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인의 햇빛 일기
이해인 지음 / 열림원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해인 수녀님이라고 하면 아름다운 글을 쓰는 시인이시며 수도자의 삶을 살고 계신만큼 뭔가 굉장히 대단하신분 같다는 생각이 먼저 든다. 수도자의 길을 걸으며, 아름다운 시를 써내려간다는게 쉽지 않을텐데 말이다. '위로 시인', '치유 시인' 이라는 단어가 잘 어울리는 시인이신만큼 이 가을, 이해인 수녀님의 시집이 출간된 것을 알고 기뻤다. 유독 가을이 되면 시집을 찾게 되곤 한다. 시라는 장르 자체는 내게 항상 어렵게만 느껴졌던 장르이지만, 읽으면 읽을수록 시어 속에 함축되어있는 의미를 깨달아가는 재미와 함께 시가 아름답다는 말을 최근에서야 알아가고 있다.

특히, 이해인 수녀님의 시는 종교를 떠나서 모든사람들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는 것 같다. 소외받고 힘들어하는 사람들에게 글로써 큰 힘을 주는 것 같다. 나 역시 수녀님의 글을 너무나도 좋아한다. 지치고 힘이 들때, 나에게 휴가를 주고 싶을때 읽어보면 참 좋은 시집이란 생각을 하게 된다.

수녀님께서 2008년부터는 암 진단을 받은후로 자연스레 글에 아픔, 고통, 이별이 자주 했는데, 이번에 8년만에 새로 발간된 시집에는 그간 사람들과 대화를 하거나 편지를 쓸때 쓴 시의 일부를 인용해 위로를 건내셨는데 그런 시들을 모아 책을 펴냈다고 한다. 1부와 2부에는 새로운 시들이 들어있고 3부와 4부는 기존의 것들에서 가려 뽑은 시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 시집의 제목을 '햇빛 일기'라고 한 것은 햇빛이야말로 생명과 희망의 상징이며 특히 아픈 이들에게 햇빛 한 줄기가 주는 기쁨이 너무도 크기 때문이라고 수녀님을 말씀하신다. 시집의 제목이 너무 아름다운것 같다. 햇빛일기라, 우리는 흔히들 이런말을 한다. 우리 인생에도 쨍하고 해뜰날이 올거라고, 그만큼 우리들 모두 마음 한켠에서는 햇볕이 주는 그 따스함을, 그 큰힘을 느끼고 있는거 아닐까? "이해인의 햇빛일기" 수녀님의 마음이 고스란히 제목에 나와있는 것 같다. 수녀님은 시집 안의 시들로 누군가에게는 작은 위로, 작은 기쁨, 작은 희망의 햇빛 한줄기로 안길 수 있기를 소망한다고 한다. 이미 이 책을 읽고 있는 사람들은 한 줄기의 햇빛을 바라보며 그 햇빛이 주는 따스함을 만끽하고 있는거 아닐까?

많은 이들은 참으로 거창한 무언가를 꿈꾸는데, 살아보니깐 그런 거창한것보다는 소소한 것들이 더 소중하고, 그 소소한 것들이 내 행복을 만들어가는 거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하게 된다.

나 역시 요즘 회사 생활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있었다. 어디서 위로 받아야하나 어디서 힘을 내야하나 싶었지만, 이해인수녀님의 시집 속에서 조금의 위로를 받아본다.

1부 내 몸의 사계절

이명中에

어서 좀

멈추어주렴

2부 맨발로 잔디밭을

노년 일기 中에

젊은 시절에 찍은

사진 속의 내가 나에게

속삭입니다.

'괜찮아요. 자연스런 현상이니

자연스레 받아들이고

그래도 웃이며 살아야죠'

3부 좀 어떠세요?

위로의 방법 中에

문명 와서

정 할 말 없으면

약간 어색해도

미소 지으려 애쓰며

그냥 가만히 있는 것도

위로의 좋은 방법인 것 같답니다.

4부 촛불 켜는 아침

물망초 中에

당신을 기억하는

생의 모든 순간이

모두가 다

꽃으로 필 거예요

물이 되어 흐릴 거예요

더 좋은 시들이 많지만, 특히나 내 가슴에 와 닿았던 부분을 발췌해봤다. 시로 위로받고, 시로 행복해줄수 있다는건 남의 나라 말인줄 알았는데, 시집은 자꾸 읽을수록 더 빨리 와 닿는 것 같다. 특히나 이해인 수녀님의 시는 어렵지 않아서 더 좋았다. 그냥 읽으면 무슨 말인지 알수 있어서 좋았다. 나처럼 회사일로, 일상의 삶으로 다양한 것으로 힘들어하는 이들에게 이 책을 권하고 싶다. 우리는 너무나도 바쁘게 현대를 살아가고 있다. 그리고 너무나도 나 자신에 대해서 무감하다. 결국 나 자신이 제일 중요한 것임을 잊으면 안되는데 말이다. 나 자신에게 잠시의 휴식을 줘보는건 어떨까? 내 자신에게 작은 위로를 건네는건 어떨까? 이해인 수녀님이 건네는 햇빛 한 줄기가 누군가에게는 정말 큰 희망이 되고, 큰 기쁨이 될거라 확신한다.

시를 읽으면서 수녀님의 암투병기를 보게 되는 것 같아서 마음이 아팠다. 하지만 그런 시기를 잘 견뎌내시고 지금을 살아가고있는 수녀님이 너무 멋있어보였다. 누구나 암이라는 큰병을 맞딱뜨리게 되면 죽음을 생각하게 된다. 하지만 그 고통 속에서 살아남으셨고, 이해인 수녀님은 그런 아픔을 앓는 이들에게는 한 줄기 희망이 되어주셨다. 많은 이들이 병으로 아파하고 힘들어한다. 그들에게도 이 시집을 권하고 싶다. 읽으면서 마음이 편안해지고 위로받을 수 있다. 아픈 것은 결코 내가 원해서 아픈게 아니지 않는가.

이해인 수녀님의 시는 늘 쉽고,직관적으로 의도한 바를 알아 차릴 수 있어서 좋다. 그냥 편안하게 읽으면 된다는게 너무 좋다. 수녀님 역시 아픔을 겪어 보셨기에, 다른 아픈 사람들에게 더 공감할 수 있고 그것들이 시로 들어난다. 누군가 그랬다. 슬픔은 나누면 반이 되고, 기쁨은 나누면 배가 된다고.

우리는 우리의 아픔에 공감해주는 수녀님의 시를 읽으면서 우리의 아픔을 반으로 줄여보는 건 어떨까? 100여편의 시들은 우리의 아픔을 위로하기에 충분했다. 짧은 시로 함께 공감하고, 함께 기뻐하고, 함께 웃을수있고 위로받을 수 있어서 좋았다.

나만 아파하고 나만 힘들줄알았는데 그렇지 않아서 더 위로 받을 수 있었다. 왜 사람들이 이해인 수녀님의 글들을 좋아하는지 또한번 느끼는 계기가 되었다.

이 가을, 시집을 읽어야한다면 이해인수녀님의 시집을 추천한다.

-출판사에서 제공된 도서를 읽고 솔직하게 작성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