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불평등 기원론'은 문명의 진보가 부와 권력 그리고 사회적 특권의 인위적인 불평등을 초래함으로써 어떻게 인간의 본원적 행복과 자유를 타락시켰는가를 증명하고 이를 바로잡기 위한 법과 제도 또한 이러한 불평등을 영속화할 뿐이라고 주장한 18세기의 가장 혁명적인 저작 중 하나입니다. 이 저작은 사유재산제도가 인간들 사이에 불평등을 초래했으며 기존의 법과 정치제도는 모두 그 사유재산을 보호하도록 만들어진 것이기에 변혁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논리를 전개함으로써 지나치게 급진적인 데다 절대왕정을 턱밑에서 비판하고 있어 루소의 주저인 '사회계약론'의 싹을 품고 있을 뿐 아니라 가장 영향력 있는 투쟁서가 되었습니다.


루소는 인간 불평등의 기원을 규명하기 위해 인류의 선역사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루소가 보기에 '타락' 이전의 낙원에서의 인간, 즉 원시적인 자연 상태의 인간은 선악과 자기 보존의 불안 의식을 알게 되면서 문명의 상태에 들어서게 됩니다. 그리하여 '타자'를 의식하고 '타자'와 함께하는 삶에 종속하게 됩니다. 또한 타자와의 비교와 소유욕이 결합함으로써 '평등'이 사라지고 '소유'와 '노동'이 도입되었으며 '예속'과 '비참'이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루소는 자연 상태의 종말과 소유 관념의 형성, 그로 인한 지속적인 인류의 파멸에 안타까워 합니다. 토머스 홉스의 말처럼 인류 사회는 이제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의 장으로 변화했으며 가진 자와 못 가진 자, 강자와 약자 간의 불평등은 갈수록 심화되어 갈 수밖에 없습니다. 게다가 이러한 불균형을 바로잡도록 제정된 법과 정치제도가 가진 자와 강자들을 위해 불평등을 영속화하는 데에 쓰일 수 밖에 없습니다.


루소에 따르면 인간은 천성적으로는 선하지만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즉 사회의 문화적·문명적 관계 속에서 필연적으로 타락할 수밖에 없으며 순수하고 행복했던 미개인의 신화적인 이미지를 되찾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루소는 '에밀'과 '사회계약론'에서 답변들을 제시했습니다. '에밀'에서 루소는 자연 상태의 인간이 지녔던 선, 자유, 천복을 되찾기 위한 교육론을 '사회계약론'에서는 자신의 힘과 자유를 타인의 유용을 위해 완전히 양도해야 한다는 사회계약에 바탕을 둔 이상적인 사회를 제안했습니.


당시 사회 조건과 문명화 과정에 대한 영향력 있는 비판서 '인간 불평등 기원론'은 루소 정치사상의 핵심적인 저작 '사회계약론'의 단초를 마련하는 동시에 1789년 자유, 평등, 박애의 기치를 내건 프랑스 대혁명의 중요한 사상적 기반이 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