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 플라톤의 대화편 현대지성 클래식 28
플라톤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플라톤의 변론을 읽었다. 옛날 학부 시절에 한글로 읽었던 기억이 어렴풋이 난다. 그 때 나의 인상은, 참 소크라테스가 비호감이다- 그 자의 변론이 계속 되면 될수록 사람들이 반감을 가지고 죽어라 쪽에 표를 던진 것은 아니었을까 멋대로 생각해본다. 이런저런 정황을 똑바로 파악하라면 그 시절의 사회상도 알고 있어야 하는데 아직은 그 정도가 아니라서 짐작해 볼 뿐이다.



2.

옛날에는 플라톤이 그린 소크라테스를 보며 오만한 노친네 정도로 생각했는데, 이제는 그렇지 않았다. 이번에는 읽으면서 후반부쯤 눈물이 나더라. 아마 나이가 들어서 자신의 진실을 사수하기 위해, 자신의 마음이 속삭이는 소명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바친다는 것이 얼마나 대단한 선택인지를 체감할 수 있어서 그런 것 아닐까?


십년 전에는 소크라테스가 노년이니 죽는 것을 생각보다 쉽게 생각한 것은 아니었을까 그렇게 생각했는데, 몇 살이 되어도 인간이 죽음 앞에 무력하다는 사실을 더 이해하게 되니, 소크라테스의 선택이 단순히 노인의 마감만이 아니라는 느낌을 받는다.


플라톤 본인이 소크라테스를 어떻게 그려냈는가, "진실한 소크라테스"가 어떤 사람이었을까는 어차피 답할 수 없는 것이니 남겨두고, 제자가 그린 스승의 이미지를 염두에 두며 질문을 해볼 수밖에 없었다.


소크라테스는 과연 “철학자"인가, 아니면 “신의 사도"인가?

미셸 푸코는 그를 진정한 “파레시아스트"의 사례 중 하나라고 규정한 바 있다.


왜 그는 그의 “진실"을 사수해야 했던 것일까?

그는 그것이 자신의 의무라고 믿었다. 그것도 신에게서 부여받은 소명이라고 생각했다.

이것은 종교인가, 철학인가?

이것은 윤리인가, 욕망인가?


우리는 소크라테스를 철학자로 받아들인다. 그러나 그가 하는 행위가 "철학"인가? 철학은 진실을 사랑하는 것이라는 어원을 그리스어로 갖고 있다고 하는데, 대체 "진실"이 무엇인가?



3.

심지어 소크라테스 본인도 고발된 내용이 공동체의 젊은이들을 현혹시키고 신이 아닌 다른 것을 추종한다는 이유로 고발된 것이 아닌가.


즉, 그의 "진실"이 타인의 "진실"과 다를 때, 우리는 무엇을 판별기준으로 삼을 수 있단 말인가?



4.

대체 소크라테스가 자기말고 다른 사람들이 이해를 했다 못했다의 그 기준을 삼는 건 대체 뭐란 말인가?

그는 신으로부터 자신이 가장 현명한 사람이라는 신탁을 받고 그것이 참인지 거짓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여러 사람들을 두루 만나며 시험을 해보았다.

그 결과로 얻어낸 것은 인간은 모두 무지한데 자신만이 무지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으므로 자신이 가장 현명하다는 것이었다.


이것이 어떻게 철학일 수 있단 말인가?

종교와 거리가 멀어진 현대인들은 사실 이것을 의심해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결국 그는 자신의 마음에 깃든 신의 신탁을 스스로 "해석"해내어 그것이 "진실"임을 그 누구보다도 "믿음"을 가졌어야만 했다.

그리고 그 믿음이 현실이 되고, 탄압을 받았을 때 그는 "진실을 사랑한 철학자"로 기록되고 기억된다.



5.

만약 나의 의심이 사실이라면,

우리에게 참과 거짓을 판별한 기준이 무한히 상대적인 것이라면,

절대적인 것이 없다면,

결국 수많은 소위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이 말한 것처럼,

이 세상은 잣대와 기준과 권력과 힘이라는 조건들로 구성된, 한 판의 잘 만들어진 컴퓨터 프로그래밍 게임에 불과한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