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인 17강: 


오늘 좋은 삶이란 나쁜 삶에의 저항, 가장 진보적인 정신들이 투명하게 간파하고 비판적으로 해부해 온 나쁜 삶에의 저항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는 가능하지 않다고만 말할 수 있을 겁니다. 이 부정적 처방 외의 어떤 지침도 구상할 수 없습니다. (....) 내가 염두에 두는 건 간파된 모두의 규정적 부정, 그리고 우리에게 강요된 그 전부에 우리의 저항의 힘을 집중하는 능력입니다. 이 문제들에 대해 반성하면서 작정하고 그것들에 저항하기, 우리의 무력함을 자각하면서도 그런다는 것 외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습니다. 세계가 우릴 통해 만든 그것에 저항한다는 건, 우리에게 저항할 권리가 있으므로 외부 세계에 저항한다는 뜻이 전혀 아닙니다. 그런 시도는 언제나 "세상의 이치"를 강화할 뿐이며 그 "세상의 이치"는 우리 안에도 이미, 언제나 존재하고 작동합니다. (나쁨에) 합류하고 싶다는 유혹을 느끼는 우리의 일부, 그것을 향한 저항의 힘을 우리는 가동해야 합니다.


아도르노가 어떤 극단적인 말을 하든 

"천재에게 실수는 없어. 천재의 실수는 발견의 관문." 이 말(율리시스에서 스티븐. 음 기억을 믿을 수 없으니 이게 맞는지 구글 검색이라도 해봐야겠지만, 아마 맞을 것이다. 이 말 오글거리지만, 진실 아닌가?) 적용될텐데, <도덕 철학의 문제들> 강의 마지막 강에서 하는 말들은 예외다. 아도르노 자신 지금 자기 말을 온전히 확신하지 않는다고 보게 하는 면들이 여러 곳에 있기도 하다. 언어도, 방어-공격적. 


이 대목에 내가 적은 노트를 보니 이런 것도 있다: 아도르노의 비관주의. 이런 말을 할 수 있다면, 

여기야말로 그런 곳이다고 생각. 출구가 있어도 보지 않는다. 그런 의미에서. 

뭔가 기특해져서 잠시 스스로를 쓰담쓰담. 잘 적어두었다, 과거의 나야. 

출구가 있고 그것을 보았음에도 다시 보기를 거부할 때. 그런 때가 비관주의 아닌가? 

출구가 없거나, 있지만 못 보았다면. 볼 수 없었다면. 그 때의 출구없음은 정확하거나 정직한 인식이지 비관주의가 아니지 않나? 


아도르노는 고독을 믿지 않는 것인데, 

그건 사회가 인간을 만드는 정도를 (어쩌면, 고의로?) 과대평가하는 것 아닌가? 




아도르노에게 고독은 언제나 고립이었을 것이며, 

그건 그가 깊은 충족을 주는 인간적 유대, 더 행복할 수 없는 타인과의 공존을 

내밀하게 아는 사람이었던 때문일 것같다. 넘치게 사랑받고 행복했던 아이가 그대로 나이만 먹은 것이 (청년에서 노년까지) 아도르노. 그런 아이가 가졌을 모든 매력, 그런 아이가 자극할 모든 반감이 그의 것이었다. 이런 회고를 그의 측근들이 여럿 남기기도 하지 않았나. 




*아 악몽같은 알라딘 서재 자동로그아웃. 

좀 전 또 자동로그아웃 발생해서 (요즘은 글쓰고 있으면 열어둔 다른 탭에서 수시로 로그인 여부를 확인하기까지 함에도) 꽤 많이 날아갔다. 1분간격 저장이라는 건 맞음? 내가 1분 동안 그렇게 많이 쓸 것같음? : 알라딘에게 묻는 말. 


기억에 기대어 복구하려다, 조금 해보고 포기. 

우리를 만든 세계만이 아니라, 아니 어쩌면 그보다 더, 세계가 만든 우리에 저항하라는 아도르노 말이 

한편 얼마나 진리냐고 적어두려던 포스트였다. 읔. 나중 다른 포스트에서 이어서 쓰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