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자기 전 잠시 보았던 책은 이것이다. <철학자들의 싸움: 루소, 흄, 인간 이해의 한계>. 

1장의 끝에, 비몽사몽간에 웃게 만든 문장이 등장한다. In the end, we are shocked that philosophers are as thoughtless as the rest of us. 


이 문장이 있는 문단은: 

"철학은 이제 직업이 되었고, 철학을 "한다"는 건 물리학이나 심리학, 문학이나 통계학을 "한다" 할 때와 다르지 않은 게 되었다. 이 경향에 반대하는 비주류 고대철학 사학자 피에르 아도는 우리 시대에 철학이 관료들의 활동이 되었으며, 이 관료들에게 중요 과제란 그들 자신을 재생산하는 것임에 우려를 표한다: "to form other bureaucrats, rather than form man." 그는 고대 철학이 단지 이론적 담론에 불과하지 않고 삶의 기예이기도 하다고, 우리의 삶이 우리의 생각과 일치하도록 하는 하나의 방법이라고 논해 왔다. 알렉산더 니하머스도 비슷한 입장에서 글을 써왔다. 우리가 우리의 초-전문화 시대에 우리 시야 바깥으로 밀어내버린 중대한 문제들, 고대인들은 그 문제들을 알고 있었다고 그는 말한다. "이론과 실천, 담론과 삶은 서로 영향을 끼친다. 사람들이 철학자가 되는 건, 그들이 최선의 인간 유형이 되고자 하며 또한 될 수 있기 때문, 인간이 살 수 있는 최선의 삶을 살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무엇을 믿는가와 우리가 어떻게 사는가는 직접 연결되는 문제들이다." 철학의 몰락에 대한 이런 근심들에 우리의 감수성은 반응하게 마련이다. 철학자가 전체주의 정권을 돕고 또한 그 정권에 (정신적) 안락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때 우리는 충격을 받지 않는가. 철학자들이 우리만큼 생각 없다는 데 우리는 충격을 받지 않는가." 



밑줄 친 마지막 부분에 담긴 내용이 2장 이후 어떻게 반복, 변주될까 궁금하다. 

이 점과 관련해 이 저자들은 무슨 얘길 하고 싶었던 것이며, 하고 있을 것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