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허의 도시
폴 오스터 지음, 윤희기 옮김 / 열린책들 / 2002년 6월
평점 :
절판


밑도끝도 없이 음산한 분위기를 풍기는 한 여인의 이야기로 시작이 됩니다. 전체적으론 이 여인이 그의 전 애인에게 쓰는 편지처럼 되어있습니다. 완벽하게 혼란스럽게 엉망인 느낌을 고스란히 주는 구성은 그녀의 상황을 현실감있게 전달해줍니다. 내용이 내용이니만큼 현실감있게, 읽고 있는 나와 가까운 거리에서 전달받는 건 그리 달가운 일은 아니었는데요..

제목 그대로 폐허의 도시에서 보내온 편지, 생존의 기록입니다. 세상의 끝, 종말, 과거의 어느 한 도시인지, 미래의 어떤 모습인지..지금 함께가고 있는 도시인지 가늠할 수 없고 그 어느 것도 명확하게 밝히고 있지 않은데요... 단 한가지 확실한 것은 배경이 되고 있는 도시가 우리에게 충격을 주지만 낯설지만은 않다는 것,.... 그리고 폐허의 도시에는 모든 것이 사라져간다는 것입니다.. 지명도 시대도 밝히지 않은채 이 소설은(익명성이 현실감을 더 주고 있음) 폐허의 도시에서의 비참한 삶을 안나라는 여인을 통해 전해주고 있습니다.

이 도시에 기자로 와 있던 오빠가 실종되자 그 여동생이 그의 오빠를 찾기 위해 오지만
그녀는 오빠의 그림자도 찾을 수 없습니다. 다만. 죽기위해 노력하는 사람, 있으나마나한 정부..무너진 도시, 사라져가는 길.... 그러한 가운데서 살아가기 위한 생존법칙, 그러한 가운데서 운영되는 아이러니한 자선단체... 읽으면서 참 잘 썼다는 생각이 들게 했습니다. 빈틈이 없구나..이야기가 무궁무진하게 나올 수 있는데...전달하는 메세지에 무게가 있구나..감탄하게 했습니다.

사람이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것들이 무엇이었는지 생각하게 했습니다. 그리고 여전히 혼란스럽고 부패하고 숨막히는 사실이 현실에 존재하지만 그래도 견뎌낼 만하다고... 결국 살아가기 위해서 방법을 찾게 될 거 라는 희망적인 생각이 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