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오는 것들>에서 나탈리 부부의 서가가 이혼하기 전. 

<서재 결혼시키기> 이 책에서, 결혼과 함께 부부가 하게 되는 서재도 결혼시키기를 격하게 감동할 만한 일로 

쓰지 않았던가. 아닌가. 양가적이었나. 이것도 지금은 없는 책이라 당장 확인할 수는 없는데 기억하기론, 바로 그래서 

나는, 에이 그건 아니지 했던 것 같음. 책들도 지극히 사적, 개인적인 물건이어서 개인 소장인 책들은 은밀하게 자기들끼리 있게 해주어야 하지 않나. 이별 선고 후 남편이 자기 책들 빼간 다음 나탈리가 


내가 노트도 많이 했던 레비나스도 가져갔어. 

아니 부버도 가져갔네? 


이럴 때, 집이 좁아 어쩔 수 없이 한 곳에 둘 수밖에 없었던 게 아니면 

절대로, 더더구나 '애독'했던 책이면, 내 책이 아닌 책들 사이에 두어선 안된다.....  

이런 생각 들 만하다. 왜 그랬어 왜 그랬어. 그 점에서 예민한 사람에겐, 조금 공포스웠을 수도. 

원래 남편 책을 자기 책처럼 보았던 마음대로 보았던 거면, 남편의 입장에서. 





결말에서 나탈리의 딸, 아들과 뒷편의 서가. 남편 책 빠지면서 비었던 공간이 나름 채워진 다음. 

딸, 아들이 들고 있는 얇은 책이, 파비안이 딸이 낳은 아기 선물로 보낸 어린이를 위한 철학 책들. 

아들이 "철학 하기엔 너무 이른 거 아니에요?" 하면서 웃는 장면. 




파비안과 근황을 나누고 공원을 산책함. 산책하면서 나탈리는 파비안에게 이런 얘길 한다. 


여자는 마흔을 넘기면 끝이야. 

마흔을 넘기고도 사랑할 사람을 만나는 일은 영화에서나 일어나. 

(...) 심각한 건 아냐. 내 인생이 끝난 것도 아냐. 

사실 내면 깊은 곳에서, 지금 상황에 준비가 되어 있었어. 

날 동정할 필요는 없어. 지적으로 충족될 수 있었으니 다행이지. 

그것이면 충분히 행복해. (I'm lucky to be intellectually fulfilled. It's enough to be happy). 


파비안은 "What wisdom"이라며 지지. 여기 이 두 문장, I'm lucky to be intellectually fulfilled. It's enough to be happy. 이 두 문장 놓고 생각해 보고 싶어진다. 어쨌든 "지적인 충족이면, 족하다"는 적지 않은 경우 진실일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