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이 통하는 나라에서 살고 싶다 - 국민 PD 이상훈의 사회 유감
이상훈 지음 / 리오북스 / 2016년 12월
평점 :
절판


상식이라는 말이 정확히 뭘까? 상식이라고 하면 보통 사람들이 알고 있거나 알아야할 지식, 즉 우리가 보편적으로 누구나 암묵적으로 그렇게 생각하는 지식이라고 나는 생각하는데, 지금 우리나라는그 상식이 없는 나라가 되고 말았다. 그 상식의 상실의 순간을 지금 우리는 겪고 있는 것이다.연일 비선실세에 관해서 뉴스가 나오고 있고, 과연 우리 대한민국에 지금 상식선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게 과연 무엇일까라는 의구심마져 들고 있다.

 

여기, 이상훈PD가 정치, 경제, 사회, 교육 분야에 있어서 비상식이 상식으로 통용되고 있는 이야기를 하고 있다. 어느 것 하나 흥미롭지 않은 것이 없었고, 솔직히 비상식이 상식으로 통용되는 그런 사회의 분위기를 우리는 한번쯤은 다들 겪어봤고, 목격하고 있음에도 어느누구도 나서서 바꿀려고 하지 않았다는 것이 사실은 좀 슬플 뿐이다. 이상훈PD는 앞으로 우리 사회가 어떻게 나아가야할지 그 방향성도 함께 제시하고 있다.

 

일반적인 비상식을 소개하고, 앞으로 우리가 나아가야할 방향, 그리고 외국의 사례들, 그리고 기본적으로 알아야할 것들까지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는 만큼 이 책을 통해서 사회전반에 걸친 지식을 쌓을 수 있을 것같다. 잘못 됐지만, 그 잘못된 것이 시정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우리는 너무나도 잘 알고 있고, 그것을 바꿀 힘이 결국은 우리 국민들에게 있다는 것도 잘 알고 있다.

 

촛불시위를 통해서 우리 국민의 목소리를 연일 전달하고 있으며, 국민들의 참여가 많은 것들을 바꾸고 있다. 더이상 비상식이 상식으로 통용되는 그런 사회에서 살고 싶지 않다. 김영란법을 통해 부정부패를 척결하려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우리 사회에는 부정부패와 청탁이 자리를 잡고있다는 말이며, 전관예우를 통해서 법조인들은 법 앞의 평등이라는 말이 얼마나 가식적인 말인지, 결코 그 말이 진실이 아니라는 것들을 그들은 말하고있다. 사회 곳곳에는 그들만의 리그가 펼쳐지고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이 전부일 수도있지만, 과연 그게 맞는 것일까? 돈이면 모든 걸 해결할 수 있고, 사람은 법앞에 평등하지 않고 돈 앞에 평등하다는 그말에 긍정을 하게끔 만드는 우리사회가 이상한건 아닐까?

 

이상훈PD가 늘어놓는 다양한 이야기 속에서 우리 사회의 민낯을 낱낱이 만날 수 있고, 그래서 더이상은 이런 비상식이 상식으로 통용되게 해서는 안되겠구나 하는 생각이 간절히 들었다. 조금만 살기 좋은 나라로, 조금만 상식이 통용될 수 있는 곳이 될수 있도록 우리 개개인과 함께 사회 지도층에서도 노력했으면 좋겠다. 한사람이 사회를 바꿀수는 없다. 하지만 많은 이들이 모이면 분명히 그 사회는 바뀔 수 있다고 믿는다. 진정 상식이 통용되는 그런 나라에서 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