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굿바이 사교육 - 내 아이를 학원에 보내고 싶지 않은 학부모를 위한 교육 필독서
이범 외 지음 / 시사IN북 / 2010년 1월
평점 :
품절
얽히고 설킨 교육문제. 풀려면 한도 끝도 없고, 사람마다 관점도 다르다. 사실은 문제 자체가 무언가가 분명하지 않다. 대학/취직 문제인가 학벌 문제인가 학원 문제인가 아니면 우리 사회 구조의 문제인가. 중요한 건 이 문제를 진지하게 논의하기 시작했다는 것이 이 책의 훌륭한 성과라고 본다. 이 전에 이런 문제를 제기한 책들이 별로 많지 않았다 (생각나는 건 어린이잡지 '고래가 그랬어' 정도). 모두 우리들의 문제이다. 우리는 결혼하고 자녀를 낳고 한국에 살면서 부모가 되기 때문이다.
이 책이 사실 우리가 당장 바라는 것인, (비싼) 사교육 없이 대학에 보내는 방법에 대한 건 아닌 것 같다. 물론, 일차적으로는 여기에 대해서도 좋은 힌트를 준다. 지금의 입시 제도를 분석한 강의나, 영어 잘하도록 환경을 만들어준 엄마의 교육관에서 배울점이 많다.
이 책의 가장 큰 메세지는 밑에 리뷰를 쓴 어떤 엄마의 말씀처럼, '주변 엄마'들이 "당신 아이는 학원도 안 보내고 한글도 모르고 영어도 모르고 이미 늦었어"하는 데 휘둘리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사교육 시장이 이렇게까지 된 건 우리들의 불안감을 이용한 것이니까. "너희 아이, 경쟁에서 뒤쳐졌어. 이거 안하면 인생의 낙오자가 돼." 하는 협박에 혹하게 되고 불안해 하게 된다. 이것 때문에 낙오자 되느니 돈 좀 더 들여서 학원 보내자고 생각하지만, 우리는 그 말이 정말 그런지 생각할 겨를이 없다. 그 속에서 중심을 잡을 수 있다는 것, 그리고 나와 같은 생각을 하는 다른 사람이 있다는 것에 위안을 받고 흔들리지 않을 힘을 얻을 수 있어서 좋았다.
한편으로는 사교육이 왕성한 이유는 우리의 게으름 때문이라는 생각도 든다. 진정한 게으름은 무엇인가. 사교육비를 벌기 위해 아이들과 밥먹을 시간도 없이 밤늦게 일한다고 말하지만, 밤늦게 일하기 위해서는 아이들을 여러 개 학원에 뺑뺑이 돌리는 왜곡된 사랑은 사실은 본말이 전도된 것이다.
개인적으로 인디고 서원을 이 책에서 처음 알게 되었는데 (전에 신문기사로 본 기억이 있기는 하지만) 참으로 열정이 전해지는 강의, 감동적이었다. 또 영혼이 맑지만 입시에 갖혀 슬픈 노래를 하다가 자살하게 된 소년의 시. 그리고 뭐니뭐니해도 사교육 걱정 없는 세상을 만든 마지막 강연자이자 편집자. 적극적으로 박수를 보내며 동참하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이들은 읽다가 눈물 흘리게 된 감동적인 삶의 이야기였다.
덧붙임: BC,현대, 국민, 롯데, 삼성카드사들은 ActiveX를 쓰지않는 훌륭한 결제방식을 허용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