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여운 고릴라..


릴라..


릴..


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간만에...

친구 기정이랑 후배승훈이랑 만났다..

만득이란 고기집에서 소주한잔 꺾으면서 지난 이야기를 나누었지..

짜식 잘나갔는데..

지금은 백수 생활을 하네.. 취직이 쉬운게 아니라네..

취기가 오르고..

2차로 대사관에 갔지..

물론 꼬치구이집이지..

한잔 더 하러..

그렇게 밤은 깊어갔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일선 파출소에서 매일 관내 주민들과 접촉하며 근무하는 경찰관이다. 그러다 보니 노인이나 어린 아이를 찾으러 오는 사람들을 많이 본다. 길을 잃고 헤매다 행인에 의해 파출소로 이끌려 오는 노인이나 아이들이 많기 때문이다. 잃어버린 가족의 인상착의 등을 파악한 후 즉시 수배하는 방식으로 찾아주고 있지만 어려움이 크다.

집을 잃은 당사자들도 마찬가지다. 치매기라도 있는 노인들은 사는 곳은커녕 자신의 이름도 기억하지 못한다. 아이들도 별로 다르지 않다. 가정에서 집주소와 전화번호를 외우도록 교육받지만 막상 파출소에 와서는 무섭고 당황해서 울기만 할 뿐 제대로 기억해내지 못하는 아이들이 부지기수다.

그래서 한가지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집주소와 연락처를 기재한 목걸이나 팔찌를 노인들과 아이들에게 채워 주는 것이다. 간단하면서도 만일의 상황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가족들도 덜 불안하게 생활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인터넷이 미아찾기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인터넷 ‘길목’에 사진과
정보를 놓아두면 수만명이 이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인터넷은 특히 24
시간 내내 미아의 사진과 신상자료를 올려놓을 수 있다.

한국복지재단 어린이찾아주기종합센터(www.missingchild.or.kr)사이트
는 750명의 장기 미아와 5만명의 시설보호아동 자료를 담고 있다. 이 사
이트를 방문하는 일일 방문자수는 1000여명, 미아를 신고하거나 제보하는
건수는 130여건에 이른다.

경찰청은 작년 12월부터 홈페이지(www.npa.go.kr)에 미아찾기코너를 운
영하고 있다. 이 코너는 미아 5000여명의 신상정보를 담고있으며 미아조
회와 정보 올리기가 가능하다. 경찰청 소년계 권기선 계장은 “6월까지
사이트를 개편, 더 상세한 정보가 수록할 계획”이라고 밝혔다.하루방문
자가 100만명을 넘는 라이코스코리아(www.lycos.co.kr)는 최근 대구 개
구리소년 실종 10주년을 맞아 쇼핑몰과 공동구매 초기 화면에 미아찾기
캠페인 코너를 마련했다. 라이코스코리아는 개구리소년 5명의 신상자료
과 사진은 계속 올려놓을 계획. 이와 함께 매달 미아 4명의 사진과 신상
자료를 번갈아 실어 제보를 기다린다는 것. 이밖에도 모바일114(www.mob
ile114.co.kr) 한국미아방지(www.korea21mia.com) 헤어진 가족찾기 모임
(www.face.co.kr) 넷츠고(myhome.netsgo.com) 네띠앙(www.netian.
com)등 20여개가 넘는 사이트에서 미아를 찾아주고 있다.한국복지재단
이재구(李載九)팀장은 “미아찾기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보고 제보를
해주느냐에 성패가 달려있다”면서 “자녀를 애타게 찾고 있는 부모들의
마음을 헤아려 네티즌들이 적극 동참해 달라”고 당부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 미아발생 현황

보건 복지부와 경찰청의 자료에 의하면 최근 5년간 미아발생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년간 미아발생건수는 약 3,500여건이고 만6세 이전 아동의1000/1이 미아가 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통계 수치는 경찰서나 구청등 관계기관에 신고 접수되어 보호 시설이나 관계기관에 짧은시간이나마 위탁되는 아동들의 수치이며 백화점, 각종 행사장, 놀이공원,유원지등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서 발생하는 일시적 미아발생 건수를 포함한다면 통계수치보다 훨씬 많을 것입니다. 이러한 일시적 미아발생 건수는 년간 전국적으로 만6세 이전 어린이들의 약 60명당 1명 정도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장기간 부모를 찾지 못하고 아동 상담소나 사회복지시설에 위탁되는 어린이는 년간 150여명 정도입니다. 년간 150여명 정도의 어린이는 부모와 헤어져서 오랜 시간동안 아니 일생을 그렇게 떨어져서 살아가게 되기도합니다. 미아발생의 특성상 미아발생 1-2년이 지나면 부모들도 내 아이들을 잘 알아보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어른들도 낯선 환경에 임하게 되면 약간의 심리적 불안이 야기 됩니다. 길을 잃어버린 아이의 정신적 충격과 공포심을 한번쯤 깊이 생각해 본다면, 정말 이문제는 중요하다고 생각하실겁니다. 미아발생시 가장 중요한 것은 미아발생시간이 길어져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어린이의 정신적 충격은 그시간에 비례하기 때문입니다. 더욱 중요한 사실은 부모의 작은관심이 미아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당신의 아이도 미아가 될 수 있습니다. 미아는 예방이 최선의 방법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