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헨리에타 마리아 - 혁명을 삼킨 불굴의 왕비
헨리에타 헤인즈 지음, 김연수 옮김 / 히스토리퀸 / 2022년 9월
평점 :
절판
드라마나 영화로 만들어지는 역사적 단골 소재들이 꽤 많다. 마리 앙트와네트, 앤 불린과 헨리 8세, 블러디 메리, 여왕 마고 등등... 이들의 공통점은 비극을 동반한 드라마틱함이 아닐까 싶다. 권력의 정점에서 나락으로 떨어지는 비극적인 왕족의 이야기가 평범한 현대 소시민들에게 큰 매력으로 다가온다는 점에는 다들 공감할 것이다.
왕의 딸, 왕의 누이, 왕의 아내, 왕의 모후... 아버지, 오빠, 남편 그리고 아들까지 모두 왕이었던 여인이 수 세기 역사를 통틀어 그렇게 흔하지는 않을 것이다. 하물며 이런 배경의 여인이 음모와 계략, 혁명에 휘말려 불행해 졌었다니...
Henrietta Marie 앙리에뜨 마리 = 헨리에타 마리아의 삶을 궁금해하며 책을 펼치게 되었다.
얽히고 섥힌 유럽 왕가들의 혼인 동맹은 워낙에 유명한데, 영국 국왕 찰스 1세도 프랑스의 공주 헨리에타 마리아와의 혼인을 추진하게 된다. 영국은 헨리 8세 이후 성공회를 국교로 하는 반면, 프랑스의 공주인 헨리에타 마리아는 독실한 카톨릭 신자였던 것. 태생부터 갈등의 씨앗을 가지고 있었다고 보여졌던 둘 사이는, 초반의 불화 이후 좋아졌으며 찰스 1세는 점점 친 가톨릭, 친 프랑스 성향을 띄게 된다. 영국 의회는 그런 둘을 매우 견제하게 된다.
여러 번의 전쟁을 거쳐 그 갈등은 심화되고, 결국 청교도 혁명이 발발하고 헨리에타 마리아는 프랑스로 망명, 찰스 1세는 처형되는 등 비극적이고 파란만장한 생을 보내게 된다. 결국에는 왕정이 복고되고 그녀의 아들이 찰스 2세로 영국의 왕이 되면서 다시 영국으로 돌아가게 된다. 그녀의 삶의 이야기를 읽으며 그 당시의 복잡한 유럽 정세와 역사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할 수 있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