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의 분자 비선형 과학도서 4
캔더스 B. 퍼트 지음, 김미선 옮김 / 시스테마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재밌다. 감정은 뇌가 아니라 몸이 느낀다는 흥미진진한 내용.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랄라스윗 (lalasweet) - bittersweet
랄라스윗 (lalasweet) 노래 / 해피로봇레코드 / 2011년 12월
평점 :
절판


최근 매일 듣고 있어요. 근래 최고의 앨범. 음질만 조금 향상된다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구온난화를 둘러싼 대논쟁
스펜서 위어트 지음, 김준수 옮김 / 동녘사이언스 / 2012년 3월
평점 :
품절


이 분야에서 유명한 책이고 번역해주셔서 감사하다. 번역도 좋은 편. 다만 곰곰이 읽어보면 지구 온난화 문제를 생각할 수 있는 충분한 정보보다는 과학/과학자 이야기 위주로 쓴 스토리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이크로코스모스 - 40억 년에 걸친 미생물의 진화사 김영사 모던&클래식
린 마굴리스 & 도리언 세이건 지음, 홍욱희 옮김 / 김영사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은 별 다섯도 부족하니 별 열개를 주고 번역 때문에 일곱깨 깎아 별 셋.


방금 91쪽 microscopic life 를 현미경적 생물이라고 번역한 것을 보고 책을 덮고 로그인한다.

앞서도 phospolipid를 인리피드리고 번역한것 보고 이분이 생물학 용어에 대한 강한 의견을 가지고 있구나 했다.

그밖에도 엉터리 번역들이 많다.

책을 처음 샀을 때, 겉표지 안쪽에 저자 소개가 있는데, 도리언 세이건이 쓴 책들 중에 "소우주"도 있단다. 이 책 제목이 소우주인가 마이크로코스모스인가.


방금 과연 인지질을 인리피드라고 하는 사람이 있나 구글을 돌려보았더니 뜻밖에 이 책에 대한 교정 제안이 있었다.


http://www.100books.kr/bbs/board.php?bo_table=02Board14&wr_id=1356


참고하시길. 이외에는 한두 화장품 회사와 전공서적 한개(!)가 걸렸다. 나머지는 모두 인지질.


번역은 그렇지만. 이 책은 혁명적이다.

미토콘드리아와 같은 것이 다른 독립적인 생물이고 이들이 결국 공생하게 되었다는 생각. 마굴리스의 이 이론이 주류 학계에서는 20년동안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한다. 이 책도 그런 동료 과학자를 설득하기 위한 일환이다.

그리고 지금은 이 이론을 모두 받아들이고 있다. 심지어는 지금 진화론 책 새로 나오는 것 보면 대부분 모두 경쟁을 통한 진화가 주제가 아니라 공생을 통한 진화에 대한 것이다.


저자들은 나아가 우리 몸을 이루는 작은 생물들인 세포들 뿐만 아니라 지구상의 생물들이 모두 이런 공생을 통해 공존한다는 것. 완전히 새로운 시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통령을 위한 물리학 - 10년 후 세계를 움직일 5가지 과학 코드
리처드 뮬러 지음, 장종훈 옮김 / 살림 / 2011년 10월
평점 :
품절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때문에 방사능에 대한 관심이 최고조에 달했다. 오늘도 신문에는 생선, 아스팔트, 꽃, 녹차, 쌀에 방사능 검출 이야기가 나오지만 그게 얼마나 나쁜건지 갸우뚱하게 된다. 핵과 원자력은 이 책의 다섯개의 큰 주제 중의 하나이다. 


원자력과 방사능은 물리학에 바탕을 두기 때문에, 물리학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 책은 이런 주제를 쉽게 설명해줄 뿐 아니라, 사실은 방사능에 대한 제대로 된 설명을 해주는 책이 없었다. 지은이는 이를 전공으로 하는 전문가이고 믿을만한 설명을 해준다는 점에서 궁금한 사람은 꼭 읽어보기 바란다.


우리 주변의 모든 물질은 방사능이 언제나 나오고 있으며, 그 양이 미약할 뿐이다. 탄소 연대 측정법이라는 것은 살아있는 사람은 모두 방사능을 띤 탄소를 섭취하기 때문에 몸속에 들어있고, 죽은 이후에는 이를 섭취하지 않기 때문에 방사능이 점점 줄어든다. 같은 이유로, 자연 상태의 주정에는 일정량의 방사능이 들어있지만, 석유에서 정제한 알콜에는 방사능이 없기 때문에, 위스키는 일정량의 방사능을 띄어야 안전하다고 검증받는다! 


따라서 안전을 이야기할 때 방사능이 있느냐 없느냐가 중요한 게 아니라 얼마나 세냐 위험한가가 중요하다. 다른 네가지 주제-테러, 에너지, 지구 온난화-도 역시 다른 책에서 해주지 않는 제대로 된 설명을 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