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의 혁명
빌렘 플루서 지음, 김현진 옮김 / 커뮤니케이션북스 / 200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재벌언론에 대한 관심이.. 영상매체가 가지고 있는 권력관계로 넘어가더니.. 결국 여기까지 왔다;; 물론 발표의 압박으로 읽게 된 책이긴 하지만.. 어쨌든 플루서.. 나는 잘 모르던 사람이었는데 이 분야에서는 꽤 유명한 사람이었던 것 같다;;  다음에 기회가 되면 그의 다른 책인 『피상성 예찬』도 읽어봐야겠다. 여튼 각설하고..

 플루서는 인간이 서로 소통하기 위해서는 상징의 도구가 필요했는데 그것이 고대에는 바로 그림이었다고 한다. 즉 동굴벽화에서 볼 수 있듯이 그림은 상징의 도구였고, 그것을 통해 커뮤니케이션을 하였기 때문에 인간은 '세계를 의미하는 그림의 세계 속에서 살았다.'고 한다. 그 다음에 나타난 상징의 도구는 글자인데, 플루서는 글자란 단순히 그림을 행으로 풀어쓴 것에 불과하다고 이야기한다. 그러나 일종의 그림인 글자의 발명은 장면들을 과정으로 변화시키기 때문에 글자의 발명과 함께 역사가 발명된다고 한다. 즉 역사적 의식이란 글자의 탄생 이후에 생기게 된 것이다. 이러한 글자는 모든 대상이 정보가 되어 문화라는 저장창고에 쌓이게 되는데 이는 점차 비대해진다. 이 시기에는 역사주의적 선형문화모델에 의해 세상을 바라보게 되는데 이는 정보의 와해, 망각, 죽음 등에 대해서 침묵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동굴 벽화의 탄생이 제1의 그림의 혁명이었다면, 지금의 시대는 제2의 그림의 혁명이 벌어졌는데, 그것은 바로 테크노 코드의 탄생이다. 즉 과거의 글이 그림을 개념으로 풀어놓은 것이라면, 테크노 코드는 개념에서 그림을 만들 수 있게 하였다. 예컨대 한 장의 사진은 하나의 사정에 대한 그림이 아니라 하나의 사정을 의미하는 하나의 장면에 관한 일련의 개념들에 대한 그림인 것이다. 즉 제2의 그림의 혁명은 글을 대체하게 되며, 탈현대적 인간은 세계에 관한 이론을 의미하고자 애쓰는 그림의 세계 속에서 살고 있다. 즉 우리가 일상을 가장한 텔레비전 영상에 둘러쌓여 살아가는 것처럼 말이다.

 그가 죽은 이후 수많은 변화가 생겨서 그런지 몰라도, 그의 글에는 현실과는 좀 맞지 않는 부분들이 몇 있었는데 대표적인 것이 그림의 홍수에 대한 설명이다. 분명 지금의 시대가 그림의 홍수라고 표현할 정도이기는 하지만 그가 말했듯이 송신자의 폭정과 수신자의 소비자화가 일방적으로 진행되고 있지만은 않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요즘 뜨는 UCC가 아니겠는가? 그리고 그는 새로운 그림의 혁명으로 인해 글자를 알던 대부분의 사람들이 새로운 그림 즉 테크노 코드를 모르게 됨으로써 문맹으로 전락한다고 이야기하였지만 초등학생들도 인터넷에 동영상을 올리는 걸 보면 그 문맹의 수준이라는 것이 그리 걱정할 필요는 없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여튼.. 테크노 코드에 관한 그의 논의는 아직도 많은 부분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나 그가 죽은지 너무 오랜 시간이 흘렀고 그 사이에 변한 것들이 너무 많기에.. 현실에 안 맞는 부분이 몇 있다는 단점이 있는 것 같다. 그래서 별은 3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