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히말라야 걷기여행 - 평생 꼭 한번 도전하고 싶은 꿈의 길
김영준 지음 / 팜파스 / 2010년 7월
평점 :
절판
평생 꼭 한번 도전하고 싶은 꿈의 길
"히말라야"는 도대체 어떤 곳인가라는 의문이 생긴다. 수많은 산악인들이 그 산에 오르기 위해서 도전하고 수많은 트레커들이 그곳을 걷기를 열망하고 있다. 하지만 간혹 들려오는 히말라야에서의 사망소식은 무섭기까지 한데 왜 그런 곳에 꼭 가보고 싶어하는지 모르겠다. 아직 내가 히말라야는 곳에 대한 매력을 모르고 그곳에 대해서 관심이 없기 때문일 수도 있다.
저자는 초보 트레커임에도 불구하고 14일이라는 긴 시간동안 히말라야를 걸었다. 14일이라는 시간은 어떤 곳을 여행하기에는 짧다면 짧은 곳인데 히말라야를 걸어서 여행했다고 하니깐 그 걷는 시간을 생각하면 참 길었을 것 같다. 걷기를 싫어하는 나로서는 아마 하루정도 걷고는 걷기를 그만 포기했을 것 같다.
저자는 박범신의 책을 읽으며 히말라야에 대한 꿈을 꾸었고 도보여행가 김남희의 네팔 여행기를 보면서 선뜻 길을 나설 용기가 생겼다고 한다. 책속에서의 히말라야는 단순한 산이 아닌 그 이상의 어떤 의미가 있는 곳임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 히말라야를 걷는 코스는 여러곳이 있지만 저자는 그중에서 쿰부 히말라야 트레킹 코스로 정했다.
쿰부 트레킹 코스에서 만난 무거운 짐을 메고 힘겹게 걷는 그들을 보면서 "그들은 생존을 위해 짐을 메고, 우리는 즐기기 위해 짐을 멘다. 그들은 짐을 운반하지 않으면 밥을 먹을 수 없지만, 우리는 기꺼이 돈을 지불해가며 사서 고생을 한다. 모순된 삶의 현실이다" 모순된 삶의 현실이 너무 슬프다. 여행자과 무거운 짐을 메고 있는 그들은 서로가 서로에게 모순이 되어버린 것 같다.
히말라야 남체는 산중 마을이지만 없는 것이 없이 다 있으며 도시 문명 생활을 즐길수 있는 곳이다. 산중에 이런 마을이 있다는게 신기하기도 했고 좀 아이러니했다. 저자의 트레킹에 있어서는 편안히 쉴수 있는 곳이 있어서 다행이었지만 자연을 보호해야할 산중 마을이 도시화되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자연이 파괴되고 오염되고 있다라는 사실인데 그런 것들이 수많은 사람들이 찾아와서 어쩔수 없는 일이라고 하니깐 사람들의 이기심때문에 파괴되는 자연에 미안한 마음이 들었다.
걷기 7일째 만남 에베레스트 등정 중 사고로 운명을 달리한 이들의 넋을 모셔놓은 초르텐들이 있었다. 그들은 왜 그런 위험한 곳에서 마지막을 맞이 했어야 했으며 히말라야는 그들에게 있어서 무엇이 었는지 의문이 들었다고 한다. 아마 저자 역시 그들의 무덤앞에서 수많은 생각들이 스쳐지나갔을 것 같다. 나역시 사진을 통해서 보고 전해듣는데도 왜 그들이 히말라야에 묻혀있는지 왜 왜라는 질문을 계속하게 되는 것 같다.
"히말라야를 걷는 순간 우리는 신의 품안에서 평안을 얻고 희열을 맛본다. 지치도록 걷고, 숨이 끊어질 듯한 고통을 겪으면서 비로서 나의 모순됨을 자각하고 비열한 허물을 벗어던지게 된다. 그렇게 해서 진정한 나를 만나는 순간, 영혼은 맑고 순수한 어린아이의 천진함을 회복한다."
히말라야를 14일동안 걸으면서 여행한 저자는 참 많은 것을 느끼고 깨달았다는 것 같다. 하루씩 지나갈때마다 힘든 걷기여행이지만 책속의 저자의 글과 사진들을 더 행복해지고 있는 것 같았다. 걷기를 싫어하는 나지만 히말라야는 그런 나조차 걷고 싶게 하는 것 같다. 너무나 커서 너무나 높아서 바로보는 것 만으로도 좋을 것 같은 히말라야에 나도 잠시나마 저자의 걷기 여행을 통해서 함께 할수 있어서 좋았던 것 같다. 기회가 된다면 나도 한번 훌쩍 가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