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isode 153: Richard Rorty: There Is No Mind-Body Problem | The Partially  Examined Life Philosophy Podcast | A Philosophy Podcast and Blog




90년대 초인가 남미 어디서 열린 학회에 초청 받았던 리처드 로티가 

남미 철학자들이 추구하던 해방, 해방의 이론을 줄 철학에 대한 기대, 이런 것에 아무 망설임 없이 찬물을 끼얹은 적이 있다고 한다. 딱 잘라 말했다는 것이다. 당신들이 처한 처지에서 철학에 그런 기대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북미 출신으로 나는 그 기대가 틀린 기대라고 말해야 한다. 그런 기대가 옳으려면 진리와 주체를 정초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정초할 수 없다. 과거에 철학으로 그런 것들을 할 수 있었다. 이제는 아니다... 


대강 저런 말. 남미 철학자들은 그 순간 로티를 증오했다고. 



아도르노 책들을 보면 어느 페이지에나 진리와 주체의 정초가 있다. 

ㅎㅎㅎㅎㅎㅎㅎ 그렇. 아도르노 1903년생. 로티는 31년생. 거의 한 세대 차이. 아도르노 시대에는 그럴 수 있었고 로티 시대에는 (70년대부터 90년대까지?) 그럴 수 없게 된 걸로 여길 수도 있겠지만, 로티의 79년에 나온 <철학과 자연의 거울>과 그보다 거의 30년 전 <계몽의 변증법> 중 지금 어느 쪽이 더 나이든 (허약해진) 것으로 보이는가, 생각하면 여기서 세대 차이는 급 무의미해지는. 로티 철학의 무엇이 진리이고 비진리인가. 이걸 아주 잘 보여주는 철학자가 아도르노이기도 하다. 두 사람이 공히 생각한 주제들이 있는데, 아도르노가 아주 더 급진적이고 멀리 깊이 보았다.   


<랭스로 되돌아가다> 아직 조금밖에 못 읽었지만 

이 시대를 위한 좌파 사유... 이 요청이 담겨 있는 책으로 보이기도 하는데 

이 요청에 아도르노가 줄 수 있는 엄청난 답들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