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으로 보는 우리 문화유산 - 개정증보판
강형원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5년 4월
평점 :

[생생하게 전달되어오는 가슴 벅찬 우리 유물]
한국인 최초로 퓰리처상을 2회 수상한 포토저널리스트 강형원의 우리 문화유산 책이 출간되었습니다. 저는 잘 몰랐는데 이력이 화려하네요. 1993년 LA 폭동과 1999년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 스캔들 보도 사진으로 퓰리처상을 수상했고, 1987년 6.10 민주 항쟁과 서울 올림픽대회 등 한국 현대사의 굵직한 부분도 사진으로 담았어요. 현재는 우리 문화 유산을 취재해 한국어와 영어로 신문과 잡지에 칼럼을 연재하고 국내외에서 강연을 펼치고 있는데요, 아마 이 책은 그 결과물인 것 같습니다.
[사진으로 보는 우리 문화유산] 책에 한국어 설명과 영어 설명이 같이 실려있길래 왜 그런가 했더니 작가의 화려한 이력 덕분이었어요. 역사책이라고 하기에는 설명이 그리 많지 않아요. 하지만 전 그 점이 더 좋았어요. 각 챕터마다 해당되는 유물의 사진이 큼지막하게 실려 있어서 마치 가까이에서 보는 것 같은 생생함을 전달해요. 게다가 작가의 말처럼 사진은 문자가 달라도 사람들이 소통할 수 있는 도구니까요. 때로는 많은 설명보다 사진 하나가 더 많은 메시지를 전달한다고 생각합니다.
세계가 기억할 빛나는 한국의 유산, 한국의 찬란한 역사를 품은 유산, 한국의 고유함을 오롯이 새긴 유산 세 개의 챕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고인돌, 백제 금동 대향로, 경주 첨성대, 팔만대장경판, 한글, 금동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 성덕 대왕 신종, 독도, 태극기, 한국 범(호랑이), 토종개, 한지, 온돌, 김치 등을 익숙하면서도 새롭게 소개하고 있어요. 전 백제 금동 대향로가 그렇게 좋더라고요. 작년 겨울에 부여에 갔을 때 박물관에서 꼭 보고 오고 싶었는데, 가는 날이 장날이라 서울에서 전시하고 있어서 아깝게 보지 못했었어요. 이 책에 실린 사진으로나마 아쉬움을 달래봅니다.

문화유산과 유물 분야에 호랑이와 토종개가 포함된 것도 색달랐어요. 예로부터 범과 관련된 이야기도 많고, 한반도 지형이 호랑이를 닮았다고도 하잖아요. 일제 강점기 때는 우리의 혼을 꺾기 위해 서식하는 호랑이를 전부 잡아 가죽을 벗겼다는 이야기도 있고요. 범이 호랑이라는 한자어로 불리기 시작한 것도 일제 강점기라고 하니 새삼스레 화가 납니다. 토종개에는 진도개만 포함되는 줄 알았는데 삽살개, 진도개, 동경이 풍산개 등이 있다고 해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토종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경주개 동경이'이고요. 기록에 따르면 신라 시대부터 경주 지역에 살았다고 전해지며 꼬리가 뭉툭하고 짧아 '꼬리 없는 개'라고도 불린답니다. 역시 삽살개도 일제 강점기에 멸종 위기에 처했었지만 복제 연구를 통해 자연 번식을 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하니 얼마나 다행인지요.
통사를 다루는 여타의 역사책과는 달리 우리 문화의 여러 부분을 조망할 수 있다는 점이 무척 매력적으로 다가옵니다. 그 동안 몰랐던 지식들도 많이 알게 되었고, 무엇보다 생생한 사진에 가슴이 벅차요. 작가님의 의미있는 활동이 앞으로도 계속되길 바랍니다!
** 네이버 독서카페 '리뷰어스 클럽'을 통해 <알에이치코리아>로부터 지원받은 도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