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 무죄
다이몬 다케아키 지음, 김은모 옮김 / 검은숲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원죄"라고 하면 아담과 이브의 선악과가 가장 대표적으로 떠오르지만

일본 드라마나 소설에서의 "원죄"는 누명을 쓰고 형을 받은 사건을 가리키더라구요.

아마도 두 한자가 다르지 않나 싶기도 한데, 일드나 일본 소설에서의 '원죄'는 우리나라에서는 잘 쓰지 않는 용어죠.

 

암튼, 일본 매체에서는 이러한 '원죄'를 꽤 자주 다루고 있는데, 이 책도 누명을 썼다고 주장하는 한 장기 복역수가 나오며 무죄를 주장하게 된다는 줄거리에서 '원죄'를 다루는 많은 소설이 떠올랐다.

재심에서 무죄를 선고받는 것은 원래 재판에서 무죄를 선고받는 것보다 훨씬 어렵다고 하는데, 다이몬 다케아키의 <완전 무죄>에서는 이를 어떻게 풀어갈지 매우 궁금했다.

 

 







 

원죄를 주장하는 장기복역수 히라야마는 세 건의 연쇄 유괴사건의 범인.

세 명의 여자 아이는 21년 전 한 명은 사망, 한 명은 실종, 한 명은 생존해 귀가했다.

유력한 용의자로 조사받게 된 히라야마는 명확한 증거와 자백을 토대로 검거되었다.

 

생존해 귀가했던 한 명의 아자아이, 마쓰오카는 변호사가 되었고, 원죄를 주장하는 히라야마의 재심 변호를 맡게 되고,

유괴사건의 범인과 피해자가 재심을 위해 만나게 되고, 둘의 목적과 사건의 진실이 점점 밝혀지게 된다.

 

 

 







 

유괴된 이후 달아나 살아남은 마쓰오카는 21년이 지난 지금도 악몽을 꾼다.

꿈과 경험이 혼재되며 실체없는 악몽은 더더욱 무섭게 마쓰오카를 괴롭히고...

마쓰오카는 히라야마의 무죄를 위해서가 아닌, 진범을 잡기 위해서 재심을 맡았던 것이었다.

진범을 잡아야 자신의 악몽이 끝나게 될 것 같았기 때문이다.



 

"당신이 그 때 그 유괴범이라면 사형당하길 바래요.

하지만 누명을 썼다면 진범이 활개를 치고 있다는 걸 용납할 수 없어요.

그래서 그걸 확인하고 싶어서 여기 온 거에요. 전부 나 자신을 위해서죠."

 




 

 

다른 목적이지만 추구하는 결과는 같은 두 사람은 진범을 잡고 진실을 찾기 위해 노력하게 되고,

유죄판결의 결정적 증거였던 증거물과 자백의 배경에 문제가 있음을 알게 되는데...

누가 범인이고, 왜 마쓰오카는 범인이 되어야 했던 것일까?

진범과 진실을 쫒는 마쓰오카의 여정을 긴박감있게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350여 페이지가 후딱 끝나 있을 것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