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깥은 여름
김애란 지음 / 문학동네 / 2017년 6월
평점 :
유난히 무덥고
습한 올해 여름이다. 잠시나마 더위를 잊고자 집 앞 카페에서 김애란 작가의 신작을 펼쳐보았다. 책 표지를 보면서 화사함과 함께 시원한 청량감을 느낄수 있었다. '바깥은
여름'이라는 이 소설집에서 처음으로 만나게 되는 소설은 '입동'이다. 바깥은 찬란한 여름인데 소설 속 주인공들은 왜 가슴으로 겨울을
겪어내고 있는 것일까?
소설의 주인공들은
모두 상실의 경험을 겪거나 현실에서 결핍을 느끼고 있다. 소중한 아이를 잃은 '입동'의 부부가 그렇고, 유일한
벗인 강아지와 이별한 '노찬성과 에반'의 찬성이 그렇다. 또한 특정 시공간을 같이 겪어낸 연인과 이별을 하는 '건너편'과 남편과의 사별을 다룬 '어디로 가고 싶으신가요'도 같은 주제를 다룬다. '풍경의 쓸모'에서는 소설집의 제목이 된 다음과 같은 구절이 등장하기도 한다.
"문득 유리 볼 속 겨울을 생각했다. 안에선
하얀 눈이 흩날리는데, 구 바깥은 온통 여름일 누군가의 시차를 상상했다."
소설 속 인물들은 '입동'의 부부처럼 욕실 유리컵에 꽂힌 세 개의 칫솔과 빨래 건조대에
널린 각기 다른 크기의 양말, 앙증맞은 유아용 변기커버를 보며 그렇게 평범한 사물과 풍경이 기적이고
사건임을 경험하며 살아왔다. 사소하고 시시콜콜한 하루가 모여 한해가 되고, 그런 한해가 쌓여서 만들어지는 인생은 누구에게나 값지고 귀한 것이다. 그런
하루 하루가 존재하였기에 쓸모와 필요만으로 이루어진 '기능적 생활'을
벗어나 여유를 풍경으로 두는 '삶'이 가능한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실'과 '결핍'의 경험은 그들의 삶의 온도를 변화시킨다. 이러한 온도 변화는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과 공간 감각을 둔화시킨다. '어디로
가고 싶으신가요'의 명지와 같이 내 앞의 '청명'이 남의 집에서 뗀다 붙인 커튼처럼 느껴지고, 눈앞에서 아름답게 펄럭이는 '현재'가 좋았던 과거 같기도 다가올 미래 같기도 하지만 어찌 됐든
현재의 내 것 같지는 않은 기분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소설들을 관통하고
있는 '상실'과 '결핍'이라는 주제도 그렇지만 이들이 사건의 당사자가 아닌 사건 이후 남겨진 이들이라는 점에서 소설은 더 어둡게 다가온다. 김애란 작가의 전작 '두근두근 내인생'에서 선천적 조로증에 걸린 아름이는 삶의 시련에 대해 성숙하면서도 생기발랄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삶에 대한 긍정성은 세상과 힘겨운 싸움을 하고있는 스스로를 위한 다짐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남겨질
부모에게 전하는 위로이기도 하다. 이와 달리 '바깥은 여름'의 인물들은 세상에 남겨진 이들이기 때문에 긍정적 태도 보다는 현실을 바라보는 냉혹한 시선이 더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남겨진 이들은 결코 없던 일이 될 수 없고, 잊을 수도 없는 일들을
품에 안은채 고통속에서 삶을 견뎌내야 하기 때문이다.
삶을 살아가면서
상실과 결핍을 대면하게 될 때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들은 저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가리는 손'의 재이 엄마의 말처럼 인간이란 각자 최선을 다함에도 불구하고 누군가의 잘잘못 때문이 아닌 서로의 고유한 존재
방식과 중력 때문에 헤어짐을 겪게 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극복을 위해서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이해'이다. 이해는 자신이
처하게 된 상황에 대한 이해가 될 수도 있고, 이미 사건을 겪었거나 체험중인 타인에 대한 이해가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재이 엄마의 말처럼 '이해'란 자리에 누울 때 벗는 모자처럼 피곤하면 제일 먼저 집어던지게 되는 품이 드는 일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해’는
몰이해의 꽃매의 형태로, 잘 포장된 예쁜 합리성의 형태로 변질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스마트폰의 음성인식 프로그램도 갖추고 있는 예의를 생략하거나 걱정을 가장한 흥미의 형태로 다기오기도 한다. ‘이해’란 타인과의 온도를 맞춰가는 과정이며 이는 상대적
성숙의 시간을 요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노찬성과 에반'에서 찬성이가 에반의
얼굴 군데군데를 공들여 바라보며 차라리 죽는게 낫다는 아픔의 크기를 가늠해본 것처럼 이 여름 제철의 싱그러움을 느끼지 못하고 겨울의 냉혹함만을
느끼고 있을 그 누군가의 고통을 생각해보았다.
책을 덮고 다시
표지를 바라보았다. 처음에 화사하게만 느껴졌던 표지에서 벽지의 푸른색과 여인이 입고 있는 원피스의 노란색이
대비되어 눈에 들어온다. 괴테는 세계적인 대문호이지만 빛과 색채를 연구한 과학자이기도 했다. 그는 자신이 저술한 '색채론'에서
색의 근원을 노랑과 파랑 두가지로 규정한다. 노랑은 빛에 가장 가까운 색이고 파랑은 어둠을 대표하는
색이기 때문에 이 두가지 색의 조화는 빛과 그림자, 힘과 나약함, 포용과
분리를 상징하며 두가지 색의 공존은 역동적인 의미를 생성하는 근원이라는 것이다. 괴테가 쓴 첫 소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에서 베르테르는 삶의 마지막 순간에 노란색
조끼와 푸른 연미복을 입고 있다.
나는 푸른색 벽지와
노란색 원피스에서 '겨울'과 '여름'으로 대표되는 것들을 떠올렸다. 어두운 자기만의 방으로 들어가고 있는 여인에게서 다른 이들과 다른 온도를 지닌채 세상을 다른 시공간으로 느끼며
살아가고 있는 그 누군가를 떠올렸다. 베르테르의 열정적 사랑이 금빛 물결이 되어 흘러가다가 현실의 벽
앞에서 좌절하여 저 푸른 심연 속으로 사라진 것처럼 우리는 삶 속에서 빛과 어둠, 기쁨과 슬픔은 연결되어
있음을 느낀다. 이러한 삶의 거대한 순환 속에서 어둠을 빛으로, 절망을
희망으로 바꾸는 힘은 무엇일까?
그 희망적인 해답의
실마리는 소설집의 마지막에 등장하는 '어디로 가고 싶으신가요'의
명지에게서 찾아볼 수 있다. 소설에서 명지의 남편이 목숨을 걸고 구하고자 했던 아이의 누나에게서 온
편지는 명지가 두 손으로 식탁 모서리를 잡고 어딘가에 기대서라도 앞으로의 삶을 지속해나가야겠다는
의지를 불러일으킨다. 결국 상실과 결핍의 고통에서 벗어나게 해줄수 있는 것은 사람의 온기였다.
"아, 내가 아는 것은 누구나 다 알
수 있으니, 유일하게 내 것이라 할 수 있는 것은 이 마음 뿐이라네."
샤롯데를 향한
마음의 열정과 진심은 이 세상에서 유일하다고 자신있게 말하는 베르테르의 진정성, 그것이 상실과 결핍의
고통을 딛고 하나의 삶이 또 다른 삶에게 닿을 수 있는, 삶의 온도와 시차를 좁힐 수 있는 ‘이해’의 단초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여름의 열기를
흡수해 공기중으로 기화한 수증기가 주문한 더치 커피잔의 표면에서 물방울이 되어 떨어지고 있었다.
#김애란, #바깥은 여름, #문학동네, #입동, #노찬성과 에반, #건너편, #침묵의 미래, #풍경의 쓸모, #가리는 손, #어디로 가고 싶으신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