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마 모랄리아>에서 2번 단장이 이런 문장들로 끝난다. 

"가족이 소멸하면서, 부르주아지의 가장 실행력 있는 대행체만이 아니라 

저항도 사라진다. 그 저항은 개인을 억압하기도 했지만 또한 개인에게 힘을 주었던 저항, 어쩌면 

개인을 생산했던 저항이다. 가족의 종말은 저항하는 힘을 마비시킨다. 현재 부상하는 집단주의 질서는 

무계급 사회의 조롱이다. 그 질서는 부르주아와 함께 유토피아도 청산하며, 그 유토피아는 한때 어머니의 

사랑에서 힘을 길었다." 


the Utopia that once drew sustenance from motherly love. 

이런 구절에서 "motherly love" 같은 표현엔 온당히 의심의 시선을 보내야할 것이긴 하다. 

이런 구절만이 아니라, 아도르노가 하고 있는 가족의 옹호 자체에 (전면적인 건 아니라도) 유보적일 수밖에 없는 독자들, 연구자들 있을 것이고. 그러나 기억해야할 건, 아도르노는 정말 "해피 패밀리" 출신이라는 것. 그의 가족이 존재하지 않았다면, 누군가 그의 가족을 발명해야....... : 그런 가족이라는 것. 사실 그래서 위의 문장들의 경우, 그것들이 말하는 진실의 예가 그 자신이다. 그를 강한 사람이 되게 했고, 어쩌면 그를 생산했던 게 그의 가족. 그의 저항력의 원천이 그의 가족. 


나만의 생각이 아니라 수업에서 학생에게도 들었던 "행복한 결혼은 없다, 모순 형용이다". 

행복한 결혼이 드물다면, 행복한 가족은? 


좀 전, 맥주 마시면서 조금만 더 채점하고 자야겠다며 맥주 사서 들고 집으로 오는데 

(아빠 ))))))  (아빠)))))))  (아빠)))))) : 골목에서 여자아이가 애타게 아빠를 부르는 소리가 메아리침. 

곧 아빠 등장(등판?). 엄마와 그 아이의 자매도 등장. 그리고 그 4인 가족은 손에 손을 잡고 웃고 서로를 부르며 나를 지나갔다. 


지금처럼 바로 집근처 길들 산책하기 전에는 서대문의 안산에 거의 매일 다녔었는데 

어느 날 산에서, 저런 다정한 부자도 있나 놀라웠던 아버지와 아들을 봄. 아들은 아마 9세, 10세. 이제 도저히 "아기"일 

수는 없으나 그래도 조금 아기같은 때. 아버지는 한 삼십대 중후반. 그들의 놀라웠던 다정함을 글로 재연하기는, 지금은 어렵다 (맥주 마시기 시작. 시간도 없고). 하여튼 나는, 이것만으로 확신할 수는 없겠지만 도시전설에나 등장하는 줄 알았던 부자관계, 가족도 세상엔 있는 게 분명하다며 놀람과 함께 하산. 그런데 그게 처음이었을 뿐이고 산에 다니던 세월 동안 자주는 아니어도 꾸준히 그런 부자와 부녀들을 봄. 


저항력의 본진, 가족을 지킵시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