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세돌, 인생의 수읽기 - 반상 위의 전략으로 삶의 불확실성을 돌파하다
이세돌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25년 8월
평점 :
이세돌 9단의 책이 나왔다. <이세돌, 인생의 수읽기>. 그의 바둑 인생을 톺아보며 인생을 어떻게 살 것인지 여러 전략에 대해 이야기하는 책이다. 저자의 인생관을 자세히 알 수 있어 무척 흥미롭고 좋았지만, 기이하게도 이 책을 읽고 나서 되려 바둑의 아름다움에 대해 곱씹어보게 되었다. 이세돌이라는 사람의 발자취와 인생의 선택들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지만, 이세돌과 바둑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해서.
얼마 전 AI의 도입 이후 바둑계를 다룬 장강명 작가의 <먼저 온 미래>를 인상깊게 읽었는데, <이세돌, 인생의 수읽기>는 그 연장선상에서 함께 읽어봄직한 책이다. 흔히들 사람들은 이세돌 9단이 알파고를 이긴 바로 그 대국만으로 바둑을 기억하지만, 바둑은 한 사람의 인생과 가치관, 성격을 보여주는 예술이며 수련의 장이기도 하다. 이 책에서 그러한 바둑의 매력을 두루 느낄 수 있었다. ‘그저 승부만을 위한 수’가 어째서 아름답지 않은지, 왜 바둑에서 상대방에 대한 존중과 예의가 필수적인지, 일인자도 열 판 중 두 판은 지는 바둑 세계에서 어떻게 패배를 받아들이는 법을 배우는지. 바둑에 대해서 잘 모르지만, 저자가 소개하는 일화들을 아주 재미있게 읽었다. 아름다운 것이구나, 바둑은.
가장 강렬하게 기억에 남는 부분은 (물론 알파고와의 대국 기록도 무척 흥미진진했지만), 슬럼프는 자신만의 기준선이 무너질 때 찾아온다는 것이었다. 오직 스스로만이 감각적으로 알 수 있는 것들 말이다. 슬럼프를 넘어가려면 다시 꾸준함을 쌓아올려야 하고, 물론 운도 필요하다. 스스로에게 실망하거나 자책하지 않고 묵묵히 그 시기를 지나가려면 실패는 실패 자체로 받아들이고 점검하고 다음을 준비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깔끔함이.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태도가.
책을 읽고 본 이동진의 피이아키아 유튜브 인터뷰 영상(역시 추천한다)에서 이세돌 9단은 알파고 이후 바둑계가 어떻게 되었는지 관심을 가질 것을 촉구했다. AI의 도입은 마냥 바둑계만의 일이 아니라는 것. 한편으로는 인공지능의 시대에도 바둑을 배우는 것을 추천한다고도. 이기기 위한 바둑이 아니라 예술로서의, 인간적인, 추상 전략을 익힐 수 있는 종합 게임인 바둑. 이상하게 이 책을 읽으면서 이세돌 9단이 얼마나 바둑을 사랑하는지 느껴졌고, 바둑이 궁금해졌다. (한편, 인공지능이 이미 바둑을 가장 ’잘‘ 둔다면 인간이 바둑을 두는 게 얼마나 의미가 있을까 하는 무력감도 스쳐지나간다. 이것 또한 이기고 싶은 마음 때문일까?)
자기계발서로 읽어도 좋고, 이세돌 9단과 바둑 팬으로서 읽어도 좋은 책. 밑줄 그은 부분은 여러번 살펴봐야겠다.
www.instagram.com/vivian_book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