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떻게 살인자를 변호할 수 있을까? - a True Story ㅣ 어떻게 살인자를 변호할 수 있을까? 1
페르디난 트 폰쉬라크 지음, 김희상 옮김 / 갤리온 / 2010년 11월
평점 :
옮기고나서 쓴 글의 제목 "멈춰라, 너 참 아름답구나!" 괴테가 한 말이라는데, 옮긴이 김희상의 이 말이 참 묵직하게 가슴에 놓이는 책이다.
지은이 페르디난트 폰 쉬라크는 실제 형법전문 변호사로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쓴 글이라고 한다. 모두 11개의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을 만나게 된 건 우연히 며칠전 보통은 차를 타고 다니던 거리를 차도 가져오지 않고, 택시도 타고 싶지 않아서 12월에 걸맞는 찬바람을 맞으며 걸었던 때였다. 걷는 중간에 서점이 있어서 그냥 잠시 추위도 피할겸 들어갔다가 신간코너에서 이 책을 보게 되었다. 제목이 일단 끌렸고 잠시 들어서 살펴본 책속의 문장이 꽤나 신선했다. 짧고 군더더기 없는데다 소재도 흥미롭고..... 12월 매일매일이 더더 여유없이 지나는 시간에 코를 박고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는 나를 잠시라도 해방시켜줄 것같은 강렬한 예감에 대부분은 할인이 확실한 인터넷을 이용하는데 잠시의 망설임 끝에 이책을 포함 총 3권을 그냥 질렀다. 커피한잔 안마시면 까짓거 할인율정도의 비용은 아낄수 있다는 얄팍한 위안을 하며 가방안에 묵진한 기대감으로 책3권을 찔러넣고 또 시간이 안나서 며칠을 그냥 가방속에 방치하다 12월의 일요일 어느 하루 오후를 <어떻게 살인자를 변호할 수 있을까>로 채웠다.
스토리 하나하나 짧지만 녹녹치 않은 인생들의 무게가 그려지고 그것이 '범죄'라는 극단적 재현아래 드러난다. "우리는 노를 잡고 흐름을 거슬러 올라가기 위해 싸웠죠. 하지만, 언제나 쓸려 내려갈 뿐이었어요. 저 과거로." 동생을 욕조에 익사시킨 테레사가 줄친 위대한 캐츠비의 이 문장처럼 이 책에는 스스로 어쩌지 못하는 상황들에 처한 사람/삶의 진실이 그려지기도 하고, 감히 통쾌(?)하다고 생각되어지는 폭력이 등장하기도 하고, 법을 집행하는 사람으로서 지은이 쉬라크가 생각하는 형법에 대한 재판에 대한 가치가 이야기를 통해 전달되기도 한다.
마지막 이야기 '에디오피아의 남자'는 이 책의 모든 이야기들을 아우르는 듯한 내용이 담겨있다. 여기서 난 예상치 못하게 눈물을 쭈르륵 훌리고 있었다. 책에서 보여지는 삶이 기괴하고 인생이 하도 초라하고, 인간이 너무 남루해서 견디기 힘든 정점에 가 있었는데 이디오피아남자에 이르러 살짝 그 긴장이 맥없이 풀려버렸다. 그래도 사랑하고 그래도 행복을 바라는 사람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지....무작정 마약같은 일시적 방편으로서의 허무맹랑한 위로가 아니라 사람/삶의 진실을 어떻게 바라보아야할지를 아주 슬쩍 이야기속에 풀어놓는 지은이 쉬라크에게 그저 미소짓게 만만드는 '에디오피아의 남자'. 끔찍한 삶의 진실과 동화같은 삶의 희망이 너무 쉽게 포개어져서 이건 꾸며낸 이야기야라고 생각하게 되는, 그래서 더 진짜 리얼스토리라고 믿고 싶어지는....법이라는 비인격적 실체에게도 쉬라크는 인생을 보아야한다고 주장한다. 죄가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사실적 증거가 있으면 되지만 판결이란 각자의 인생이 감당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처벌이 내려져야 한다는 것, 즉 범죄를 저지른 인간이 어떠한 맥락에서 살아왔으며 그 맥락이 그를 어떻게 범죄로 연결시킨 것인지를 봐야 한다는 것이다.
12월 많이 울적해지는 시간, 이 책은 잠시나마 위안받고자 한 내 기대를 충족시켜 주었다. 땡큐 '쉬라크', 땡큐 이 책을 만나게 한 우연의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