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1 도쿄 하우스
마리 유키코 지음, 김현화 옮김 / 하빌리스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픽션과 논픽션, 시나리오와 현실의 구별이 모호해지는 리얼리티 TV쇼 이야기, <1961 도쿄하우스>.

방송국 개국 60주년을 맞아 리얼리티 쇼가 기획됩니다..

방송국 하청업체 직원인 다카야는 1900년의 생활을 재현하는 기획안을 제안합니다.

방송국 그리고 업체와 관련된 여러 사람들이 기획안 검토를 하게 되고, 결국은 1961년이라는 뭔가 애매한 시기가 선택됩니다.

'도쿄하우스'라는 타이틀이 무색하게 1961년 재현은 도쿄도 아니며, 갑자기 단지 체험이라는 소재가 튀어나옵니다.

사공이 많으니 배가 산으로 간다는 속담이 딱 들어맞는 상황이 아닐 수 없습니다....

아무튼, 60년 전인 1961년의 단지에서 3개월간 그 당시의 생활을 재현할 두 가족을 공개 오디션으로 선발하게 되고,

나카하라와 고이케 두 가족이 결정됩니다. 3개월의 생활에 성공하면 상금이 500만 엔!

입주한 첫 날부터 고이케 가족의 생활은 엉망입니다.

집에 아무 것도 없고, 쇼핑센터는 6시면 문을 닫습니다. 에어컨, 티비 이런 건 꿈도 꿀 수 없죠.

게다가 이 쇼에는 비밀이 있습니다.

두 가족은 야마다, 스즈키라는 가명으로 생활하며 본인에게만 알려진 '역할'이 있다는 것입니다.

리얼리티를 지향하지만 결국은 리얼리티는 아니었다는 건데요.

다소 밋밋할 수 있는 생활의 연속에 재미라는 추가 양념을 치기 위해 tv기획자는 부부간의 불륜을 지시합니다.

강요는 아니라고 했지만, 그들은 3개월의 생활을 이어나가야 상금을 받을 수 있다는 계약에 서명한 상태라는 것.

처음에는 역할과 시나리오에 불만과 어색함을 느끼던 사람들은 점차 몰입하고 오히려 적극적이 됩니다.

아슬아슬한 장면은 기획편집 선에서 삭제되기도 하는 등 이 프로그램은 도덕적으로 위태위태하게 굴러갑니다.

그러던 와중에 살인사건이 벌어지면서 티비쇼는 절정을 찍습니다.

살인도 문제였지만 이 장소에서 60년 전 실제 있었던 사건과 너무도 유사하다는 것이 문제였습니다.

그제서야 사람들은 무언가 의도가 있는 시나리오였는지 의심하게 되고, 한 명씩 경찰의 취조를 받게 됩니다.

시나리오인줄 알았던 상황이 현실과 연결되어 있음에 독자들은 긴장하게 되고,

이후에 또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면서 사건의 진실에 가까워질 수 있었습니다.

과연 시나리오는 시나리오였을 뿐, 실제는 작가의 의도대로 움직이지만은 않습니다.

이 작품을 읽는 재미는 크게 두 가지였습니다.

첫째, 살인사건의 범인과 사건의 진실은 무엇인가?

둘째, 어디까지가 시나리오이고 어디부터 실제인가?

실제와 허구의 교묘한 조합이 tv쇼 출연자 뿐 아니라 관련 스텝들 그리고 독자들을 현혹하는 <1961 도쿄하우스>.

오랫만에 진짜 한 자리에서 쭈욱 한 권을 독파할 수 있는 재미있는 소설을 만나게 되어 넘 좋았습니다.

내용의 헷갈림이나 불필요한 머리굴림이 없어도 정말 편하게 읽힙니다.

짜임새나 플롯, 그리고 작가의 필력이 이를 뒷받침했기에 가능했을 것입니다.

꼭 한 번 읽어보시길 강추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