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의 리더십, 선비를 말하다
정옥자 지음 / 문이당 / 2011년 4월
평점 :
절판
정옥자 역사에세이
내가 살아오면서 역사를 배울수 있었던 시기는 학창시절 '국사'시간이 전부였던 것 같다. 하지만 역사를 배우고 알아간다는 것은 대한민국의 국민으로써 필요한 일이지만 현실은 역사를 접할 일은 거의 없는 것 같다. 간혹 신문이나 뉴스를 통해서 접하는 것이 전부인 것 같다. 내가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는 것에도 문제가 있지만 말이다. 역사는 알아가면 알아갈수록 재미도 있고 우리가 선조들의 삶을 통해서 배워야 할 것도 많이 있다라는 점을 배울수도 있다. 오랜만에 만나는 이책을 통해서 내가 잠시 잊고 있었던 우리의 역사와 조선시대 선비들의 리더십을 배우며 그들의 통해서 내가 지금 현재에 할수 있는 것은 무엇이며 내가 새겨들어야 할 것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배우고 싶다.
저자는 이책에서 조선 시대 지식인인 선비와 그 사상, 그들이 관료가 되어 사대부로서 그 이상을 어떻게 실현해 가며 한 시대를 이끌어갔는가 하는 문제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선비 정신이야말로 우리가 계승해야 할 정신적 자산이며 우리에게 꼭 필요한 한국적 리더십이라고 말하고 있다. 사실 이렇게 조선시대의 선비들의 리더십이 대단했는지 잘알수 없지만 오랜 학자인 저자가 이렇게 말하는 것에는 큰 의미가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선비란 고품격 인성과 지성을 겸비한 지식인을 말한다. 어려서부터 철저한 인성 교육을 받고 학문을 연마하는 '수기' 단계를 거쳐 완성된 인격체에 이르러야 남을 다스리는 '지인'의 단계로 나아갈 수 잇다는 것이 기본 입장이었다. 선비는 지연이나 혈연으로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학문적 능력과 인격적 완성도에 의해 만들어지는 존재였다. 겉으로는 한없이 부드러우나 내적인 강인함을 간직하려는 외유내강, 청빈과 검약을 생활신조로 삼고 자신에게는 박하고 남에게는 후하게 하는 박기후인, 강자를 누르고 약자를 부추겨주는 억강부약. 공생공존의 정신등등 조선시대 선비들이 추구했던 생활 태도와 가치를 말하고 있었다. 내가 기존에 알고 있었던 선비들이 이렇게 청렴했고 많은 사람들에게 존경의 대상이었는지 몰랐다.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는 것 같아서 조금 놀라웠다. 오늘날의 지식인과 사회지도층이 반드시 배워야할 덕목들로만 가득 차있는 것 같다. 이책 한권이면 그들 또한 제대로된 사람의 길로 갈수 있을 것 같다.
처음에는 단순히 선비의 리더십에 대해서만 말할 것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저자 자신의 삶을 바탕으로 과거의 역사에 대한 이야기도 하고 있었고, 조선시대의 서원, 향교, 대한 제국, 실학까지 전체적인 조선시대의 역사를 이야기 하고 있어서 좋았던 것같다. 오랜만에 만나보는 제대로된 역사 책인 것 같다.
요즈음 같이 우리의 역사가 제대로 알려지지 않고 배우지 않는 상황에서 이책은 학생들이 읽으면 좋을 것 같다. 우리의 제대로된 역사를 배울뿐 아니라 저자를 통해서 우리가 쉽게 이해하고 알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좋은 것 같다. 그리고 우리가 단순히 역사의 한부분으로 알고 지냈던 '정조'에 대한 재발견도 할수 있었던 것 같다.
나는 이런 역사책을 통해서 우리가 우리의 역사를 되돌아 불수 있는 시간을 가질수 있도록 해야할 것 같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현재 우리의 역사속에서 문제가 되는 것이 있다면 찾아서 관심을 가질수 있는 대한민국 국민이 되어야 할 것 이며 지금보다는 더 많이 역사에 대해서 관심을 가질수 있도록 노력해야할 것 같다. 역사에 대해서 많은 것들을 생각할수 있는 시간을 마련해준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