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캉과 정신의학 - 라캉 이론과 임상 분석
브루스 핑크 지음, 맹정현 옮김 / 민음사 / 200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라깡을 이해하는 사람은 드물다고 말하는데(프랑스 사람 라깡의 에크리를 보고 뭔소리인지 모르겠다고 할 정도니) 이 책은 라깡이 임상에 대하는 태도에 대해  잘 적은 책이다.

 

가장 감동 받은 부분은

 

 1.환자는 증상을 즐기며, 증상은 쾌락을 얻는 유일한 방법이고 실제 환자는 증상에서 벗어나고 싶어하지 않으며, 치료에 대한 의지나 욕망도 갖지 않는다

  => 나도 아플때 그러한 것 같다. 아파도 병원가지도 않고, 고통이 몸의 각 부분을 돌아다니는 것을

즐기며 관찰하니.

 

 

 2. 실재란 언어로 표현되거나 공표되지 않은 것이다. 이는 분석에 의해 상징화되어야 한다

 => 회사에서 실제 업무도 그러하지.........

 

정말 맞는 말 같다.

 

 누군가 심리학이나 정신관련된 뛰어난 전공자가 나와서 에크리를 완변 번역해주는 일이 생기기를 바라며, 그전에는 '라깡과 정신의학'이 라깡을 이해해야할 가장 쉬운 책으로 보인다.

 라깡에 대해선, MTV 철학자 '지젝'의 설명보다 맹정현씨 글이 더 잘 이해된다.

 

 별 3개는 내가 다 이해하지 못해서(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어찌 라깡을 이해하리...)주는 것...

 

 추신: 내가 3번째로 좋아하는 말이 라깡이 한 말이다.

 "나는 내가 생각하는 곳에서 존재하지 않고, 존재하지 않은 곳에서 생각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fledgling 2016-01-19 23: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요즘 풍부한 리뷰 자주보니 좋군요! ^^

보빠 2016-01-19 23:5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깃털 풍성한 fledge님 겨울 따뜻하게 보내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