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 - 드라큘라 사진관으로의 초대
김탁환.강영호 지음 / 살림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김탁환+강영호=99

얼마전 나는 "노서아가비"를 읽으면서 작가 김탁환에 대해서 관심도 생겼고 내가 그의 작품을 좋아하게도 되었다. 그래서 이번 소설이 더욱더 기대되었다. 지금까지의 김탁환의 소설은 재미있었고 읽는 소설의 소재가 다른 책보다 신선해서 자꾸만 찾아서 읽게 되었던 것 같다. 그리고 강영호 사진작가는 매스컴을 통해서 수많은 배우들이 좋아하는 사진작가로 알려진 유명한 사람이다. 서로 다른 분야의 최고위치를 가지고 있는 두사람이 만났다고 하니깐 기대됩니다. 어떤 이야기들이 펼쳐질지 말이다.

[99]는 예술적 동거의 기록이다.

책을 읽으면서 사진작가인 강영호의 사진이 많이 실려있다. 사실 처음에 사진을 봤을때는 누군가 했었다. 이상한 분장과 섬뜩한 얼굴 화장에 사진의 주위 배경은 음산하기 그지 없었다. 또, 사진을 보는 순간에 이책은 공포,이해불가,자기들만의 세계라는 것을 느꼈다. 그리고 대부분의 사진들의 모습에서 도대체 무엇을 말하려는지 조차 알수 없었다. 하지만 다양한 강영호의 변화하는 모습을 보면서 이 사진작가에서 이런 모습도 있구나를 알았고 있었다. 

여러편의 단편으로 이루어져있다. 소설속에서 나오는 사람의  이름이 강영호이고, '상상사진관'주인이며, 서울 홍대앞에 살고 있다. 사실 이렇게 너무 사실적으로 이야기하고 있어서 나는 처음에는 소설이 아닌지 알았다. 사진작가인 강영호의 사진관 실제 이름과 자신이 지금있는 홍대까지 있는 그대로 나와있으니깐 혼자서 착각할 정도였다.

하지만 이야기는 너무 있을수도 있는 그런 이야기 언젠가는 일어날수도 있을뻔한 것들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근데 나는 책을 읽으면서 상쾌하다는 기분은 들지 못하고 먼가에 쫒기는 듯하고 음산하고 스산한 기분이 들었다. 내가 좋아하는 작가의 글이지만 기존의 글과는 상이하게 달랐던 것 같다. 아니면 내가 김탁환이라는 작가와 강영호라는 사진작가에 대해서 너무 알지 못했나라는 생각까지 들었다.

책을 읽으면서 지금까지 내가 이런 소설을 일본의 단편작들에서 한번쯤 접해본적 있는 듯한 4차원적인 것이었던 것 같다. 우리나라 소설작품에서는 처음 접하는 것이어서 새로웠다. 어떤 소설보다 신선했고 늘 나오는 소설의 소재에서 벗어난것 같아서 좋았던 것같다.  새로운 것을 찾고 있는 사람이 이책을 읽으면 좋을 것 같다.

더불어서 책의 마지막부분에서 두 작가의 인터뷰는 내가 이해하지 못했던 그리고 어떻게 이런 소설이 나왔었는지 읽는 내내 궁금했던 나의 질문에 대한 답이 들어 있었던 것 같다.  두작가는 앞으로도 이렇게 공동으로 소설을 더 쓸 계획이라고 했다. 이번책도 나름 쇼킹하고 새로웠는데 다음에는 어떤 기대이상의 작품이 나올지 기대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