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무슨 시력테스트도 아니고. 책 표지. 아도르노, <권위주의적 성격>. 

나는 이 책 제목도 너무 좋다. 권위주의적 성격. 그래 그런 걸 연구해야지. 오래. 

그걸 연구해주셔서 영원히 감사하겠. 


올해 들었던 강의 중에 

시카고 대학에서 박사하고 그리 유명하지 않은 리버럴 아츠 칼리지에 재직하는 중국 철학 연구자의 <논어> 읽기 강의 있었다.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to study and then find opportunities to make use of it, is this not indeed a pleasure?) 


저런 영어 번역 들으면 

ㅋㅋㅋㅋㅋㅋ 웃게 됐었다. is this not indeed a pleasure? (응? 어쩌라고... ㅋㅋㅋㅋㅋ) 


덕불고 필유린도 나옴. virtue is never alone, it must have neighbors. 

"군자"가 예전엔 "gentleman"으로 번역되었는데 이 역어는 (젠틀맨... 젠틀맨이 군자라니) 빅토리아 시대를 너무 연상시키는 역어이고 요즘은 "person of supreme conduct"로 번역되기도 하고 몇 선택들이 있다고 한다. 번역하지 말고 한자 그대로 쓰자는 의견도 소수 의견이긴 하지만 존중 받는다고. 


C. 라이트 밀즈의 <사회학적 상상력>. 이 책이 규정하는 사회학적 상상력. 

그것과 <논어>의 세계가 얼마나 공명하는가. 이런 얘기 들으면서, 그러니까... 고전은 이렇게 읽어야 하는 거 아닌가. 같은 생각 했었다. 이 시대에 그것이 갖는 적실성, 이런 걸 내세우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것을 더 잘 보여줄 거울들 찾기.  


피해갈 수 없었던 생각 하나는 

한국에서 <논어> 강독 강좌를 듣는다면 아마 십중팔구 강압적인 분위기겠지. 

이게 (이건) 우리 것이다. 공자가 살아야 나라가 산다. (.....)

너무 바로 상상할 수 있는 강압적 분위기가 없다는 것만으로도 미국 연구자의 이 강의가 좋다. 


그런데 강의가 진행될수록  

이 교수가 권위주의적 성격임을 알아보게 되고 

권위주의적 성격이 아니면서, 혁명가이면서, 공자와 <논어>를 깊이 연구하는 사례가 있는가, 있다면 그는 어떻게 <논어>를 읽는가.... 


*혁명가 중 적지 않은 이들이 권위주의적 성격이었다 그러고 보니. 

반-권위주의적 성격의 혁명가. 라고 써야 ㅎㅎㅎ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