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가능성이다 - 기적의 트럼펫 소년 패트릭 헨리의 열정 행진곡
패트릭 헨리 휴스 외 지음, 이수정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I Am Potential
처음 책을 봤을때는 단순히 자신의 어려움을 극복한 한 소년의 이야기라고만 생각했었다. 그래서 책을 접했을 때 도대체 얼마나 대단한 소년인가?무엇을 극복했나?등등 여러가지 궁금한 것이 많았던 것 같다. 아마도 내가 책 표지에 나온 소년만 보았고 제목만 보아서 책의 주인공이자 저자인 패트릭 헨리에 대해서 전혀 몰랐기 때문에 이런 궁금증과 생각을 가질수 있었던 것 같다.
패트릭 헨리 휴스는 미국에서 1988년 3월 10일 태어났다. 태어나자 마자 의사는 그의 부모님께 "엑스레이상으로 보면 단신 이형성증과 사지 불균형 왜소증으로 판단됩니다", "두분의 아기는 아주 희귀한 상태로 태어났습니다. 아기에게 눈이 없습니다"라고 말했다. 어느 부모가 자신의 아기가 그렇다는 말을 듣고 놀라지 않을수 있을까.. 소년의 부모 역시 그랬다. 태어날 아기와 앞으로의 미래에 대해서 수많은 계획을 세워 두었는데 한순간에 무너져버렸다. 나 역시 책을 통해서 전해듣는 것인데도 불구하고 마음이 쿵하고 내려앉았다.
소년의 부모는 우선 현실을 받아들이는 법을 가르치기전에 두분은 먼저 스스로 '받아들임'에 대해 터득했다고 한다. 희망과 꿈 그리고 아기를 두고 품었던 수많은 꿈들을 내려 놓는 것에서 부터 시작했다고 한다. 그모든 것을 내려놓을 수 밖에 없는 상황의 부모님들을 아마도 앞이 하얀 백지장 같았을 것이다. 패트릭 헨리는 양안 무안구증 눈에 교정기, 팔,다리, 엉덩이 관절 교정 신체적 장애를 가졌다. 부모님들은 그런 패트릭 헨리를 위해서 최고로 잘하는 의사들을 찾아서 치료해주었다.
정말 부모님들을 대단하다는 생각을 한다. 이렇게 힘든 상황에서도 아이를 위해서 동분서주하고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 모습에서 다시 한번 세계공통의 부모님의 사랑을 느낄수 있었다. 패트릭 헨리 역시 부모님의 그러한 사랑과 자신에 대한 포기가 없었기 때문에 오늘날의 그가 있는 것 같다.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페트릭 헨리는 피아노라는 소리를 통해서 세상과 소통하기 시작했었다. 그는 두살이 되기전에 멜로디에 맟춰 화음을 넣는 수준까지 도달했다. 그에게 있어서 '소리'는 자신의 세상에 생명을 불어넣어준다고 한다. 또 그의 아버지는 패트릭 헨리의 하루 일과에 마추어서 그의 손이 되어주고 발이 되어주었다. 아마 지금의 패트릭 헨리가 루이블 대학에서 트럼펫을 연주 할수 있도록 힘이 되어준것 같다. 아버지는 자신을 희생하면서까지 아들에 대한 사랑을 몸소 실천하고 있는 것 같다.
대학 응원단에서 활동을 하면서 2006년에는 '디즈니 세게 스포츠 정신상'을 수상했고, 2007년 1월에는 <오프라 윈프리 쇼>에 출연해서 오프라 윈프리에서 '아름다운 인생의 본보기'로 극찬 받은 이래로, 그의 연주 모습이 담긴 동영상은 유튜브에서 200만회 이상을 기록 했으며 미국 전역으로 알려졌다. 패트릭 헨리의 삶은 아직 현재 진행중인 열정적인 삶인것 같다. 장애를 뛰어 넘어서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은 그의 열정과 정열에 큰 박수를 보내고 싶다. 나보다 어린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장애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열심히 살고 있고 자신의 세계에 갖혀있지 않고 최선을 다해 지금 이순간을 살고 있는 그에게서 참 많은 것을 배우게 되는 계기가 된 것 같다. 더불어서 내가 가지고 있던 장애인에 대한 그저 그런 시선도 조금씩 달라지게 된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