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나 아브라모비치. 

세르비아 출신 퍼포먼스 아티스트, 뉴욕에 살고 있다는 

그녀가 올해 출간한 회고록, Walk through Walls. bbc radio3의 그녀 인터뷰에서 

인터뷰어가 저런 단어를 쓰는 걸 들음. aerie faerie, 혹은 airy fairy. 


"우리 존재는 빈곤해졌어요. 영성, 꿈에 대한 이해가 얕아졌어요. 

고대의 여러 문명들을 알아가면서 나는 이 문명들이 가졌던 자연과의 관계를 재발견하고 거기서 많은 걸 배웠어요. 

이 문명들은 (우리 몸의, 자연의) 에너지들을 이해했어요. 공연을 할 때, 우리 육체가 그것이 가진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그 지점까지, 나의 이해와 진실을 추구해야 해요." 


그녀가 대략 저런 얘기를 하고 (영어가 그녀에게 외국어기도 하지만 

여하튼 분명치 않거나 부정확한 대목들도 적지 않고 억양도 강한 편이라 잘 알아듣기는 힘들다) 그러자 인터뷰어가 하는 말: "It might sound to listeners as if we are talking about something a little bit aerie faerie, but of course as you say your work is very grounded in the body. And indeed in pain. (...........)" 


본 적도 없고 들은 적도 없던 (여기서 처음 들은) 단어인데 

조금 감탄했다. 허황한. 뜬구름잡는. 공허한. 환상적인. 등등의 의미로 쓰기에 이렇게 좋은 말도 있었구나. 

바슐라르에 대해 비판적인 어떤 사람들이 바슐라르 문장의 특징을 말하면서, 예를 들어 "diffusely evocative" 같은 구절을 쓸 때, 그들이 실제로 쓰고 싶었던 말은 "aerie faerie"였을 수도 있겠다. 


*그러나 물론 저런 사람들에겐 

"당신은 이해하지 못합니다"고 해야 한다. 

언뜻 그렇게 보일 언어가 실은 그러니까 프루스트처럼 (프루스트는 무엇보다 "극상의 감수성과 극상의 강인함의 결합 combination of the utmost sensibility with utmost tenacity" 보여준다 했던 울프, 그 지점에서) 작고 일시적인 것이 품은 위대함... (그런 거) 보여주기 위해 필요한 날카롭고 강인한 지성 담고 있다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