 프랑스 월드컵 때는 매일 호화로운 호텔에 머물렀고, 별 세 개짜리 레스토랑을 수도 없이 제패하고, 이동할 때는 헬리콥터를 이용할 정도로.

그리고 그는 말한다. `돈은, 써버리면, 거품 따위 일어날 수 없다. 더 벌자, 더 저축하자, 라는 서글픈 농경민적 가치관이 거품경제와 디플레이션을 일으키는 것이다. 수렵민은 낭비 밖에 모른다. 어떤 측면에서 볼 때, 낭비는 미덕인 것이다.'라고. 과연... 비틀린 논리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아예 일리가 없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그가 뭔 짓을 하든 그걸 행복해하며 인생을 즐긴다는 데야 무슨 할말이 있냐 말이다.

암튼 그의 낭비생활 와중에 씌여졌다는 이 책에는 `무라카미 류의 요리와 여자 이야기'라는 부제가 붙어있다. 역시 먹는 것을 인생에서 무지하게 중요한 가치로 생각하는 나인지라 23개의 에피소드들을 정말로 재미있게 읽었다. 거기 나오는 요리들은 트뤼프나 캐비아 같이 유명한 것들 말고도 듣도보도 못한 것들도 많고, 그 속의 사람들은 요리와 결부되어 떠오르는 인생의 순간들을 보여준다.

그러나 정말로 놀라운 것은 음식을 먹을 때의 순간을 묘사하는 그의 이미지이다.

`처음에 먹은 대합 수프의 따스함은 몸에서 완전히 사라져버렸다. 백포도주와 게로 차가워진 내장의 감각 때문에, 나는 점점 사치스런 결핍감을 느끼기 시작했다. 차가운 게살은 침묵을 강요한다...'

차가운 게살은 침묵을 강요한다... 뭔가 이해할 수 있는 기분이 든다. 그 게살을 나도 내 혀에 얹고 목구멍에 넣어서 그 감각을 느끼고 싶다. 내 몸의 세포들에게 그 맛이 어떠냐고 물어보고 싶다. 머나먼 곳의 조용히 유명한 레스토랑에서 공기를 조용히 뒤흔드는 어떤 매력적인 남자와 함께 와인잔을 부딪히고 싶다....

암튼 미국이나 코트다쥐르에 갈 일이 있으면 이 책을 쥐고 비행기에 오르고 싶다. 뉴욕에 있다는 차이나카페도 가보고 싶고, 입 안에서 녹아서 다른 존재가 되어버리는 것 같다는 코트다쥐르의 무스 쇼콜라도 먹어보고 싶다. 오감이 녹아드는 것 같은 쾌락은 죄악에 가까울까? 그렇담 기꺼이 죄를 지을 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