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 구슬
미셸 투르니에 지음, 이세욱 옮김 / 문학동네 / 200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북아프리카 사하라의 오아시스 마을 탈벨발라. 이곳에 정착해 살지만 아직 유목민의 피가 흐르는 열다섯 살의 베르베르족 소년 이드리스가 있었다. 베르베르족은 사십일 동안 방주에 탄 짐승들을 잡아먹으며 포도주만 축낸 늙은이 노아(줄리언 반스, <10 1/2장으로 쓴 세계역사> 참조)의 둘째 혹은 셋째 아들 함의 자손이지만 일찌감치 정착해 농사를 지은 종족으로 20세기에 들어, 같은 함족이라고는 하나 아랍인, 베두인하고는 따로 구분되는 독립된 민족으로 천만의 인구를 유지했었다. 그러나 혈관을 타고 흐르는 유목민의 피가 완전히 말라버리진 않았을 터. 샴바 부족이 아직 유목생활을 하고 있어서 정착민 탈벨발라 마을에서 오아시스의 낙타를 맡아 기르며 낙타 젖 전부와 새로 낳은 새끼의 절반을 대가로 받아 살았다.

  1. 샴바 부족에 이브라힘 벤 라브비, 즉 라브비의 아들 이브라힘이 살아 이드리스와 친구 비슷하게 지냈다. 대개 유목민들은 자신들이 정착민들에게 일을 받아 살긴 해도, 어딘지 모르게 정착민을 좀 아래로 보는 기색을 감추지 못한다. 이브라힘은 고목나무 숲에 뛰어든 낙타를 찾으러 갔다가 가시나무에 눈을 찔려 애꾸가 됐지만 하나 남은 눈이 놀라운 시력을 가지고 있었다. 하루는 이브라힘이 외딴 우물가에서 암낙타가 새끼를 낳는 걸 보러가자고 이드리스에게 제의한다. 같이 가보니 우물과 오두막 사이에 갓 낳은 낙타 한 마리만 누워 있고 어미 낙타는 보이지 않았다. 출산에 힘을 쏟아 갈증이 나서 물을 마시려다가 깊은 우물에 빠져버린 거였다. 이브라힘이 줄에 매달려 우물에 내려가 보니 다리가 부러져 있어 낙타를 죽이고 해체를 해 고기로 만들어 가져가야 할 수밖에 없었다. 그래 지하 20미터에서 온몸이 피투성이가 되어 낙타 고기를 전부 끌어 올리고 지상에 올라온 이브라힘. 텅 빈 눈구멍에 핏덩이가 엉긴 흥분 상태에서 승리와 도전의 고함을 치며 우물을 좌우로 지지하던 버팀목 위에서 날뛰다가, 그만 삭은 버팀목이 부러져 다시 우물 속으로 추락했고, 버팀목이 사라져버려 우물 벽의 흙이 쏟아져 순식간에 생매장 죽음을 당해버린다.
  2. 이브라힘이 죽기 전, 대낮에 랜드로버를 몰고 가는 프랑스인 남녀가 이드리스를 지나쳐 가다가 다시 유턴을 해 돌아오더니 이드리스를 촬영하는 일이 생긴다. 이드리스가 금발의 여자 사진사에게 사진을 달라고 요구하니, 여자는 지도를 꺼내놓고 지금 그들이 있는 오아시스를 손으로 가리킨다. 사진을 현상하기 위해 며칠이 걸리니까 여기 오아시스에서, 손가락을 옆으로 밀더니 베니 아베스, 한 번 더 밀어서 베샤르, 그리고 계속해 오랑을 찍고, 오랑에서 페리호를 타고 스물다섯 시간 동안 지중해를 건너면 나오는 마르세유를 거쳐 다시 팔백 여 킬로미터의 고속도로를 타고 파리로 가면 그곳에서 사진을 부쳐주겠다고 말한다. 흰 피부와 금발의 미인. 사실 이 여자가 미인인지 아닌지 모른다. 그러나 이때부터 열다섯 살의 소년에게 금발의 여인은 일종의 거역할 수 없는 이미지로 각인되어 버린다.
  3. 오아시스에서 아흐메드 벤 바디의 딸 아이샤와, 모하메드 벤 수힐의 아들 알리 벤 모하메드의 결혼식이 며칠 동안의 축제 형식으로 열린다. 해가 지고 슈라이아 요새 쪽에서 압둘라흐 페흐르를 일종의 수head광대로 하는 놀이패 하객들이 몰려온다. 이 중에 은으로 된 장신구로 치장한 흑인 무희 제트 조바이다가 이드리스의 눈을 사로잡는다. 가히 공연의 혼이자 불꽃, 장신구들의 발레라고 할 장면에 취한 이드리스. 베일을 쓴 얼굴과 발을 제외하고 제트 조바이다의 매끈하고 빛나는 검은 배, 이 부분 한 곳만이 바라보기가 허용된 그녀의 속살. 게다가 가죽끈에 매달린 채 빙글빙글 돌아가는 황금 구슬. 이것이야말로 삼라만상을 품은 듯하고 침묵으로 모든 것을 표현한 고독한 귀금속으로, 자체가 자연을 모방하지 않은 순수한 기호이자 절대적인 형상을 갖춘 것이었다. 날이 밝고 조금 지나 이드리스가 슈라이아 요새 근처 놀이패의 숙영지에 가보니 이들은 벌써 떠나버리고 아직 화기가 가시지 않는 꺼진 장작에서 약한 연기만 피워 올랐다. 이때 이드리스의 눈에 들어온 떨어트리고 간 모래 속의 반짝임. 바로 제트 조바이다의 가죽끈에 매달렸던 황금구슬이었다. 나중에야 알았다. 황금구슬이 대가를 요구하는 자유를 의미한다는 것을.
  4. 놀이패 수광대 압둘라흐 페흐르가 모닥불 옆에 깊은 밤에 해준 옛 이야기, 해적 하이레딘의 모험담, 붉은 수염 임금의 초상. 지중해를 벌벌 떨게 했던 해적 하이레딘이 형과 함께 알제의 술탄을 살해한 적이 있다. 형이 틀렘센에서 전사한 후 하이레딘은 헤지라 912년, 서기력 1534년에 튀니지 항구도시 비제르트를 점령했을 때 튀니지의 술탄인 물라이 하산 대신 궁궐에 진입해 스스로 술탄의 자리에 앉는다. 이때 온 궁궐이 비었으나 단 한 명이 남았으니 임금의 초상을 그리는 어진화백御眞畵伯이자 궁전화원인 아흐메드 벤 살람이었다. 아흐메드의 방엔 도망한 술탄의 초상화가 어이없이 영웅의 모습으로 그려져 있는 것을 보고 전부 불사르라 명령한다. 나날이 지나자 자신도 초상화를 그리고 싶어진 하이레딘 임금. 그러나 이이에겐 치명적 부끄러움이 있었다. 붉은 머리와 붉은 수염. 사라하의 전승에 따르면 엄마가 몸의 것이 있을 때 임신을 하면 붉은 머리카락의 아이가 태어나고, 아이가 아들일 경우 자라서 성인이 되면 역시 붉은 수염이 돋는다고 한다. 생리혈은 불결한 것으로 아이 역시 날 때부터 저주받은 생명으로 지목을 받는다. 그래 하이레딘은 아흐메드에게 자신의 초상화를 흑백으로만 그리라고 주문을 한다. 아흐메드는 흑백 스케치를 그리고 그것을 가지고 황야로 나가 케르스틴이라는 이름의 금발과 파란 눈을 가진 스칸디나비아 출신 여인에게 찾아가 조언을 구한다. 이 여자가 스케치를 바탕그림으로 해서 북유럽의 단풍나무로 만든 베틀에 앉아 양털로 융단을 짜기 시작해 유럽의 가을 풍경을 배경으로 머리털을 조화롭게 하고, 짐승의 털과 깃털로 동화시킨 이미지를 사용해 붉은 수염의 초상 융단을 제작한다. 정복 여행에서 돌아온 하이레딘이 이것을 보고 크게 만족하여 그동안 계속 착용했던 큰 터번과 턱 가리개를 벗어던지고, 이제부터 짐은 붉은 수염 술탄이다. 이를 만 천하에 알리도록 하라! 라고 지시하기에 이른다.


  열다섯 살의 이드리스가 한 순간에 경험한 일들. 이것들이 기어이 이드리스로 하여금 길을 떠나게 한다. 여기에 파리에서 사막으로 보내온 사진 하나. 그건 자신을 찍은 모습이 아니라 사진을 찍던 당시 자신 옆에 있던, 방울 모양의 술을 달고 머리를 치켜든 채 이를 벌씬 드러내고 히힝 웃고 있던 당나귀의 사진이었던 거다. 동네에 크게 소문이 난 사진. 어쩌면 동네 사람들 모두 파리에서 이드리스의 사진이 도착하기를 기다려왔는지도 모르는데, 이런 창피함이라니. 이리하여 이드리스는 흑인 무희 제트 조바이다의 황금구슬을 빼고는 아무 가진 것도 없이 예전 랜드로버를 타고 와 사진을 찍었던 금발여인의 손끝을 따라 오아시스를 떠나 베니 아베스, 베샤르를 거쳐 오랑에 이르고, 오랑에서 배를 타 지중해를 건너 마르세유에 도착해 다시 파리로 가 자신이 구축해왔던 이미지를 찾는 여정을 시작한다.
  책을 읽기 전에, 작가 미셸 투르니에가 사진가 에두아르 부바의 사진을 보고 예리한 통찰을 한 기록인 <뒷모습>을 낸 적이 있다는 것을 알면 더 좋을 듯하다. <뒷모습>과 같은 철학적 통찰이 대신, 사진 찍기라는 행위의 의의부터, 시간 포착의 이미지에 대한 사색을 통해 이드리스가 대륙을 떠나 파리에까지 가야만 하는 상황이 어떻게 의미가 있는지를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터이라서. 그러나 투르니에의 진짜 의도는 이미지, 나중에 금발의 여왕으로 대표하는 이미지를 극복하기 위한 기호, 즉 문자, 문자들의 조합인 문장과, 문장의 조합인 문학으로까지 확장시킬 수 있는 글쓰기 또는 글자쓰기까지 나아가게 된다. 당연히 결론을 미리 이야기하는 우를 범하지는 않겠지만, 이렇게 좋은 작품이 2007년에 초판이 나온 후 어떻게 아직 중쇄도 찍지 않았는지 놀랍다. 스토리도 재미있지만 이야기 속에 확실한 금을 긋는 사색의 흐름을 따라가는 것도 한 번 집중해볼 만하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