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은 박치기다 - 재일 한국인 영화 제작자 이봉우가 방황하는 청춘들에게 전하는 희망의 책!
이봉우 지음, 임경화 옮김 / 씨네21북스 / 2009년 9월
평점 :
절판


재일 한국인 영화 제작자 이봉우

나는 영화를 볼때 관객수에 따라서 재미있는 영화만 찾아서보는 보통의 영화 관객중의 한 사람이다. 하지만 이책을 접하면서 나는 흥행성 짙은 영화가 아니라 진정한 영화에 대해서 알게 되고 내가 몰랐던 영화에 대한 것들도 들을수 있었다. 나는 영화에 대해서 너머 모르는 것이 많은 것 같고 영화를 보는 것에 있어서도 '우물안 개구리'에 불과했다라는 것을 다시 한번 깨달을 수 있었다.

저자는 제주도에서 발발한 4.3사건을 피해 겨우 목숨만을 건져 일본에 온 부모님 아래에서 1960년대 교토에서 태어났다. 그는 현재 일본에서 시네콰논이라는 회사를 운영하고 있는 재일 영화제작자이다. 우리나라의 영화계에서는 많이 알려져 있는 사람인 것 같다. 바로 일본에 우리나라의 영화의 한류 붐을 일으킨 당사자인 것 같다. <서편제>,<쉬리>,<공동경비구역 JSA>, <친구>, <스캔들-조선남여상열지사>, <말아톤>,<살인의 추억>등에 이르는 다영한 한국 영화를 일본에서 성공시킨 사람이다.  아마도 저자가 처음으로 우리나라 영화를 일본으로 가져가서 상영시키는 과정에서도 처음이라 어려움이 많았던 것 같다. 하지만 저자가 있었기에 지금 우리가 일본이라는 나라를 상대로 문화 콘텐츠 사업을 벌일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준 것 같다. 

이렇게 수많은 영화를 수입해 배급했고 그전에는 자신이 직접 제작자로 나서서 2004년에 만든 리얼한 재일 한국인들의 청춘상을 바탕으로 만들고 자신의 자전적인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는  <박치기>라는 영화도 만들어서 일본 영화계에서 돌풍을 일으켰다.  이 영화는 일본내에서 관객100만을 돌파했고 2005년 각종 연말 영화시상식에서 많은 상과 함께 최우수 작품상을 받았다고 한다. 그리고 부산영화제에서 화제를 모아서 한국에서도 개봉할수 있게 되었다. 

나도 언뜻 이영화를 극장에서 스치듯이 본적 있는 것 같다. 하지만 제대로 보지는 않았다. 이번을 계기로 꼭 봐야할 것 같다. <박치기>라는 영화는 한국에서는 아무것도 아닌 존재로 아무것도 할수 없다던 저자를 뭐든지 할수는 존재로 만들어 준 영화이다. 한편의 영화로 자신의 모든것을 보여준 저자가 대단했고 아마도 영화의 흥행요소에 그의 노력에 숨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하지 않았나 싶다.

자신이 일본에서 활동하면서 일본으로 판권을 가져와서 상영한 외국의 여러 영화까지 소개해주면서 다양한 작품들도 읽는 독자로 하여금 접하게 해주는 것 같다. 대부분의 영화는 내가 모르는 것들이 많았지만 새로운 것들을 접할수 있어서 좋았고 내에게 한정되어 있던 영화를 보는 관점이나 시각이 변하게 되었다. 스케일이 크고 좋고를 떠나서 좋은 영화를 볼수 있는 관객이 되어야 겠다라는 생각도 들었다. 

<박치기>라는 한편의 영화를 통해서 자신의 지금까지 영화와 함께 하면서 겪었던 다양한 에피소드를 이야기하면서 자신의 길다면 긴 영화와의 인연과 자신의 삶을 이야기 하고 있는 저자를 통해서 그의 영화에 대한 사랑을 느낄수 있다. 일본에 있지만 마음 한켠에 있는 한국이라는 나라에 대한 영화사랑도 느낄수 있었던 것 같다. 아직 젊다면 젊은 제작자인 저자가 더 많은 도전을 통해서 우리에게  더 다양한 영화를 소개해주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