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은 혼자 오지 않는다 - 웃기는 의사 히르슈하우젠의 도파민처럼 짜릿한 행복 처방전
에카르트 폰 히르슈하우젠 지음, 박규호 옮김 / 은행나무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심각하지 않게 약간은 시니컬하게 '행복'을 말하는 의사이자 코미디언, 무대를 사랑하는 '히르슈하우젠'의 책 <행복은 혼자 오지 않는다>. 전혀 사전정보 없이 서점에서 제목만 보고 충동구매한 책이다. 오프라인도 아닌 온라인서점에서 제값을 다주고...ㅠㅠ.... 당장은 살짜기 후회스런 맘도 들었는데 다 읽고나니 별로 그 값으로 말하고 싶어지진 않는다. 그렇다고 책값만큼 했다는건 아니고ㅋㅋㅋ... 책값을 하려면 내가 얼마나 이 책의 후유증을 오래 앓느냐에 달려있겠지.. 하지만 책값 생각안나게 할만큼 즐겁게즐겁게 읽었다. 심오한 '의미'때문이 아니라 그의 태도 때문이다. 독일인은 특별히 전두엽과 측두엽외에 불평엽이 있을거라며 자신이 속한 그 나라 그 땅에 사는 이들을 얘기하는 그의 살짝 비아냥거리는 말투가 상당히 맘에 들었는데 이런 류의 자세 때문인듯. 도사님같이 종교인같이 말하는 너~~무 긍정적인 처세책보다는 이런 인간적인 냄새가 폴폴나는 글이 좋다.

내용은 어쩌면 너무 흔해서 중언부언일듯한 것이지만 그걸 유머로 풀어내고 슬쩍슬쩍 비아냥거리듯 말하는 그의 비유가 참 날카롭다.
"심리학의 가장 끈질긴 오류 중 하나는 부정적인 감정을 겉으로 드러내라는 것입니다. 대중심리학의 이런 주장은, 인간을 압력솥쯤으로 여겨서 적당히 증기를 빼주지 않으면 폭발한다고 믿는데서 나옵니다. 하지만 늘 끓어오르는 감정을 드러내는 사람은 본인뿐 아니라 주변과의 관계도 망가뜨리고 맙니다" 내가 꼭 하고 싶은말. 어중간히 심리치료를 받고 꼭 내 감정을 다 드러내야 된다고 믿는 이들이 있다. 으~~~~

"생각해보면 참 이상한 일입니다. 이제 우리에게 생존을 위협하는 문제는 별로 없습니다. 이렇게 좋은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가 이토록 자기 자신을 괴롭히는 걸 보고도 , 왜 아무도 웃지 않는 걸까요" 이건 그가 독일인이기에 가능한 발언이겠지. 어쨌든 그도 안다. 그의 행복을 위한 제안에 결정적인 부분을 차지하는 것도 모든 평화주의자가 성인들이 하는 말과 같다. 더 소유한다고 행복해지지 않고 결국 남과 나누지 않으며 사는 삶에 '행복'은 없다는 거. 근데 그걸 참 끈덕지고 유쾌하게 설명하고 있다는거지.

그의 책을 읽다보니 버나드 쇼를 읽고 싶어진다. "우리가 죽어야 한다고 삶이 우습지 않은 것은 아니며, 우리가 웃는다고 삶이 진지하지 않은 것도 아니다." 버나드 쇼의 말이다.

펭귄에 대한 그의 생각 "변함없는 그 연미복 차림하며, 허리는 대체 어디 간거야? 날개는 너무 작아서 아무짝에도 쓸모 없고, 게다가 그 다리는 또 뭐야? 조물주가 무릎 만드는걸 깜빡 했나 보지?" 그런데 그는 펭귄의 물속에서의 모습을 보고 알았다. 펭귄은 포르쉐보다 열 배는 더 잘빠진 유선형의 몸매에 휘발유 1리터 분량의 에너지로 2500km 이상을 갈 수 있다는 걸. 그는 두가지 사실을 얘기한다.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만 그를 보고 판단했기에 잘못된 판단을 할 수 밖에 없다는 것과 자기 능력을 제대로 발휘하고 두각을 나타내기 위해 주변여건이 얼마나 중요한가이다. 그는 남들처럼 되고자 한다면 "다른 사람들은 이 세상에 이미 차고 넘친다"고 조언해주고 환경에 억지로 자신을 맞추려 하기보다는 주변상황을 바꾸는 것이 훨씬 나을 수 있다고 말한다.

팽귄인 당신, 목이 긴 기린이나 근육질의 사자가 되려하지 말고
"당신의 바다를 발견하세요. 차가운 물속으로 뛰어드세요! 마음껏 헤엄을 치세요! 그러면 자신의 본성 안에 머문다는 게 어떤건지 알 수 있습니다."

나는 신나게 놀고 향유할 '바다'안에 있는 것일까?
'내가 정말로 원하는 게 뭐지? 무엇이 날 기쁘게 하지? 언제 내 가슴이 뛰지? 남들이 내게 기쁨을 느끼는 때가 언제지? 그럴 때 나는 어떻게 행동하지? 내가 정말 좋아하고 몰입할 수 있는 일이 뭐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