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삼관 매혈기
위화 지음, 최용만 옮김 / 푸른숲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모는 항상 선하다. 맞는가? 자식은 항상 부모를 공경해야 한다. 맞는 얘기인가? 부모는 항상 자식을 위해 희생해야 한다. 도대체 옳은가?

여기 한 아버지가 있다. 평범한 가장인 그는 평범한 사람들이 늘 그렇듯이 험난한 삶을 산다. 다시 말하자면, 아무리 평범한 사람들의 삶도 들여다보면 제마다의 굴곡과 스펙타클로 얼룩져 있는 것이다. 되돌아보면 나의 인생도 몇 번의 꺾음이 있었다. 그 당시에는 불행이라고 생각되는 일들이 나의 인생을 제멋대로 뒤집었는데, 옛 어른들의 말씀 치고 틀린 게 없는지라, 세상만사 새옹지마, 절망적인 순간에 택한 선택들이 몇 년 후에는 가장 현명한 선택이었음을 스스로 증명하곤 했다.

허삼관의 삶이 또한 그러했는데, 이 사람의 경우에는 한 가지 특이한 점이 있다. 인생의 그런 꺾음의 순간마다 피를 판다는 것. 피를 팔러 가기 전에 물 열 사발을 마셔서 피를 묽게 하여 양을 늘리고(또는 늘린다고 생각하고), 피를 뽑은 다음, 반점에 가서 볶은 돼지 한 접시와 따끈하게 데운 황주 두 냥을 마신다.

피를 팔아서 아름다운 여자에게 맛있는 것을 사주고는 결혼을 청하고, 바람을 피운 여자를 위해 피를 팔고, 죽만 먹던 문화대혁명 시절에는 피를 팔아 처자식에게 국수를 사준다. 아들의 상관을 대접하게 위해서 피를 팔고, 아들들이 아프게 되자 죽음을 눈 앞에 두고서도 피를 판다. 피, 아무리 뽑아내어도 몸 속에서 솟아나는 화수분? 그러나 중국인들은 말하길, 몸에서 나오는 힘에는 두 가지가 있으며, 그 중 하나는 몸에서 나오는 힘, 또 하나는 피에서 나오는 힘이라고 한다. 잠자고 밥먹고 걸어가는 힘은 몸에서 나오는 힘이되, 논밭에 나가서 일을 하거나 백여 근쯤 되는 짐을 멜 때는 피에서 나오는 힘을 쓴다고.

그렇다면 뱀파이어가 피를 빤다고 한다는 것은, 단순히 체액을 들이마시는 게 아니라 희생자가 인생의 거센 바람을 힘겹게 이겨나갈 수 있는 힘의 정수, 영혼의 일부까지 들이마시는 것이 되겠다. 그렇다면 허삼관이 피를 판다고 하는 것은, 나의 몸과 마음의 일부를 팔아넘겨 인생을 돌파할 수 있는 종잣돈을 얻는 것이며 피를 팔게 한 그 사람에 대한 애정과 책임감을 의미하는 것이라 하겠다.

그러나, 언뜻 보기엔 아주 교육적인 부성애를 그리고 있을 것 같은 이런 시놉시스에 속지는 말라.(일단, 그러기엔 이 책은 너무 재미있다.) 부모는 항상 옳던가? 이 양반 허삼관, 마누라가 바람을 피워 낳은 아들의 생부에 대한 적개심에 불탄 나머지 아들들을 불러 나중에 그 놈의 딸들 두 명을 강간하라고 심각하게 가르치지 않던가? 심각한 상황에서도 웃음을 불러일으키는 허삼관의 블랙 코미디에 아버지의 거룩함은 한순간에 사라지고 말지 않던가?

이 소설 전체에 흐르는 이 분위기를 만드는 것은 탁월한 이야기꾼인 위화의 문체이다. 감정이라곤 고대소설에서나 볼 수 있듯 간결한 묘사로 대치해버리고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데 치중하는 듯한 위화의 흡인력은 대단하다. 경멸스러운 표현이긴 하지만 `손에 잡으면 떼어놓을 수 없는’ 마력. 가장 슬픈 장면에서도 견딜 수 없는 웃기는 상황을 집어넣어서 읽는 이를 아닌 밤중에 킬킬대게 만드는 잔인함. 최루성 표현으로 눈물을 쥐어짜는 대신 몹시 담백한 표현을 써서 오히려 가슴을 서늘하게 만드는 가차없음. 인물을 시시콜콜 묘사하는 대신 그들의 행동과 말로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여주는 캐릭터들은 아주 애매하다. 오, 애매하다. 착한 듯 하면서도 아주 못됐고, 정상적인 사람들처럼 행동하다가도 이해할 수 없는 땡깡을 부린다. 마치, 우리 모두 다 그렇듯이.

부모는 항상 선하다. 맞는가? 그렇진 않다. 자식은 항상 부모를 공경해야 한다. 맞는 얘기인가? 아닐 떄도 있는 것 같다. 부모는 항상 자식을 위해 희생해야 한다. 도대체 옳은가? 물론 아니다. 그럼 이 모든 희생과 인내의 대단원에서 허삼관이 뭐라고 하는지 들어볼까? “그걸 가리켜서 좆털이 눈썹보다 나기는 늦게 나지만 자라기는 길게 자란다고 하는 거라구.” 이게 바로 위화식의 감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