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뜻으로 본 한국역사 - 젊은이들을 위한 새 편집
함석헌 지음 / 한길사 / 2003년 4월
평점 :
'모든 것에 뜻이 있다.' 모든 삶의 순간 순간은 다 (기독교의 표현을 빌자면) 하나님의 뜻이 있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래서 제목이 '뜻으로 본...'이다.
정말로 우리의 행동은 다 뜻을 담고 있는 것일까. 단순히 진화와 자연법칙에 의해서 움직이고 있는 것이 아닌가.
이 책을 보고 내가 그동안 너무 유물론적인 생각에 빠져 있었다는 걸 깨달았다. 과학적인 사고 냉정한 논리 정확성을 추구하는 신중한 모습... 그것이 지금은 미덕이 아닌가. 그런 것들이 결국 나를 주저하게 만들고 시들게 만들었다. 다양성을 인정하고 자유가 허용되었지만 우리는 더 길잃은 양처럼 흩어져 버린 것이다. 어디를 보아도 꿈과 이상이 없는 우리들. 말라버린 풀같은 나에게 "이놈아!!" 하고 외치는 음성이 있었다. 우리가 잡고 가야할 목표와 이상은 모든 것을 물질로 바라보는 눈에는 절대로 보이지 않는다.
지은이는 우리 역사와 우리 민족의 흐름들 유기체적인 것으로 보고 모든 것에는 이유가 있고 이어짐이 있다고 본다. 긴 호흡. 역사를 공부하는 이유는 역사를 통해서 현재와 미래의 흐름을 알고 대비하자는 것이 아닌가. 따라서 역사에서 뜻을 읽는 것이야말로 가장 중요한 것이다. 단순히 역사의 모습이 반복되지는 않는다. 똑같아 보이는 일들이라도 그 뜻을 알아야 올바른 해석을 내리고 있다. 지금 일어나는 이 혼미한 나라의 모습도 역사를 통해서.
이것 역시 어떻게 보면 편견이라고도 할 수 있다. 역사가 그리 아다리 맞게 한큐에 설명이 되는 것인가. 하지만 그는 단군, 고구려 멸방, 임진왜란같은 역사의 마디에서 결론 내리기를 주저하지 않는다. 우리 민족에게 주어진 사명. 그리고 시험. 글쓴이는 자신의 양심을 두고 거리끼지 않는 한에서는 결론을 내리고 판단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올바름이 무엇인가에 대한 끝없는 고민을 가지고 결론을 내리지 않는다면, 인생은 편하지만 발전하고 나아가는 것이 없다는 것이다.
우리 역사는 고난이고 한이다. 한이라는 걸 잘못 해석하면 참 운명적이고 비관적인 해석을 내리기 힘들다. 그의 이 결론은 우리를 기죽게 만드는 것이 아니다. 역사 속의 예언자와 외치는 목소리는 고난의 삶이었지만 결국은 승리한 것이다. 바로 드러나는 가치나 승리 보다는 더 영원한 것을. 그래서 패장이 된 이순신과 임경업, 사육신의 조용한 몸부림이 우리 역사에서 갖는 중요한 의미를 깨워준다. 우리에게 주어진 모든 것이 고난을 위한 것이지만 미래를 위해 대신 어려움을 짊어지는 예언자적인 민족. 그런 꿈을 보여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