랑프리의 나폴레옹 전기. 영어 번역 먼저 읽고 

이것과 비교하면서 불어 원서로 1권부터 다시 시작했다. 

내용을 조금이라도 미리 알고 읽으면 당연히 이해가 조금이라도 더 잘 된다. 외국어 독해할 때, 내용을 미리 알고 읽지 말고 아예 모르고 읽어야 그게 공부다 쪽인 사람들도 있지만, 나는 그 반대. 완전 반대. 잘 모르는 외국어를 독해할 때, 그 내용을 미리 잘 알면 알수록 공부가 된다 생각한다. 내용을 이미 잘 알수록 단어들을 (처음 보는 단어라도) 더 명확히 이해하고 (뉘앙스, 용법 뭐 등등) 기억하고 문장 구조가 더 선명해지고 등등. 


아무튼. 발자크 제한과 함께 하는 것이 이것, 불어 공부. 한없이 더디어도 상관없음. 뭐 어차피. 쎄라비. 케세라세라. 발자크도 영어 번역 다 읽고 나면 불어 원서로 다시 시작. 


랑프리의 책을 원서로 읽는다면 놓칠 수 없겠지만 번역으로 읽으면 아마 거의 확실히 놓칠 것. 원서에 존재하지만 영어 번역에서는 상실되는 것 (lost in translation). 그런 것 중에 "도덕 (morale)" 이것이 있다. 


도덕적 패배. 도덕적 승리. 도덕적 충격. 도덕적 효과. 

저런 구절들이 반복적으로 쓰인다. 사건과 인물들을 평가하는 중요한 (거의 궁극적인, 최종의) 기준. 


프랑스어의 "모랄"이 영어의 "모럴"이 아니고, 그걸 한국어에서는 "도덕"으로 옮길 수 없고 다른 마땅한 역어가 필요하고. 이 점을 세밀하고 깊이있게 파고 드는 논의도 가능할 것이다. 그런 역어가 지금 없다면 나올 때까지 "도덕"으로. 프랑스어의 "morale"은 그게 "도덕"임에도 도덕을 넘어 인간의 심리적 반응 영역 전체를 보게 하는 단어 같다. 인간이 심리적 존재라면 그 존재를 움직이고, 살게 하고 죽게 하는 그것이 "모랄." 


바슐라르의 책들에서 "모랄"은 아주 자주 쓰이지만 "윤리 (영어로 ethic, ethical, 불어로도 철자 거의 같은)"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아마 단 한 번도 쓰지 않았을 것이다. 이게 어쩌다 우연히 그렇게 된 사소한 사실이 아니고 최소 논문 하나를 쓸 만한 주제일 것이다. 프랑스 정신, 그것의 중요한 일면을 보게 하는 논문이 나올지 모른다. 




랑프리는 자신이 역사가로서 나폴레옹 전기를 쓰고 있음을 반복해서 말한다. 

역사가가 역사를 "모랄"의 관점에서 이해한다는 것. 역알못 (역사가 알못;;;) 입장에서 그냥 짐작에 불과하지만 거침없이 말해본다면, 위대한 역사가는 다, 예외없이, 그랬을 거 같다. 위대한 역사가는 반드시 모랄리스트이기도 했을 거 같다. 그러나 역사 연구가 전문화하면서 도덕/모랄은 역사학에서 추방되는데........... 


랑프리의 경우엔, 일관되게 모랄리스트로서 역사를 이해하면서, "희생자 비난하기(blaming the victim)" 이것이 역사의 기록 안에 절대 들어오지 못하게 만든다. 입장 불허. 추방. 그의 책이 "엘리트들에게 호소력을 가질" 책이고 "대중을 밀어내는 힘"을 가진 책이라는 서평은 이 면모를 지목하는 평이기도 하다는 생각 든다. "희생자 비난하기"가 거의 만인에게 어느 정도는 정신의 습관인 (포악한 사회에서 생존하기 위하여) 것인데, 그 습관이 낯설어지게 한다. 


...................... 아무튼 참으로 뜻밖에도 이곳저곳에 감탄할 면모들을 감추고 있는 프랑스 저자들, 프랑스의 역사. 문화. 그렇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