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문대 학생들이 어릴 때부터 집에서 해온 것 - 초등 교육전문가가 명문대생 학부모와 심층 인터뷰로 밝혀낸 6가지 차이점 엄마의 서재 8
김혜경 지음 / 센시오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의 공부 역량은 초등 시기에 결정된다. 

 워낙에 요즘 많이 듣는 말이다. 중학교때 공부 시키려 하면 이미 늦었다는 것. 초등 시기에 자기주도학습습관과 문해력 등을 길러놔야 중.고등학교 공부를 잘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초등 시기에 아이에게 무엇을 해주어야 할까? 


우선 중요한 것은 '부모만의 교육 철학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요즘같이 정보의 홍수 시대에는 불안해지기 정말 쉬운 시대이다. 100% 확신까지는 아니더라도 본인만의 교육철학을 확실하게 새워놓아야 이리저리 흔들리지 않을 수 있다. 

거기에 더해 정말 중요한 것은, 아이를 믿고 기다려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게 정말 어려운 것 같은게, 아이와 하루하루 보내다 보면, 저도 모르게 조바심이 나고 잔소리가 심해지게 마련이다. 아이를 믿고 기다려주고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부모에게 자란 아이가 정신력이 강한 아이로 자랄수 있다고 한다. 

초등학교때 길러야 할 필수 역량으로 자신감, 자기주도성, 자존감, 책임감 등을 들고 있는데, 어느 하나 놓칠 수 없는 역량들이다. 이 중에서 자존감과 자존심은 다르다는 내용이 있는데, 특히나 자존심이 강한 아이일수록 게임에서 지거나 하면 울거나 짜증은 내는데, 그럴수록 더 자주 경쟁게임이나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는 경험을 하게 해 주는 것이 좋다고 한다. 우리 아이만 해도 보드게임에서 지면 급속도로 기분이 나빠져서 짜증을 내고 심할 때는 울기도 해서 게임을 같이 하는 걸 많이 피하곤 했는데, 이럴수록 더 자주 경쟁게임을 하는게 좋다고 하니 이를 통해 자존감이 정상적인 발달 과정으로 건강하게 길러질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할 것 같다.


"Everything is going to be OK."

하버드대 학생들이 부모님에게 가장 많이 듣는 말이라고 한다. 어렸을 때부터 들었던 이 말은 항상 아이들에게 힘을 북돋워주었을 것이다. 실패의 경험이 다음의 기회를 잡는데 더 큰 자신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더욱 단단한 자존감을 가질 수 있게 부모가 든든한 버팀막이 되어 주자.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