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산]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흑산 - 김훈 장편소설
김훈 지음 / 학고재 / 201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훈작가는 워낙 유명한 작가이다보니 책을 받자마자 내용에 대한 의심은 전혀 하지 않았다. 그래서 기대감을 가지고 책을 읽었고, 내 믿음에 배신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김훈작가의 책은 거기서 거기로 변화없이 비슷하고, 흑산 또한 언젠가 읽은적이 있는 책이라며 비평을 한 글을 읽기도 했지만 적어도 나에게는 재미있는 책이었다. 그들이 얘기하는 변화가 어떤 것이지는 모르겠지만 작가에게는 응당 그만의 문체와 글을 엮어가는 패턴이 있기 마련이니 기본적으로 글을 대하게 될때 우리의 느낌이 비슷하지 않을까. 음악가들도 자신의 음악에 대한 표절은 인정해주는데 왜 김훈작가는 문체의 변화가 없다고 해서 변화가 없는 멈춰있는 작가라는 비평을 들어야하는 것인지 조금은 이해가 가지 않았다. 김훈은 김훈만의 분위기가 있기에 좋은 것이다.

 

무엇보다 오랜만에 소설을 읽으며 마구마구 머리속에 그려지는 소설의 내용이 나를 만족하게 만들었다. 일본소설이 빨리 읽혀서 별로 좋아하지 않는 이유가 그냥 글을 읽어내려가면 되지 머리속으로 상상을 할만한 내용들이 없다. 다만 일본소설 특유의 반전에만 주의를 기울여서 읽는다면 말이다. 하지만 [흑산]은 읽으면서 여기저기에서 배경을 묘사하는 문장 하나하나에 감탄하고 생각하며 재미있게 글을 읽었다. 작은 게의 움직임 하나도 머리속에 완벽하게 그려넣을 수 있게 하는 김훈작가의 문장력이 너무 부럽다. 그렇게 글을 쓸 능력을 가지지 못한 나에게 김훈작가의 배경묘사, 인물묘사 능력은 멋지다는 생각만을 하게 만든다. 한문장 한문장을 쉬이 읽을 수 없고, 그냥 버릴 수 없는 그런 글이라고 나는 말하고 싶다.

 

[흑산]은 신유박해를 배경으로 한 소설이다. 종교의 자유가 없던 그시대, 성리학의 기본교리에 반대하고 백성들에게 해괴한 사상을 심어준다는 이유로 천주교신자들은 그렇게 삶을 다했다고 한다. 사실 앞부분을 읽으면서 천주교박해사건에 대한 책이라고 크게 인지를 하지 못하다가 내가 사는 충북 제천에 배론으로 들어가 살겠다고 하는 황사영의 말을 읽고 나서야 천주교 박해사건을 다룬 책이구나. 내가 그 배론성지에 예전부터 소풍으로도 자주 갔었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들이 세례명으로 서로를 부르고, 조금 덜 가부장적인 삶을 산다고 해서 그것이 그렇게까지 잘못된 것은 아닐 것이라고 생각한다. 정말 잘못된 것을 요물적인 것을 백성들에게 전도를 하고 있어서가 아니고 다만 그 시대의 기득권층들의 권력 보호, 그들이 더 뭉칠 수 있게 하는 끈끈함을 강화하기 위해 누군가의 희생이 필요했고, 그것이 그 당신의 천주교 신자들과 실학에 눈뜬 학자들이라고 생각한다. 언제 어느때든지 자신들의 세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누군가의 희생으로 인해 그들이 더 강력하게 권력을 갖게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천주교신자들은 기득권층의 세력강화를 위해 희생당한 사람들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은 주인공 한사람에게만 국한되어, 주인공과 그 사람 주변의 이야기로만 채워진 이야기가 아니다. 내가 또 한가지 좋았던 점이 그것이다. 기본적으로 주인공이 되는 사람은 정약전이지만 그 것이 다가 아니고, 그 시대를 살았던 모든 사람들의 삶의 모습을 담았다고 생각한다. 대궐안의 여인을 대표하는 대비의 이야기도 담고, 중앙의 높은 벼슬아치의 이야기, 시골 말직의 삶, 공노비, 사노비, 평민 할 것없이 모두의 이야기를 담아냈다. 누구 한사람으로 시대를 대변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고 그 시대의 모든 사람들의 삶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독자에게 시대를 읽을 수 있게 해주고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기 위해서 작가가 했을 사전조사를 어마어마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소설의 말미에 작가가 직접 인용을 한 책들을 소개하고 있는데 그것을 보며 더 느낄 수 있었다. 역시 책을 많이 읽어야만 글을 쓰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것이구나 다시 한번 스스로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계기도 되었다.

 

역사의 초점은 거의 정약용에게 맞춰져 있었다고 생각한다. 때문에 물론 정약전에 대해서만 서술을 한 소설을 아니지만 정약전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점이 색달랐다. 고등학교 때, [상도]를 무척 재미있게 읽고 나서, 다른 대하소설을 찾다가 [목민심서]를 읽었던 적이 있었다. 정약용의 삶에 대한 그 책이 지금은 완벽하게 내용이 생각이 나지는 않지만 무척 재미있게 읽고, 친구들에게 여기저기 추천을 하고 다녔었다. 그렇게 정약용에 대한 책을 접햇었지만 그래도 정약전에 대해서는 제대로 알지 못했었다. 때문에 모두의 초점이 맞춰진 사람을 주인공으로 내세우지 않고 이야기를 끌어갔다는 것도 좋은 점이었다. 책을 많이 읽고, 많이 배웠다고 할 수 있는 지식인이 오랜 유배생활을 하며 남긴 것이 많을 법도 한데, 그래도 정약전에 대해서는 특별한 스포트라이트가 없었다. [흑산] 또한 완벽히 정약전의 책이라고 할수는 없지만 그래도 주인공으로 내세워 이끌어 갔다는 점이 눈길을 끌었다.

 

나는 소설은 상상을 많이 하게 할수록, 생각을 많이 하게 할수록 좋은 소설이라고 생각한다. 독자의 상상력을 충분히 끌어내지 못한다면 소설이 일반 인문서나 교양책과 다를바가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때문에 난 [흑산]이 재미있는 책이라고 단언한다. 다 읽고 난 후에도, 그리고 서평을 쓰고 있는 지금도 읽은 내용들이 하나하나 머리속에서 살아있기 때문이다. 한번도 가보지 않았던 흑산도의 모습이, 흑산도 앞 바다의 모습이 그림을 그릴 수 있을 정도로 또렷이 그려낼 수 있다. 몇권의 달하는 대하소설로 나오지는 않았지만 충분히 대하소설의 값을 하는 소설. 이 작은 한권에 무수히 많은 사람들이 소개되는 책. 그래서 나는 많은 권수의 대하소설이 가지는 서사성을 느끼고 싶을 때, 맛보기라도 할 수 있는 책으로 이 책을 추천해주고 싶다.

 

 

" 상록수림으로 덮인 섬은 안쪽이 들여다보이지 않았다. 산이 검다고 이름이 흑산이었다. 섬들을 옮겨 다니는 새들은 홍도 쪽으로 날아가다가 흑산에 내려앉았다. 바다는 물가에서부터 수심이 깊었다. 햇빛이 깊이 닿지 못해서 물색이 어두웠고, 먼바다 쪽은 더 검었다. 바다가 무서운 외지인들은, 산이 아니라 바다가 검어서 흑산인가보다고 말했다."

                                                                                                       -p.110 하얀바다 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