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의 사과 편지 - 성폭력 생존자이자 《버자이너 모놀로그》 작가 이브 엔슬러의 마지막 고발
이브 엔슬러 지음, 김은령 옮김 / 심심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에 대해서는 멈추지 않고 말하거나 아예 말하지 않는 것 두 가지만이 가능할듯하다. 아버지로부터 성폭력, 학대 등 온갖 폭력들로 고통받아온 이브 앤슬러가 ‘만약 아버지가 나에게 사과편지를 쓴다면‘을 가정하고 쓴 글이다. 아버지의 입장에서 편지를 쓰듯이. 저자의 아버지는 이미 세상을 떠난지 오래다. 왜 저자는 영영 받을 수 없는 사과편지를 써야만 했을까? 아버지를 이해하기 위해서? 아니다. 그녀 스스로가 비로소 자유로워지기 걷위해서다. 상처를 기록함으로서 더욱 더 그녀 자신이 되기 위해서다.



자기 자신의 ‘그림자‘를 이기지 못하고 끝내 괴물이 된, 그런 자신을 돌아볼 기회조차 걷어차버린 가해자. 끝끝내 살아남아 자신이 겪은 일들을 기록해내며 성찰과 자유로 향하는 생존자. 이 책을 읽으면서 가해자와 피해자를 넘어 자기 자신으로부터 도망쳐버린 사람과 진정한 자기 자신이 되고자하는 사람의 모습이 그려졌다. 이브 앤슬러가 어떤 시간을 통과해왔을지 감히 상상조차 할 수 없다. 가장 사랑하는 사람에 의해 집요하게 파괴당한 ‘이전의 삶‘ 그리고 그 잿더미 속에서 계속 무너지고 미끄러지며 처음부터 다시 쌓아올렸을 ‘이후의 삶‘. 그저 책을 읽었을 뿐인 나도 읽은 뒤 며칠 간 일상생활이 어려웠는데 당사자인 저자는 어떠했을 것인가.



이 책의 특별함은 도저히 불가능하게만 느껴지는 일을 저자가 해냈다는 것에 있다. 자신의 고통과 직면하고, 그 고통을 준 사람을 응시하고, ‘왜 그는 가해자여야 했는지‘에 대해 성찰하고, 받지 못한 사과 편지를 쓰는 일 말이다. 나는 이 책이 쓰여졌다는 사실 자체가 경이롭다. 감히 품위와 숭고함이라는 두 단어를 떠올린다.



상처받은 이들에게. 받아야 할 사과를 받지 못한 이들에게. 그리고 스스로를 돌아보지조차 못하는 가해자들에게. #비비안추천도서





(*출판사로부터 지원받은 도서입니다.)



www.instagram.com/vivian_book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녀 연예인 이보나
한정현 지음 / 민음사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름을 기억할 것.˝ 그리고 ˝낙관할 것.˝(‘우리의 소원은 과학 소년‘) 이 말이 하루종일 머릿속을 맴돈다. 지금 내가 가장 듣고 싶은 말이어서겠지. 기대를 가득 안고 읽은 한정현의 소설집 <소녀 연예인 이보나>. 내가 다독하는 이유는 정독할 책을 골라내기 위함인데(<공부란 무엇인가>로부터 배운 것.), 이 소설은 정독할 책 리스트로 옮겨 두고두고 읽게 될 것 같다. 한정현의 소설은 이제껏 만나보지 못했던 세계를 보여준다. 독자로서 앞으로 어떤 여정을 함께하게될지 두근거리는 마음이다.



<소녀 연예인 이보나>에서는 느슨한 연작 소설의 형태를 띄고 있는 여덟 편의 소설들을 만나볼 수 있다. 이 땅의 역사가, 나의 조상의 역사가, 나의 부모의 역사가 결국 나에게 깃든다는 것. 그리고 영영 서로를 모를 타인인 우리는 어떤 식으로든 연결되어 있다는 것. 정확하게 들어맞지는 않지만 끝없이 변주되는 연결점들이 각각의 소설에 들어가 있다. 소설들은 때로는 치열한 탐구의 형식으로, 때로는 어렴풋한 기억을 끄집어내는 형식으로 쓰여져있다. 이 책은 여성, 성소수자, 재외국민 등 소수자인 이들과 그들의 정체성, 그들의 이름에 대한 이야기다. 그러니까 결국에는 기억과 사랑에 대한 이야기인 셈이다. 한국의 근현대사와 그 시간을 살았던 이들, 그리고 지금의 나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고.



아름다운 소설집이다. 결국에는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믿게 하는, 결국에는 낙관의 힘을 믿게 하는.

많은 이들이 함께 읽어주었으면 좋겠다.



www.instagram.com/vivian_book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끔 사는 게 창피하다 - (나에게) 상처 주고도 아닌 척했던 날들에 대해
김소민 지음 / 한겨레출판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40대, 여성, 백수, 싱글. <가끔 사는 게 창피하다>는 멀쩡히 다니던 직장을 그만둔 저자가 자기 자신의 주체가 되어가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재미있다. 요즘 같은 시기 집콕하면서 읽을만한 최적의 에세이가 아닐까 싶다. 예전에 조금 읽다가 덮어둔 이 책을 어제 우연히 다시 읽기 시작했는데, 읽다 그만둔 이유가 생각이 안 날 정도로 순식간에 몰입해서 읽었다.



저자는 홧김에 퇴사를 감행한 뒤, 변화한 일상 속에서 스스로를 들여다본다. <랩걸>을 읽으며 모든 것을 걸고 자기 자신이 되려고 하는 식물의 자세로부터 배움을 얻고, 림킴의 새 음악을 들으며 40년 넘게 불안으로부터 도망쳐온 스스로를 새롭게 돌아본다. 이 여정을 함께하다 보면 스스로를 새롭게 알아가기에 늦은 때란 없음을 확신하게 된다. 결국에는 스스로의 상처를 돌볼 수 있는 사람은 자기 자신뿐이라는 사실도 다시금 깨닫게 되고.



무엇보다 유려하고 재치 넘치는 문장들 덕분에 재미있게 읽히는 책이다. 더도 말고 덜도 말고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바라보는 저자의 태도가 특히 기억에 남는다. 겉치레 없이 그냥 자기 자신을 들여다보는 저자에게서는 왠지 ‘쿨한 언니‘의 분위기가 난다. 게다가 이 책 속에는 다양한 책, 영화 등 문화적 레퍼런스들도 가득하다. 이미 읽은 책들도 저자의 문장들 사이에서 새롭게 만나니 다시 읽어야 할 것만 같다. 쉽고 재미있게 읽히는 책 속의 문장 뒤에는 치열한 독서와 고민이 있었겠다는 생각도 들고.



P.S. 행간 사이사이에 등장하는 일러스트도 위트 있고 귀여워서 페이지를 넘기는 맛이 나는 에세이!



www.instagram.com/vivian_book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싸우는 여성들의 미술사
김선지 지음 / 은행나무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알고 있는 예술가의 이름을 전부 나열해보자. 그 중 여성 예술가는 얼마나 될까? 충격적일 정도로 적을 것이다. 여성 예술가들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일까? 혹은 그들의 재능이 남성 예술가들에 비해 뒤쳐졌기 때문일까? <싸우는 여성들의 미술사>에서는 이에 반기를 들며 그동안 소외되어온 여성 예술가 21명을 소개한다. 시대의 편견과 맞서 싸우면서 자신만의 예술을 갈고 닦았던 여성 예술가들을 말이다.



18세기 유럽의 스타 화가였던 앙겔리카 카우프만, 남성 인상주의 화가들에게 뒤지지 않는 인상주의의 거장 베르트 모리조와 메리 카사트, 신화 속의 여성을 강인하게 그려낸 아르테미시아 젠틸레스키, 이상화되지 않은 여성의 몸을 그린 수잔 빌라동 등등…. 그동안 여성 예술가들에게 관심을 기울여왔다고 생각했는데도 아는 이름이 절반도 채 되지 않아 놀랐다. 또한 페이지를 넘길수록 불세출의 거장으로 칭송받아온 이들과 견주어서도 전혀 손색이 없는 여성 예술가들의 작품에 크게 감탄했다. 특히 클라라 페테르스의 정물화와 파울라 모더존 베커의 자화상이 계속 기억에 남는다. 이제라도 이들의 이름과 역사와 작품을 알게 되어 다행이다. 책을 읽는 내내 새로운 예술 작품들을 만나는 기쁨으로 충만했다.



책 속에 소개된 여성 예술가들은 제각기 다른 환경과 다른 재능을 가졌지만 한계에 굴하지 않고 예술가의 길을 선택했다. 이들의 이야기를 전부 만나고 나니 <싸우는 여성들의 미술사>라는 제목이 더욱 마음에 닿는다. 오프라인 전시회를 감상할 길이 요원해진 지금, 책 속에서나마 훌륭한 작품들을 만날 수 있어 기뻤다. 아름다운 표지와 내지 구성도 읽는 즐거움에 한 몫 했음은 물론.



www.instagram.com/vivian_book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뼛속까지 내려가서 써라 - 전 세계 독자들을 사로잡은 혁명적인 글쓰기 방법론
나탈리 골드버그 지음, 권진욱 옮김 / 한문화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쓰기에 대한 책들 중 손꼽히는 바로 그 책, 나탈리 골드버그의 <뼛속까지 내려가서 써라>. 이 책의 메시지는 간단하다. “일단 써라!” 그리고 “너의 모든 것을 쏟아부어서 써라!”



어떤 이들은 글을 써야만 살 수 있기에 쓴다. 전업 작가일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글로 돈을 벌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글을 쓰고 싶다는 생각, 그러니까 글을 써야만 한다는 생각이 머릿속을 가득 채우고 있는 사람이라면 일단 써야한다. 저자는 그 당연한 말을 아주 유려하고 설득력있게 풀어내고 있다.



글을 써야한다고 생각하면서도 펜을 들기는 커녕 글쓰기에 대한 책을 집어든 나. 마음 속 깊숙한 곳에서는 이미 알고 있는 것들을 나탈리 골드버그의 문장으로 다시 읽는다. 아이러니하다. 저자의 글을 읽으면서 전의를 불태운다. 그래, 일단 쓰자. 초고는 전부 쓰레기라는 말도 있잖아! 형편없는 글이 아예 쓰지 않은 글보다 낫다!



왜 1986년에 출간된 이 책이 여전히 두루두루 널리 읽히는지 알 것 같다. 저자의 문장이 글쓰기에 두려움을 가진 이들을 토닥이며 이끌어주기에 그렇다. 저자는 독자로하여금 스스로의 내면을 잘 살펴보라고, 포기하지말고 끝까지 쓰라고 용기를 준다. 전부 직접 경험한 것들로부터 나온 진심어린 조언이기에 더욱 설득력있다. 또한, 저자가 명상과 선禪을 공부하며 깨달은 지혜들도 더없이 유익하다.



이제 글쓰기에 대한 책은 그만 읽고 일단 쓸게요 골드버그 선생님.. 아디오스..

www.instagram.com/vivian_book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